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항공 5390편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2.jpg
착륙 후의 모습

1 개요

1990년 6월 10일 영국항공 5390편(BAC 원 일레븐, 등록번호 G-BJRT)이 폭발성 감압을 일으켜 생긴 사고. 해당 여객기는 영국의 버밍햄에서 출발, 스페인의 말라가로 향하던 중 출발한지 2분만에 17000피트 상공에서 조종석 앞유리가 압력에 의해 뜯겨나가며 폭발성 감압을 일으켜 조종사가 빨려나가는 사고를 당했다. 승객은 87명이었으며 사망자는 없다.

2 사고 진행

출발 당시는 아무런 이상을 찾지 못했고, 버밍햄 공항을 출발 후 말라가로 향하던 중 17000피트 상공에 이르러 조종사가 조종석 앞유리가 심하게 흔들리는걸 발견하였다.

17000피트 상공에서 조종사가 조종석 앞유리가 심하게 흔들리고 있다는 것을 발견한 직후 앞유리가 압력차로 인해 바깥방향으로 뜯겨나가며 폭발적 감압을 일으켰다. 당시 부조종사는 안전벨트를 한 상태였으나 기장인 팀 랭카스터는 안전벨트를 하지 않았고 폭발성 감압이 일어남과 동시에 자리에서 빨려나갔다.

사고가 난 직후 바로 부조종사인 알라스터 에치슨은 바로 대처를 시작했으며 기장 팀 랭카스터는 완전히 빨려나가지 않고 무릎 아래가 조종실 내에 걸쳐진 채로 항공기 속도에 따른 강한 바람으로 인해 조종석 외부에 붙어 있는 상태였다.

부조종사인 알라스터 에치슨은 속력을 줄이고 고도를 낮추었고, 이로 인해 기압과 산소상황을 어느정도 회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속도가 떨어져 조종석 상부에 붙어있던 기장이 조종석 측면 유리 바깥쪽으로 미끄러져 내려왔고, 이를 본 승무원인 나이젤 오그덴이 기장의 다리를 잡고 밖으로 떨어지지 않게 유지했다.

부조종사의 적절한 대처로 인해 여객기는 인근 공항에 안전히 착륙했으며, 기장인 팀 랭카스터는 곧바로 병원으로 후송되었다. 그 외 승무원과 승객들은 모두 안전히 착륙했다.

3 사고 원인

조종석 앞유리창을 고정한 볼트중 단 한개가 0.5mm정도 작았다. 압력으로 인해 이 작은 볼트가 고정되어 있던 부분이 뜯어지며 다른 볼트들도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차례대로 뜯어졌다. 그리고 이 앞 창이 뜯겨나가며 폭발성 감압이 일어났다.

4 사고 후

기장인 팀 랭카스터는 20분 넘게 여객기 외벽에 붙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오른팔과 손목의 골절, 동상등의 경미한(?) 부상 밖에 입지 않았다. 이 사고를 당한 팀 랭카스터는 5개월 후 다시 기장으로 복귀했다. 혼란스러운 상황속에서 기장과 승객을 모두 구한 부조종사 알라스터 에치슨은 공로를 인정받아 폴라리스상을 수여받았다. 하지만 그를 구한 승무원 나이젤 오그덴은 PTSD로 인해 직장을 떠났다.

5 관련 다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