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간선노선
AH1AH2AH3AH4AH5AH6AH7AH8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320px-Tabliczka_AH1.svg.png
총연장20,710 km
기점일본 도쿄
주요 경유국가대한민국
북한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타이
미얀마
이란
인도
종점터키
주요 교차도로아시아 고속도로 6호선

1 개요

일본도쿄를 출발점으로 하여 대한민국, 북한,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타이, 미얀마, 이란, 인도를 거쳐 터키불가리아의 국경선을 종착점으로 하는 아시안 하이웨이의 노선 중 하나로, 총연장은 20,710 km로, 아시안 하이웨이 노선 중에서 가장 긴 노선이다.

종점에서는 유럽 고속도로망과 연결되어 있으며 대한민국과 일본 사이를 연결하는 대한해협 노선은 카페리로 연결되어 있으며, 종점인 터키에서는 유럽 고속도로 E80을 따라 불가리아, 세르비아,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을 거쳐 포르투갈 리스본에 이른다.

2 경유 도시

2.1 일본

336px-The_starting_point_of_Asian_highway_Route_1%2CChuo-city%2CTokyo%2CJapan.jpg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시점
  • 슈토 고속도로 3호(시부야 선) : 도쿄
  • 도메이 고속도로 : 도쿄 - 나고야 시
  • 메이신 고속도로 : 나고야 시 - 교토 시 - 스이타 시
  • 주고쿠 자동차도 : 스이타 시 - 고베 시
  • 산요 자동차도 : 고베 시 - 야마구치 시
  • 주고쿠 자동차도 : 야마구치 시 - 시모노세키 시
  • 간몬 자동차도(간몬 교) : 시모노세키 시 - 기타큐슈 시
  • 규슈 자동차도 : 기타큐슈 시 - 후쿠오카 시
  • 후쿠오카 도시고속도로 : 후쿠오카 시

일본 후쿠오카 시 하카타항국제터미널에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까지는 카페리(뉴카멜리아호)로 연결한다. 뉴카멜리아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항목 참조. 추후 한일해저터널로 연결 구상이나 실현 여부는 불투명하다.

2.2 대한민국

width=100%
경부고속도로에 설치된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표지판

우선 대한민국 구간중 일부를 보면 경부고속도로 전구간, 경부고속도로 시내구간, 한남대교, 남산1호터널, 퇴계로, 통일로 전구간이 지정되어있는데, 이 구간들은 현재 공사중인 수원문산고속도로가 완전 개통될시 약간의 변동이 있을것으로 보인다. 2016년 4월 29일에 수원-광명 구간이 개통하였고, 현재 서울-문산 구간이 공사중인데,[1] 문산쪽 종점의 나들목인 내포IC가 추후 평양개성고속도로와의 직결을 대비한 형태로 건설될 예정이기에 가능성이 더더욱 높다.[2] 자세한 것은 수원문산고속도로 항목 참고.

그리고 현재 지정되어있는 남산1호터널퇴계로악명높은 헬게이트이다.(...)

현재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으로 지정된 대한민국 구간은 아래와 같다.

  • 충장대로 :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 부산광역시 동구
  • 번영로 (부산) : 부산광역시 동구 - 부산광역시 남구 - 부산광역시 수영구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부산광역시 동래구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부산광역시 금정구
  • 경부고속도로 : 부산광역시 - 양산시 - 울산광역시 - 경주시 - 영천시 - 경산시 - 대구광역시 - 구미시 - 김천시 - 대전광역시 - 청주시 - 천안시 - 안성시 - 평택시 - 안성시 - 용인시 - 평택시 - 오산시 - 화성시 - 용인시 - 성남시 - 서울특별시 서초구
  • 경부고속도로 시내구간 : 서울특별시 서초구 - 강남구
  • 한남대로 (한남대교) : 서울특별시 강남구 - 용산구
  • 남산1호터널 : 서울특별시 용산구 - 중구
  • 퇴계로 : 서울특별시 중구 - 서울역
  • 통일로(21번 서울특별시도 구간) : 서울역 - 종로구 - 서대문구 - 은평구
  • 통일로(1번 국도 구간) : 서울특별시 은평구 - 고양시 - 파주시 - 통일대교 - 판문점[3]

2.3 북한

앞서 대한민국 구간 문단에서 서술하였듯, 수원문산고속도로평양개성고속도로와 직결할 예정이기에 직결 고속도로로 따로 문산개성고속도로가 계획중이기에 북한 구간도 일부 변동이 있을 수 있다.

