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랭 들롱

tumblr_o5dgvxnG0K1spd2vxo2_500.gif

Alain Delon.

본명은 길다. 알랭 파비앵 모리스 마르셀 들롱(Alain Fabien Maurice Marcel Delon).

1 소개

세기를 대표했던 미남
역사상 가장 잘생긴 영화배우

1935년 11월 8일 프랑스 출생의 영화배우이자 전 지구적 꽃미남. 70년대 미남의 대명사. 원조 옴므 파탈

한국에서는 "아랑 드롱"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었다. 영화 수입업자들이 일본식 발음대로 표기하다보니 대중들도 이렇게 발음하게 된 듯. 필름 누아르가 전성기였던 1970년대에는 한국에서 가장 인지도 있는 외국 남자배우 중 하나였다. 현재는 전혀 감이 안오겠지만, 70년대까지만 해도 할리우드 영화와 한국 극장가를 양분할 정도로 프랑스 영화는 인기가 있었고, 이랬기 때문에 그의 인지도는 비슷한 시기에 활동한 스티브 매퀸이나 버트 랭카스터 등 미국 배우들만큼 유명했다. 90년대 초반까지도 '아랑드롱 같다'는 표현이 '잘 생겼다' 대신 널리 쓰였을 정도.

1935년 11월 8일 프랑스 일드프랑스의 소에서 태어났다. 4살 때 부모님이 갈라섰고, 재혼한 어머니와 살았으나 계부와 잦은 갈등을 빚었다. 유복하지 못했던 유년기 때문인지 가톨릭 학교를 다녔지만 행실 불량으로 여러 학교에서 퇴학을 당했다. 걔중에는 신학에 대한 그의 적성을 알아본 교사들이 그에게 사제직을 권유하기도 했다. 하지만 알랭은 14살에 학교를 떠나 짧은 기간 동안 계부의 정육점에서 일했다. 17살엔 외인부대의 낙하산 부대로 자진 입대하여 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 참전 했으나 규율 불량으로 11개월 간 군 감옥에 갇혀 있기도 했다. 결국 불명예 제대 후 세계 각지를 떠돌다 1956년 프랑스로 돌아온다. 수중에 돈이 없던 그는 웨이터, 짐꾼, 비서, 점원 등 갖은 잡일을 하며 시간을 보내는데,[1] 이때 여배우 브리짓 오버와 친분을 쌓게 된다. 이후 그녀와 함께 칸 영화제를 방문하게 되고 그곳에서 미국의 영화 제작자 데이빗.O 셀즈닉(1902~1965)에게 발탁된다.

스크린 테스트 후 셀즈닉은 그에게 영어 교육을 제공하고 계약을 제안한다. 하지만 파리로 돌아온 그는 프랑스의 Y.알레그 감독을 만나게 되고, 고국에서 경력을 쌓으라는 충고를 받아들여 셀즈닉과의 계약 파기 후 Y.알레그 감독의 영화 1957년 "여자가 다가올 때"로 데뷔한다. [2]이후 "사랑은 오직 한 길(Christine)", "아가씨 손길을 부드럽게"로 인기를 얻고, 공전의 히트작 태양은 가득히로 세계적인 톱스타 반열에 오르게 된다. 이후에도 수없이 리메이크 된 이 영화에서 알랭 들롱은 잘생기고 위험한 남자 "톰 리플리" 역을 맡아 다부진 몸과 매혹적인 눈빛으로 전 세계 여성을 사로잡았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어머님 세대에서 미남 배우는 단연 알랭 들롱이었다. 외모만 잘 생긴 배우가 아니라 연기력도 호평을 받았다.

