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항공 006편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사고 3일 전에 찍힌 사고기 사진.

1 개요

2000년 10월 31일, 장개석 국제공항을 출발하여 LA 국제공항으로 향하는 싱가포르 항공 006편(기종 : 보잉 747-412 / 기체 등록번호 : 9V-SPK)이 이륙 중 활주로 상 중장비들과 충돌, 대파된 사고.

탑승자 179명 중, 사망자 83명 부상자 71명을 기록한 항공사고이다. 싱가포르 항공은 세계에서 가장 안전했고 단 한번도 사망사고가 없는 항공사로 유명했지만 이 사고로 무사고 기록이 깨졌다.

또한 보잉 747-400 3번째 손실 사고이다.

2 사고 진행

현지시각 밤 9시, 폭우와 거센 바람이 몰아치는 상황에서 싱가포르 항공 006편(이하 SQ006편)은 B5 게이트에서 출발준비를 하고있었다. 당시 타이페이에는 제 20호 태풍 '샹산(Xangsane)'이 북상하고 있었고 서둘러 이륙하지 않을 경우 기상악화로 이륙을 포기해야 되는 상황이였다.

밤 9시 5분 57초, SQ006편은 그라운드로부터 05L 활주로로 택싱을 허가받고 서둘러 05L 활주로로 택싱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야간과 더불어 기상상태가 아주 불량해 통상적인 택싱속도의 1/3 수준인 9노트로 서행할수밖에 없었다. 파일럿들은 점점 조바심이 나기 시작했다. 만약 시간이 지체되어 기상악화로 이륙이 포기되면 항공사는 상당한 손해를 볼것이다.

밤 9시 15분 22초, 활주로에 도착한 SQ006편은 관제탑으로부터 이륙허가를 받고 밤 9시 16분 36초, 이륙을 위해 스로틀을 끝까지 밀어붙인다. 드디어 이륙한다는 안도감에 한시름 덜은 파일럿들은 기체가 V1(이륙 결심속도)에 도달하자 조종간을 당길 준비를 한다. 그 순간 엄청난 진동과 함께 불길이 치솟았고 비행기는 동강이 나게 된다.(밤 9시 16분 3초)

밤 9시 17분 36초, 장개석 국제공항 소방대에 비상벨이 울리고 소방차 41대, 구급차 58대, 조명차 9대, 436명의 인원이 투입되어 화재를 진압함과 동시에 생존자들을 구출해내기 시작했다.

3 사고 피해

0119707.jpg

0119708.jpg

0119706.jpg

탑승객 159명 중 79명 사망, 승무원 20명 중 4명이 사망하였다. 96명의 생존자들 중, 71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중상자 39명, 경상자 32명으로 피해가 전무한 생존자는 단지 25명 뿐이였다.

4 사고 조사

타이완에서 가장 바쁜 공항 중 한 곳인 장개석 국제공항은 폐쇄되었다.


기장이 생존했기 때문에 자세한 이야기를 기장으로부터 들을 수 있었다. 기장은 무언가와 충돌했다고 했기때문에 3가지 가설안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사고당시 다른 항공기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장애물 흔적도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가설안 중 2가지는 빠르게 조사대상에서 제거되었다. 그리고 나온 결론은 SQ006편이 활주로 상의 중장비들과 충돌하여 대파됐다는 것이다.

당시 장개석 국제공항은 05R, 05L 그리고 6번 활주로를 가지고 있으며 이 중 05R 활주로는 공사를 위하여 폐쇄된 상태였고 공사구간에는 각종 건설자재와 중장비들이 방치되어 있었다. 혹시나 했더니 역시나... 조사결과 SQ006편은 05L 활주로보다 215m 전방에 위치한 05R 활주로로 이륙을 시도했던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륙 결심속도에 도달한 거대한 여객기가 폐쇄된 활주로 상에 방치된 중장비들과 충돌한 것이다.

