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나사이

阿史那社爾
(? ~ 655)

당나라의 장수. 처라가한의 차남.

11세에 지모와 용기로 알려졌다가 탁설 부락에 임명되어 적북 지역에 정을 세우고 아사나욕곡설과 함께 나누어서 철륵, 회흘, 복골, 동라 등의 부를 다스렸으며, 처라가한이 죽자 슬퍼하는 것이 예와 같았다. 10년간 다스렸지만 과하게 거둔 것이 없었고 어떤 사람이 스스로 바치기를 권했을 때도 부락이 풍족하면 되었다고 하면서 사양해 수령들이 그를 좋아했다. 힐리가한이 수 차례 군사를 이끌자 이를 간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627년에 철륵, 회흘, 설연타 등이 아사나욕곡설을 마렵산에 격파하자 그를 도와 공격했지만 이기지 못했으며, 628년에 남은 부중을 이끌고 서쪽에서 가한부도성을 지켰다. 630년에 힐리가한이 당나라의 공격을 받아 패하고 돌궐에서 내분이 일어나 통엽호가 살해당하자 아사나사이는 해리필돌륙가한을 공격해 그 영토의 절반을 빼앗고 무리가 십여 만을 얻자 도포가한이라 칭했다.

설연타가 난을 일으켜 나라를 깨뜨렸다는 이유로 기병 5만으로 적북에서 설연타를 공격했지만 100여 일간 군사를 이끌다가 병사들이 싸울 날이 길자 흩어졌으며, 설연타의 공격을 받아 패해 도망가면서 고창을 지키다가 당나라에 귀부했다. 636년에 당나라 조정에 들어가 좌효위대장군에 임명되고 그 부중은 영주로 옮겨졌으며, 조서를 통해 형양장공주를 모시게 되었지만 아사나사이는 조서를 받들지 않다가 다른 조서를 본 후에야 따랐다.

고창이 평정되자 장수들이 모두 상을 받았지만 행군총관을 지낸 아사나사이는 칙명이 없다고 해 사양했다가 칙명이 내려온 후에 받았는데, 아사나사이가 가진 것은 모두 노약하고 피폐한 사람이라 당태종이 그 청렴함을 좋게 여기면서 아사나사이는 고창의 보배로운 칼, 여러 비단 1천 단 등을 받았고 조서로 북문좌둔영을 검교하게 된 것과 동시에 필국공에 봉해졌다. 645년에 고구려 정벌에 따라가서 화살에 맞았지만 화살을 뽑아낸 후에 다시 싸워 거느린 사람들이 분발하자 모두 공을 세웠으며, 안시성을 공격하면서 6월 20일에 당태종의 명으로 돌궐의 1천 기병을 거느려 고구려의 군사와 싸우다가 거짓으로 도망가 유인시켜 적의 방심을 유도하면서 그 틈에 안시성 동남쪽에 산에 의지해 진을 치게 되었다.

돌아가서 겸홍려경에 임명되었고 설연타의 다미가한이 하주를 공격하자 당태종의 명으로 설연타를 방어하기 위해 10개의 주에서 징발해 승주에서 진수했으며, 646년에 설연타의 다미를 격파한 공으로 강하왕 이도종과 함께 한해안무 대사에 임명되었다. 647년에 구자가 조공을 끊자 곤구도행군대장관을 지내면서 계필하력, 곽효각, 양홍례, 이해안 등과 함께 철륵 13부, 돌궐의 기병 10만을 뽑아 구자를 공격하고 서돌궐로 가서 처밀, 처월 등을 공격해 격파했으며, 언기의 서쪽으로 들어가서 언기를 공격해 싸운 끝에 구자의 도성까지 함락했다.

아사나사이는 곽효각을 남겨 지키게 하면서 정예 기병을 이끌고 구자로 도망간 언기의 왕 용설파아나지를 추격했다가 대발환성에 들어가자 40일 동안 공격해 함락시켜 사로잡아 죽인 후에 용선나준을 언기의 왕으로 삼았으며, 구자의 왕 백가려포실필이 도망가서 도성을 지키자 공격해 압박한 후에 서쪽으로 달아나게 만들었다. 이어서 다섯 성을 함락시키고 좌위장군 권지보를 보내 여러 추장들을 설득시키고 우전왕에게 유세해 당나라 조정에 가도록 했으며, 곽효각이 금옥으로 장식된 여러 물건을 보내자 받지 않았다.

아사나사이는 마을의 노인들을 불러 나라의 위엄있는 신령을 선포하고 구자왕의 동생 엽호를 구자의 왕으로 삼았으며, 돌에 공적을 새기고 돌아갔다. 649년에 태종이 죽자 자신을 순장시켜 능침을 지키기를 청했지만 허락받지 않았고 우위대장군이 되었다가 655년에 사망해 보국대장군, 병주도독에 추증되어 소릉에 배장되었으며, 그의 무덤은 파미르를 본따서 만들었고 시호는 원(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