파일:Attachment/알랭 들롱/b0045063 4acf4b1a6e0c9.jpg
여주인공 마리 라포레에게 키스하는매의 눈빛

워낙에 빼어난 미모의 소유자인지라 여성 편력 역시 화려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독일의 여배우 로미 슈나이더와의 스캔들.[3] 1958년 그는 영화 "사랑은 오직 한 길"에서 호흡을 맞춘 독일 영화계의 스타 히로인 로미 슈나이더와 사랑에 빠져 약혼했지만, 5년 여의 연애 끝에 결별했고 로미 슈나이더는 죽을 때까지 알랭 들롱을 잊지 못했다고 한다. 그 이후로도 브리짓 바르도, 미레이유 다르크, 마리안느 페이스풀과 연애를 했다. 공식적으로는 아들 둘과 딸 하나를 두었는데 본부인 나탈리 들롱과의 사이에서 낳은 공식적 장남 안토니 들롱은 배우로 활동 중이며, 네덜란드계 모델 로잘리 반 브레멘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과 아들도 연예계 준비 중이라고. 또한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얼굴마담 멤버였던 니코와의 사이에서 실제적 장남 크리스티앙 아론(아리)을 낳았다. 그러나 알랭 들롱은 친자 인정 소송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아론을 자식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정작 이 사생아가 알랭 들롱을 가장 많이 닮은 것이 아이러니. 아이들 얼굴을 비교해놓은 샷들을 보면 이 사생아가 빼도 박도 못하게 닮았는데 알랭 들롱은 끝까지 자기 아들 아니라고 우기고 있다. 확인 소송에서 친자 아니라고 인정받았다는데 어떻게 인정받았는지 불가사의할 정도(...) 우리 나라 기준으로 보면 영낙없는 천하의 개쌍놈이지만, 간통죄가 없고 기혼 미혼을 가리지 않고 연애가 자유로운 프랑스인임을 생각하면 꼭 나쁘게 볼 일만은 아니다. 물론 현지에서 좋은 소리를 듣고 있지도 못하고. 탈세나 국적 이탈, 지나친 개런티 요구, 사건 의혹 등 다른 쪽으로 더 까이는 편.

우울하면서도 차가운 특유의 매력과 싸늘한 미모로 이후에는 주로 느와르에 출연했으며 "프렌치 느와르"의 전성시대를 열었다. 푹 눌러쓴 중절모, 깃을 세운 트렌치 코트를 입고 범죄자를 주로 연기했으며 이런 모습은 한밤의 암살자, "시실리안", "암흑가의 두 사람", "암흑가의 세 사람", "볼사리노", "고독한 추적" 등에서 볼 수 있다. 워낙 범죄자나 악역을 많이 맡다 보니 죽는 역할도 꽤 많다. 위 느와르 영화만으로 사망전대 멤버.
미남 배우의 대명사지만, 알랭 들롱은 로버트 테일러나 로렌스 올리비에 같은 귀족적인 미모와 거리가 멀다. 기품이라든가 선량함과는 거리가 있는 외모. 아마 어렸을 적 질풍 노도의 시기 때문인 듯 싶다. 그래서 그는 대개 밑바닥 하류인생을 주로 연기했는데 실제로 젊은 시절 꽤나 굴러먹었다 보니 그게 또 잘 어울린다. 일본의 작가 시오노 나나미는 자신의 책에 "알랭 들롱은 미남이다. 그러나 왠지 풍기는 분위기가 천하다"라는 평가를 내린 바 있다. 이후 1998년 <절반의 기회>를 끝으로 "프랑스 영화는 죽었다"고 선언하며 돌연 은퇴한 그는 영화 출연보다는 영화 제작과 복싱 프로모터로 활약했는데, 2008년에 <아스테릭스 : 미션 올림픽 게임>에서 백발이 성성한 시저 역으로 오랜만에 스크린에 얼굴을 비추었다.