4.1 05R 활주로에서 이륙한 이유

기장과 인터뷰한 결과, 지상 관제사가 유도로 변경을 지시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태풍으로 가시거리는 바닥까지 떨어졌으며 신경이 분산된 상태에서 조종실에서는 착각이 일어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조사관들은 가정했다. 그러나 승무원들은 침착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할 일을 정확히 했다.

그렇다면 왜 승무원들이 활주로를 착각했던 것일까? 보잉 747의 통상적인 유도로 택싱속도는 25노트였으나 태풍으로 인하여 비행기는 9노트의 속도로 유도로를 택싱했었다. 모두 완벽한 절차를 거쳤으나 승무원들과 공항은 각각 심각한 문제를 하나씩 가지고 있었다.

SQ006편의 조종사들은 비행편이 취소되기 직전이었기 때문에 마음이 상당히 급했다. 또한 당시 측풍이 심했기 때문에 측풍에 신경이 집중되어 있었다. 유도시설이 낙후되어 잘못된 활주로에 있다는 것을 알려주지 못한 것도 주 사고 원인이었다.

결국 잘못된 것에 너무 집중한 나머지 활주로의 위치를 착각한 것이 사고의 주요 원인이었다. 기장이 부조종사의 마지막 경고를 무시한 이후 SQ006편이 사고를 피할 확률은 없었다.

5 사고 이후

타이완 항공청은 기상상태가 좋지않을 경우, 승무원들에게 관제탑과의 더 빈번한 통신을 권고했다. 장개석 국제공항은 당연히 갖추어야 할 장비들을 정확히 가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비난을 받았다.

싱가포르 항공의 안전기록에 심각한 오점이 남았으며 SQ006편의 승무원들은 해고되었다. 또한 항공편을 030편으로 바꾸었으며 028편을 거쳐 논스톱 비행과 나리타 공항 경유인 38, 12편으로 바꾸었으며 트로피칼 도장을 가진 기체들을 모두 일반 도장으로 바꾸었다. 현재는 나리타 국제공항 경유편만 있으나 인천국제공항 경유편으로 바꿈과 동시에 A380 2데일리 취항예정, 샌프란시스코 노선은 홍콩 국제공항인천국제공항을 경유하지만 직항으로 변경예정이다.

싱가포르항공 입장에선 억울할 만 한게, 낙후된 공항 설비 탓이 큰데 자칫 자신들에게만 모든 화살이 돌아갈 수 있어서 그게 억울했을 것이다. 솔직히 장개석 국제공항은 이웃 홍콩 국제공항에 비해 현저히 시설이 후달렸고, 관제 능력도 뒤떨어졌었다. [1][2]

조사관들은 항공기 탑승객에게 이야기한다. 비행기의 사고 상황때 살아남을 수 있는 좌석에 대하여 정확하지는 않지만 앞쪽보다는 뒤쪽, 창가쪽 좌석보다는 복도좌석이 생존확률이 높다고 권고한다. 또한 출구에서 앞뒤로 5자리 떨어진 곳을 권고했다.

제일 중요한 것은 승무원들의 기내 안전을 위한 안내에 따르는 것 이 가장 중요하다.
  1. 비웃을 수 없는게 그때 한국의 김포국제공항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괜히 인천으로 옮긴게 아니다. 항공 교통량이 포화되어 있는데다 시설도 딸려서 허브공항으로는 부적합했고 현재 인천의 시설은 홍콩과 함께 아시아 최고 수준까지 올라 있다는 인천공항도 2터미널 완공이 1년넘게 남았는데 벌써 포화상태다.
  2. 당시 대만의 공항에서 영어를 제대로 할 줄 아는 관제사가 전무해 대만 내에선 표준중국어로 교신했다는 믿기 힘든 얘기도 있다! 현재도 중국대륙과 일본은 그런 상황이다. 문제는 싱가포르항공의 기장은 영어만 할 줄 알았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