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아시스 오브 더 시즈


오아시스급 크루즈선의 1번선 '오아시스 오브 더 시즈'


오아시스급 크루즈선의 2번선 '얼루어 오브 더 시즈'

1 개요

#소개 홈페이지

Oasis of the Seas. STX 유럽이 건조[1]하고 크루즈 전문 회사인 '로얄캐리비안 인터네셔널'사가 소유하고 있는 세계에서 제일 큰 크루즈선.
오아시스급의 1번선인 오아시스 오브 더 시즈(Oasis of the Seas)와 오아시스급의 2번선인 얼루어 오브 더 시즈(Allure of the Seas)두 선박 모두 225,000톤의 총톤수를 가졌으며[2] 길이는 362m에 너비는 66m, 높이는 72m이다. 승객 6318명[3]에 승무원 2394명, 합 8700명이 탑승할 수 있는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크루즈선이다. 최고속도는 22노트.

2 설계

크기가 크기인 만큼 배를 건조하는데에 매우 많은 인원이 참여했다. 총 인원 8000명이 참여하고 항시 참여인원은 3200명에 달했다고 한다. 조선소에서 말하길 '오아시스 오브 더 시즈의 건조는 매우 많은 블럭들을 짜맞추는 3D 퍼즐같은 것이다'고 했다. 배를 완성하는데 든 총 블럭의 개수는 181개라고 한다. 용접된 부분의 총 길이를 합하면 2400km이라고(...) 흠좀무

요트나 거대한 선박이 150피트 이내로 접근하면 선교에서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보통 다른 배에서는 당연히 보이지만 이 배가 워낙 큰 터라(...) 그래서 설계사들은 오아시스 오브 더 시즈의 선교에 TV 카메라를 달았다고 한다.거인은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배 옥상 앞쪽에 개방된 일광욕장이 있는데, 승객들의 쾌적함을 위해서 일광욕장에 바람이 너무 많이 불지도 않고 적게 불지도 않게 설계를 해야됐다. 쾌적함은 둘째치고 바람이 너무 세게 불면 모든게 날아가버리잖아그래서 설계사들은 오아시스 오브 더 시즈의 모형을 풍동 시험 장치로 들고가서 공기역학적인 면을 테스트했다. 결과는 성공. 공밀레

물론 8700명이 탑승하는 배인만큼 구명정도 철저하게 준비해야하는데, 구명보트를 벽에 쳐보고(...) 위에서 낙하시켜 충격테스트를 하는 등(...) 아주 격렬한 방법으로 구명정의 안전성을 입증하였다.

이 배에는 수천개의 특실이 있는데, 사실 이 특실은 모두 조립이 완료된 컨테이너(...)라고 한다. 외부에서 컨테이너 안에 가구를 넣어 객실을 완성해오면, 그걸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배에 바로 집어넣어서 짜맞춘다. 즉, 선체의 상당부분이 컨테이너 집합체인 셈이다. 컨테이너선[4]

이 배에서 가장 놀라운 부분 중 하나는 배의 굴뚝이다. 굴뚝 따위가 무슨 혁신적이냐고 반문할 수 있지만 이 굴뚝은 움직인다(...). 덴마크의 '그레이트 벨트 대교'를 통과하기 위해서 굴뚝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5] 공밀레

3 이 배에 타 보려면

오아시스 오브 더 시즈는 미국 플로리다포트로더데일에서 출발해 바하마, 세인트마틴 섬, 아이티[6], 자메이카카리브해 몇 군데를 거쳐 다시 포트로더데일로 돌아가는 식으로 운용된다. 요금은 일주일간 숙식포함 최저 백만원부터 시작하는 정도로 같은 회사의 다른 크루즈선보다는 약간 비싼 편이지만 일주일 숙식포함이므로 일반인이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비싸지는 않다. 세계 최대의 크루즈선 집중운행지역인 카리브해 쪽은 크루즈선 공급이 하도 많아서 평균요금이 약간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 그것보다는 사실 한국에서는 직항도 없는 미국 플로리다까지 날아가는 항공권 가격, 그리고 긴 비행시간이 걸림돌이다.

4 트리비아

첫 운행에서 덴마크의 그레이트 벨트 대교를 통과했는데, 이때의 과정이 참 인상적이다. 오아시스 오브 더 시즈의 높이는 72m인데, 그레이트 벨트 대교는 65m이다. 수심이 20m밖에 되지 않아 그대로 통과하면 배의 윗면이 대교를 치고 지나가기 때문에(...) 진공상태를 만들어 0.3m을 더 가라앉힌다. Squat라고 불리는 유체역학을 이용한다고 한다.[7]

로열 캐리비안 크루즈사의 CEO인 리처드 페인은 이 배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세계 최대를 지향하지 않습니다. 큰 게 있으면 작은 것도 있죠. 우리가 지향하는건 새롭고 색다른 걸 제공하는 겁니다. 대안을 중시하는거죠. 하지만 대형 선박에서만 구현가능한 것도 있죠.