현재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으로 지정된 북한 구간은 아래와 같다.

2.4 중국

  • G304 :신의주시- 단둥 - 선양
  • G102 : 선양- 베이징
  • G107 : 베이징 - 스자좡 - 한단 - 안양 - 정저우
  • G310 : 정저우 - 쉬창 - 신양 - 우한
  • G107 : 우한 - 창사 - 샹탄
  • G322 : 샹탄 - 광저우 - 난닝

2.5 베트남

  • 국도 1A: 난닝 - 하노이 - 빈 - 동허이 - 동하 - 후에 - 다낭 - 호이안 - 냐짱 - 비엔호아 - 호찌민
  • 국도 22 : 호찌민 - 목바이

2.6 캄보디아

  • 5번 :목바이- 바벳 - 프놈펜
  • 1번 : 프놈펜 - 포이펫

2.7 타이

  • 33번 도로 : 아란야프라텟 - 카빈부리 - 힌콩
  • 32번 도로 : 왕노이 - 나콘사완
  • 1번 도로 : 나콘사완 - 딱
  • 12번 도로 : 딱 - 메솟

2.8 미얀마

  • 미야와디 - 메이크틸라 - 만달레이 - 타무

2.9 인도

구간이 두번 등장한다. 중간에 방글라데시가 껴있는지라 가로질렀다 나오기에 두번 거친다.

  • NH39 : 모레 - 임팔 - 코히마 - 디마푸르
  • NH36 : 디마푸르 - 나가온
  • NH37 : 나가온 - 누말리가르 - 조라밧 - 가우하티
  • NH40 : 가우하티 - 실롱 - 다우키

2.10 방글라데시

  • 타마빌 - 실헷 - 나르싱디 - Katchpur - 다카 - Bhanga- 제소르 - 베나폴

2.11 인도

  • NH35 : 페트라폴 - 방가온 - 바라사트
  • NH34 : 바라사트 - 캘커타
  • NH2 : 캘커타 - 단바드 - 바리 - 바라나시 - 알라하바드 - 칸푸르 - 아그라 - 뉴델리
  • NH1 : 뉴델리 - 아따리

2.12 파키스탄

  • 와가 - 라호르 - 구지란왈라 - 젤룸 - 라왈핀디 - 페샤와르 - 토르캄

2.13 아프가니스탄

  • 잘랄라바드 - 카불 - 칸다하르 - 딜라람 - 헤랏 - 이슬람 칼라

2.14 이란

  • 22번 도로 : 도카룬 - 마슈하드
  • 44번 도로 : 마슈하드 - 샤흐라우드 - 담칸 - 셈난 - 테헤란
  • 2번 고속도로 : 테헤란 - 카즈빈- 타브리즈
  • 32번 도로 : 타브리즈- 바자르간

2.15 터키

대부분의 구간이 유럽 고속도로 80호선과 중첩되며, 사실상 종점인 불가리아 국경에서 유럽 고속도로 80호선과 직결된다.

  • E80 (100번 국도) : 구르부락 (이란과 국경) - 도우베야짓 - 아슈칼레 - 레파히예 - 시바스
  • E88 (100번 국도) : 시바스 - 앙카라
  • E89 (4번 고속도로) : 앙카라 - 게레데 - 이스탄불
  • E80 (2번 고속도로) : 이스탄불 - 파티흐 술탄 메흐멧 다리
  • E80 (3번 고속도로) : 이스탄불 - 에디르네
  • E80 (100번 국도) : 에디르네 - 카피쿨레
  • E80 (불가리아와 국경)
  1. 2015년 10월 30일에 기공식을 가졌고, 2015년 11월 5일에 착공에 들어갔으며 2020년 11월 개통을 목표로 하고있다.
  2. 광명-서울 구간까지 성공적으로 개통해야지 수원문산고속도로 전구간과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의 봉담-동탄 구간을 새로 지정하고 할 수가 있다. 만약 서울문산고속도로 구간이랑 수원광명고속도로 구간만 개통한 허리끊긴 상태가 되면 '한남대교 - 강변북로 - 현천IC - 현천도내지선 - 서울문산고속도로 - 평양개성고속도로' 노선으로 변경하든가 할 수 밖에 없다. 근데 지금 상황 봐서는 서울광명고속도로 구간은 첫 삽도 못 뜰 상황이고... 재수없으면 익산포항고속도로 아니면 동해고속도로 꼴 날 신세라..
  3. 21번 서울특별시도는 고양시와의 경계까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