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뜨르 비행장

알뜨르[1] 비행장
Altteureu Airfield

ICAO : RKPM(추정)
K 번호 : K-40

93afab5ee55f82ee8effd4a552c8cc1c.jpg

1 개요

현지 지명을 따서 모슬포비행장이라고도 불린다.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일대에 위치.

2 연혁

1933년 일본 해군에 의해 임시활주로 형식으로 최초 조성됐으며 당시 규모는 60,242평이었고 활주로는 1400m x 70m 였다.

1937년 147,258평을 추가 매입이라 쓰고 수탈이라 읽는다하여 확장.[2]

1937년 상하이 전투(제2차 상하이 사변) 당시 일본해군의 95식 육상공격기(G2H1) 6대와 96식 육상공격기(G3M) 6대가 폭격거점으로 사용했다.[3] 덕분에 알뜨르 비행장이 난징 대학살의 배후거점으로도 알려져 있기도 하다.

1945년부터 일본 해군 901 항공대가 전진기지로 사용했다.[4]

1944년 11월 19일 일본 해군 931 항공대[5] 파견대도 오로쿠비행장(현 나하 공항)에서 이동, 1945년 4월 10일까지 동중국해 대잠작전 거점으로 사용했다. 당시 운영기는 역시 97식 함상공격기(...). 흠좀무

일본 해군 제주도분견대가 1944년 5월 15일~1945년 2월 10일 주둔했다가 김해비행장으로 이동, 부산해군항공대로 재편되기도 한다.

확장을 거듭해서 해방 직후엔 약 80만평에 달했으나 땅만 넓다 뿐이지 전쟁 말기의 모자란 자원과 지역 주민 강제 동원이란 비효율적 방식으로 공사[6]한데다 나중엔 그 모자라는 자재나 인력도 결전기지 공사에 쓰다보니 완공도 못한 채 패망하게 된다.

한편 대부분 일본측 자료라 100% 확신하긴 어렵지만 가미가제 기지로 쓰이기 위한 결전기지 공사를 비행장 내부 및 주변에 하긴 했는데 엄밀히 말하면 가미가제 "비행기"가 아니라 가미가제 "선박" 기지로 쓰였다. 진짜 가미가제 비행사 육성 기지는 김해공항같은 육지공항이었다고. 대신 만약 결전작전이 진행되는 최악의 상황이 왔다면 거점기지로 쓰였을 가능성은 높다.

해방 후 미군이 시설을 인수받은 뒤 다시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엔 국군이 사용하게 됐고, 한때는 육군제1훈련소(강병대)로 운영되기도 했다.[7] 이를 현재는 국방부가 예비시설로서 확보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땅이 농지화되는 등 축소되고 길이 약 1200m, 폭 250~260m의 착륙대와 주기장 등 일부 시설 잔해, 그리고 유명한 십여개의 콘크리트 격납고가 현재 남아있다. 격납고들은 농민들에 의해 자연스럽게 창고처럼 사용되고 있다.
  1. 알뜨르는 제주 방언으로 아래 있는 넓은 뜰이란 뜻.
  2. 일본 해군 공문에선 매입이라 표현하고 있으나 단 3달 10일만에 약 15만평을 매입하는건 수탈이 아니고서는 상식적으로 불가능하다.
  3. 일본측 자료라 축소됐을 가능성은 높다. 한편 일본측 주장으론 나가사키 오무라비행장(현 나가사키 공항 중 해상자위대 주둔지 쪽)을 출발한 폭격기들이 나가사키까지 돌아갈 연료가 없으니까 알뜨르 비행장에 착륙하는 식으로 회항기지로 사용했다고 하며 악천후로 몇 대 추락했다고 징징거린다(...)
  4. 901 항공대의 사령부는 45년 5월 15일부터 진해에 주둔.
  5. 함대 컬렉션에 97식 함상공격기 유닛으로 나오는 그 931 항공대 맞다(...)
  6. 덤으로 지하갱도 공사까지 진행됐다.
  7. 현재도 인근에 제1훈련소 시절부터 쓴 것으로 추정되는 사격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