외모도 신의 축복을 받았지만 목소리도 신의 축복을 받았는지 중후하고 부드럽다. 가수 제의도 자주 받았고, 나중에는 미스 이집트 출신의 가수 Dalida와 "Paroles Paroles" 라는 곡의 내레이션을 맡기도 했다. 우리 나라에선 무이자송으로 불리는 굴욕을 맛봤지만... 아래는 셀린 디옹과 함께 부른 "빠로레 빠로레".

다만 한가지 아쉬운점은, 알랭들롱은 출세작인 태양은 가득히 촬영 시기에 이미 20대 후반이었으므로, 인터넷에 나도는 수많은 알랭들롱의 사진은 보통 30대 이후 중년의 사진이 많다. 그래서 알랭들롱을 약간은 주름지고 눈빛 서늘한 마초적인 미남으로 생각하는 경우도 많은데 실제로 태양은 가득히 전의 그의 20대 작품들을 보면 리즈시절 디카프리오 뺨치는 꽃미남 외모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칸 영화제에서 전도연이 여우주연상을 수상했을 때 시상자이기도 했다.
파일:/image/003/2007/05/28/NISI20070528 0004491577 web.jpg

여담으로, 젊은 시절에 배가 고파서 레스토랑 앞에 우두커니 서 있으면 종업원이 그를 불러 공짜 밥을 먹여주기도 하고 옷가게 점원이 공짜로 옷을 주기도 했다고 한다. 젊은 시절의 미모를 보면 그럴 법도 하다. 젊은 시절엔 차가운 꽃미남, 조각미남이었으나 현재는 미중년을 거쳐 미노년으로 진화.

2 그에 대한 비판

갈아타기의 명수이자 성격 개거지(.........)로 프랑스에서는 이미 공인되어 매우 까이는 편.

새 여자가 생길 때마다 멀쩡히 사귀던 여친을 말도 없이 차버리는 연이은 행각 일명 환승이별로 유명한데도 별난 것은 그 차인 여친들은 알랭 들롱을 나쁘게 말하지 않는다는 것. 알랭을 스타로 만들어준 로미 슈나이더, 미레유 다르크 등이 대표적인 케이스로 정말 아무 내색도 안 하다가 갑자기 배신해 쇼크가 더 했다고 한다. 늘그막엔 세금 내기 싫다고 스위스로 국적까지 갈아타면서 이미지는 프랑스의 신성일 정도로 굳어졌다고 한다.

그리고 자기 포장과 언플에 능수능란한 것도 유명한 사실. 탈세 혐의 등으로 비난받으면서도 프랑스에서도 자신을 3인칭으로 칭하면서 '그는~', '알랭 들롱은~' 등으로 자신을 부르며 어떻게든 이유를 만들어내 자기 자신을 변호하는데 60년대에는 보디가드 살인 사건의 용의자로 불려다니면서도 미디어와 공화국 대통령을 상대로 편지를 보내 거창한 말로 자신이 무죄임을 항변한 바 있다. 그러나 사건 당시 영화를 찍고 있었다던 그의 증언과, 막판에 결정적인 증거 부족과 함께 사건에 연계된 권력층 때문에 알랭은 7년 간의 공판 끝에 결국 무죄로 판명이 났다. 그러나 살해당한 보디가드가 남긴 편지[4]와 구속 직전까지 고려했던 강도 높은 수사가 진행됐을 정도로 그는 유력한 용의자였다. 그리하여 이 사건은 종결 후에도 마피아의 압력으로 경찰이 수사를 중단했다는 등의 무수한 소문을 불러일으켰다.

이와 같이 계속되는 스캔들과 사건에 대한 연루 덕분에 그는 프랑스 언론의 도마에 자주 오르내렸다. 한국 방문[5] 시기 프랑스 언론은 그에 대해 '아시아 방문하러 간다는데 거기서는 어떤 싸가지로 욕 먹나 봅시다.', '역시나 알랭 들롱의 행실은 유럽 밖에서도 돋보였습니다. 자기가 황제인 줄 알았다네요.'라고 보도하는 등 호의적이지 못했다. 이와 반대로 92년 동아일보에서는 그를 '세련된 용모와 매너를 겸비한 배우'라고 보도한 바 있다. 당시 통역을 맡은 이다도시의 책에 따르면, 그놈의 성질머리 때문에 사람들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면서 이다도시에게 같은 나라 사람이니 좀 진정시켜봐라고 하기에 냅다 '나 한국 사람인데요'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래도 혼자 발광하다가 이다도시에게 사랑 때문에 한국에 왔냐면서 분을 풀더라고.

