시킴

주의. 이곳은 여행자제 국가·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대한민국 외교부에서 여행경보 2단계인 여행자제로 지정되었습니다. 해당 지역은 치안이나 위생 등에서 심각한 문제가 있을 때가 많습니다. 이에 따라 테러 등으로 현지 정세가 급박하게 전개되는 일도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해외 여행 시 반드시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에서 해당 국가 또는 지역에 대해 정보를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틀:여행경보/설명문서}}

인도의 주
고아구자라트나갈랜드라자스탄
마니푸르마디아프라데시마하라슈트라메갈라야
미조람비하르서벵골시킴
아루나찰프라데시아삼안드라프라데시오디샤
우타라칸드우타르프라데시자르칸드잠무 카슈미르
카르나타카케랄라차티스가르타밀나두
텔랑가나트리푸라펀자브하리아나
히마찰프라데시
연방구역
다드라나가르하벨리다망디우다망디우델리 수도 연방구역
락샤드위프안다만니코바르 제도찬디가르푸두체리


250px-Flag_of_Sikkim_monarchy.svg.png
시킴 주의 깃발.

324px-Sikkim_locator_map.svg.png
시킴 주의 지도.

1 개요

Sikkim. 인도 서벵골 주 북부에 위치한 주이며 면적은 7,096㎢, 인구는 60만 7688명(2011년)이다. 주도는 강토크. 서쪽에는 네팔이, 동쪽으로는 부탄과 접해 있으며, 히말라야 산맥 및 그 산록을 차지하여 기후는 고도에 따라 한대성에서 열대성까지의 다양한 분포를 보인다. 부탄과 같이 식물과 곤충의 종류가 많아 생물의 보고라고 불린다. 세계에서 3번째로 높은산인 칸첸중가산이 위치해있다.

2 민족

원주민은 티베트미얀마계인 시킴 제민족(레프차인, 부티아인 등)이지만, 영국 보호령 시절 네팔인이 엄청나게 유입되는 바람에 네팔계 민족들이 60%를 차지해 버렸고, 인도에 병합되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1] 언어 측면에서는 62%의 주민이 네팔어를 사용해 사실상 공통어이며, 시킴어, 레프차어는 특정 지역에서 사용된다. 종교는 힌두교가 약 60%, 불교 약 30%이다.

3 역사

1642년에 부티아인의 남걀 왕조가 시킴 왕국을 세웠는데, 티베트 불교를 믿는 독립된 왕국이었다. 작고 힘없는 나라라 티베트네팔,부탄에게 연이어 침략을 받고 합병당하는 동네북 신세였다.1814년 네팔로 쳐들어간 영국구르카를 주축으로 한 네팔의 반격에 고전하던 끝에 대충 전쟁을 마무리지을 당시 네팔령이던 시킴을 영국 영향 아래 갖게되었다. 이렇게 영국 보호령을 거쳐 1950년 인도의 보호령이 되었으나, 1974년 총선거에서 친인도계 "시킴 국민의회"[2]가 승리, 신헌법의 제정을 서둘렀으나 국왕이 반대하면서 1975년 3월 5일 국민의회는 인도에 합병을 요구했고, 9일 인도군이 진주해 왕궁 수비대의 무장을 해제, 왕을 감금했다. 다음날 국민의회는 인도 수상 인디라 간디의 지지로 일방적으로 왕정 폐지, 인도에 합병 결의를 했으며 14일 국민투표에서 97.6%의 지지를 얻었다. 결국 1975년 5월 16일 인도에 의해서 22번째 주로 합병되었고, 그때까지 존재하던 왕정은 폐지되었다.[3]

사실 강제합병으로 볼 수도 있었던 것이었으나 이미 네팔계들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해버렸고, 언제 중국과 인도에 사이에 끼어 불안한 상황에서 소국보다는 차라리 인도가 낫다는 명분하에 인도가 스스로 합병하길 원했기 때문이었다. 티베트가 중국에 합병되었다면 시킴은 인도에 병합된 것. 물론 반발도 있었지만 결국은 소수 의견에 묻혔다.

이에 시킴 북쪽에 인접한 중화인민공화국은 인도의 시킴 병합을 인정하지 않아[4] 국경이 폐쇄되기도 하였으나, 2003년 시킴을 중국이 인도의 영토로 사실상 인정한 이후 2006년 국경이 재개방되었다.(중-인간 국경에서 유일하게 개방된 통로이다.) 하지만 같은 티베트계가 다수인 라다크를 비롯한 다른 지역에 대해서는 여전히 중국은 자국령임을 주장하며 인도랑 마찰을 빚고 있다.

현재 시킴은 인도의 한 주로 정착했으나, 입국을 위해서는 따로 비자를 발급 받아야 하는 특이한 지역이다.
  1. 옆나라 부탄도 네팔계 힌두교도들이 1/5 가까이 차지했었는데, 이런 사태를 두려워해 각종 견제 정책을 쓰고 있다. 1990년에는 이런 네팔계들이 차별에 시위를 벌이자 강력하게 대응하여 상당수를 그냥 인도로 추방해버렸다. 대다수가 네팔계라서 부탄에게도 거리낌이 없었고 강력한 친인도 정책을 취하는 부탄이라 인도는 공식적으로 힌두교인 너무 과하게 괴롭히지 말라고 말로만 했을 뿐, 직접적인 제재라든지 반발을 보이지 않았다. 상당수 줄어든 힌두교인들은 지금도 여러 차별을 받으며 살아간다.
  2. 당 이름이 인도의 정당인 인도 국민의회를 본뜬것.
  3. 이때 시킴의 마지막 왕의 왕비가 미국인이었는데 나라가 망하고 국왕부부사이도 금이 갔다가 1980년에 이혼했다. 그리고 그 왕비는 다시한번 재혼했다가 이혼한뒤 현재까지 미국에서 그대로 사는걸로 알려져있다.
  4. 그래서 중국 지도 중에서는 시킴이 독립국으로 표시된 지도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