이혼한 부인 나탈리[6]가 있었고, 나탈리와 낳은 아들 안소니 들롱도 있다. 안소니 들롱은 젊었을 때는 '엄마 아빠의 못생긴 점만 닮았다'는 소리를 들었지만 중년이 되자 그래도 아버지의 중후한 풍모가 외모에서 배어 나온다. 할리우드에서 일하지만 인지도나 인기는 그저 그런 정도.

참고로 그가 연기한 역할 중에 실제 알랭 들롱의 성격과 가장 닮은 캐릭터는 야망을 위해 무슨 짓이든 하는 냉혹한 청년 '톰 리플리'라고 한다. 이것만 봐도 성격은 말 안 해도 비디오.
파일:Attachment/알랭 들롱/b0045063 4acf4b5f8bff3.jpg
1991년에 영화 카사노바에서 나이가 든 카사노바 역을 맡았는데 당시 최고 개런티급인 7백만 프랑을 받았다. 이를 두고 프랑스 언론은 한물 간 배우에게 무지막지한 개런티를 들인다며 제작자에게 비난을 퍼부었다. 흥행 역시 그저 그런 수준이었다.

1999년 스위스 국적을 취득하여 현재는 스위스에서 살고 있다. 당시 로망드 TV에 출현하여 귀화 및 이민 동기를 밝혔는데 스위스로 거주지를 옮기는 것은 재산 보호를 위해서뿐만 아니라 당시 프랑스의 사회주의 정부와 프랑스 사회 전반에 환멸을 느끼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3 작품들

알랭 들롱을 스타덤에 올린 대표작
  • 로코와 그의 형제들 1960년작.
루키노 비스콘티의 영화로, 강박관념의 후속작.
루키노 비스콘티의 영화.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 주연은 버트 랭카스터이고, 그 다음 비중이 높은 조역을 맡았다. 극중 알랭 들롱의 파트너는 1960년대의 섹스 심볼이었던 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 근대 유럽이 배경이다. 알랭 들롱은 버트 랭카스터가 맡은 구시대의 공작와는 반대 일로를 걷는 떠오르는 신흥 귀족(!)으로 출연한다.
  • 강 건너 텍사스 Texas across the river 1964년
들롱의 영화 중 드문 코메디. 딘 마틴과 함께 포복절도할 서부 소동극을 그린다. 국내 TV주말 영화 시간에도 여러 번 방송되었다. 그의 절정의 미모를 감상할 수 있다.
하드보일드한 암살자로 나오는 장 피에르 멜빌의 영화. 나중에 고스트 독에서도 패러되되었다.
  • 아듀 라미 1968년작.
찰스 브론슨과 함께 열연했는데, 갑자기 둘 다 웃통을 벗고 근육을 드러내는 장면이 뜬금없이 드러나있다. 이 영화 이후로 성냥불은 입으로 빨아들여서 끄는 게 유행했다.
롤링 스톤즈믹 재거의 실제 연인이었던 마리안 페이스풀이 등장. 여기서 결혼을 앞둔 그녀를 꼬시고 검열삭제하고 계속 불륜을 저지르는 나쁜 남자로 나온다.
  • 시실리안 1968년작
평범한 유로 크라임
장 피에르 멜빌의 영화로, 여기서 콧수염을 달고 나온다. 원래는 다른 제목인데, 암흑가의 두 사람(1973년작)이 먼저 나와서 이렇게 되었다. 2011년 리메이크한다고 하는데, 알랭 들롱도 출연한다고...
  • 볼사리노 1970년작.
평범한 하드보일드 영화.
리스본 특급이라고도 하고, 불타는 마약단이라고도 한다. 장 피에르 멜빌의 유작. 리처드 크레나와 함께 열연한다.
  • 레드 선 1971년작.
007시리즈와 바라키로 유명한 테런스 영(흑역사로 오! 인천이 있다)감독의 영화. 찰스 브론슨, 미후네 토시로와 함께 나온다.
  • 트로츠키 암살(The Assassination Of Trotsky)1972
전 약혼녀 로미 슈나이더와 같이 찍은 3번째 영화. 로미는 열혈 트로츠키 추종자, 알랭은 스탈린의 명으로 트로츠키를 암살하려고 로미를 유혹해 이용하는 역할로 등장한다.
  • 암흑가의 두 사람 1973년작. (Deux hommes dans la ville)[9]
호세 지오바니 감독. 갱생을 다짐한 전과자가 출소후 편견에 사로잡힌 형사에게 괴롭힘을 당하다가, 형사를 우발적으로 살해, 단두대에 의해 처형된다는 내용. 이 영화는 사형폐지의 입장에서 전과자가 다시 범죄를 저지를 수밖에 없는 현실을 비판적으로 다루었다. 이 영화의 파장이 대단해서 프랑스에서 사형폐지운동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10] 여기서 주인공을 돕는 보호감찰관역으로 장 가뱅(4~50년대를 풍미한 프랑스 배우. 망향의 주인공)이 함께 나온다. 한국에는 이게 먼저 소개되어서,레드 써클은 암흑가의 세 사람으로 수입되었다(...)
우리가 아는 그 조로가 맞다.
  • 고독한 추적 1976년작.
무슈 클라인이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있다. 조제프 로지 감독의 영화로, 미술품 거래인이 비시 정권하에서 유태인으로 오해받는다는 내용.
  • 에어포트 79 1979년작.
  • 분노는 오렌지처럼 파랗다 1988년작.
  • 누벨 바그 1990년작.
장 뤽 고다르 감독의 작품.
  • 카사노바 1992년작.
  • 아스테릭스: 미션 올림픽 게임 2008년작.
추가바람
  1. 한 때 갱단에 있었다는 소문도 있다.
  2. 정작 알랭 들롱은 미국에서 경력은 잘 안 풀렸다. 진출 후에도 레드 선 같은 이색작에도 출연했지만 미국에서 자체적인 인기는 끌지 못했다.
  3. 들롱의 유일한 결혼생활은 나탈리 들롱과의 몇 년이었으며, 다른 여인들은 약혼녀거나 동거인이었다.
  4. "내게 무슨 일이 생긴다면 알랭 들롱과 나의 부하 프랑수아 마르칸토니(당시 갱단의 일원)에게 물어달라."
  5. 1996년 자신의 이름을 딴 코냑과 화장품 홍보차 한국을 방문하였고 팬 사인회를 가졌다.
  6. 결혼 전후로 여러 명의 여인과 관계가 있었지만 결혼한 사람은 나탈리 한 명이다.
  7. 나중에 헐리웃에서 맷 데이먼 주연의 'The Talented Mr. Ripley' 라는 제목으로 2000년에 리메이크 됨 그냥 같은 원작소설을 각색한 영화일 뿐 이 영화 자체의 리메이크는 절대 아니다.
  8. 들롱이 연기한 배역을 BBC라디오 드라마 버전에서 톰 히들스턴이 연기했다.
  9. 원제의 뜻은 그냥 "도시의 두사람"인데..이렇게 번역을 하니 꼭 느와르냄새가 난다. 그러나 이작품은 느와르가 아니다.
  10. 결국 1977년 프랑스에서 사형은 폐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