그래서 그는 크루즈선에 회전목마를 설치했다. 뭐하는 짓거리야!!

2010년도 기준으로, 오아시스 오브 더 시즈의 선장은 '빌 라이트'이다.[8] 뭔가 심시티를 개발한 윌 라이트가 떠오르는 이름이다 그가 선교에 앉아서 인터뷰를 하며 하는 말이.. "오아시스 오브 더 시즈는 아주 큰 배이지만 사람 손만한 조이스틱 하나로 조종이 가능합니다"라고.. 흠좀무

저녁 식사 기준으로 24000접시의 음식이 제공된다고.. 배 안에는 24개의 식당이 있다고 한다.

5 갤러리


오아시스 오브 더 시즈의 첫 모항 입항당시.


자매선인 얼루어 오브 더 시즈의 옆면.길고 아름다워


위에서 본 배의 전경.


오아시스 오브 더 시즈의 뒷면.


배 앞쪽에 있는 일광욕장.


옥상에 있는 수영장.


스릴이 넘치다 못해 죽을 것 같은(...) 배 후미쪽에 위치한 줄타기.


배 뒷편에 위치한 스포츠덱. 미니골프와 농구장과 파도타기와 선베드가 보인다.


배 내부의 객실.물론 모든 객실이 저렇게 호화롭지는 않다. 돈대로 가는 거


오아시스 오브 더 시즈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을 해놓은 사진.


모형으로도 나왔다! 돈십만원 단위로는 어림도 없겠네.

그리고 이걸 마인크래프트로 재현해낸 용자도(...) 뭐하는 짓거리야!!
  1. 정확히는 STX 핀란드의 투루크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
  2. 기존의 최대 크루즈 선과 비교하면 무려 45% 증가한 값이다. 22만톤이라는 수치가 엄청나게 커보이지만 무식하게 배수량이랑 비교하면 안된다. 여객선의 경우는 승객이 승선하여 내부의 시설을 이용하도록 제작된 일종의 서비스 공간이기 때문에 여객선의 크기는 용적 즉 내부의 공간의 크기로 결정한다. 배의 기본 운영에 필요한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100입방피트=1t으로 잡고 계산한 것이 바로 총톤수. 오아시스 오브 더 시즈의 배수량은 약 10만톤 근처로 추정되고 있다. 니미츠급의 최신 함과 비교하면 비슷하거나 살짝 가볍다. DWT는 15,000t 정도. 화물선의 경우는 짐을 얼마나 실을 수 있는지가 중요하므로 적재량을 기준으로 배의 크기를 정한다(주로 DWT). 군함의 경우는 크기로 세금을 내는 것도 아니고 화물이나 승객을 얼마나 태우느냐수송선은?로 결정되는 것도 아니므로 배수량으로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이렇게 배의 종류에 따라 크기를 결정하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혼동하면 잘못된 결론이 나오기도 한다. 예를 들면 ULCC중 하나인 TI급의 경우 무려 441,585DWT 지만 총톤수로 보면 불과 234,006GT로 오아시스 오브 더 시즈와 별 차이가 없어져 버린다.
  3. 객실 수는 2706개
  4. 이런 모듈화는 어디서든 진행되고 있는 방식이라 따로 특별하다고 할 것은 못된다. 개발비용부터 시작해 제반 비용이 많이 들지만 모듈화가 된 배는 정비시간이 대폭 줄어드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 미 해군이 진수하는 신형 군함은 대부분 모듈화가 되어 있다.
  5. 상단의 1번함과 2번함의 사진 중 굴뚝을 보면 그 차이를 알 수 있다.
  6. 아이티의 치안이 염려될 수 있겠지만, 이 배는 로얄캐리비안사가 소유한 아이티의 작은 사유지 섬에 기항한다.
  7. Squat 효과는 선박이 수심이 얕은 곳을 지나갈 때 발생하는 선저 침하 현상으로, 선박이 움직일 때 선저와 지면 사이를 흐르는 물의 유속이 주변보다 빨라지는 관계로 선저의 수압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천수지역을 항행 중인 선박은 정지 상태보다 조금 더 가라앉게 되는데, 수심이 얕고 선속이 빠를수록 이 현상은 심해진다.
  8.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현대의 선장은 단지 선박 운항 관련 선내 최고책임자에 불과하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개 6개월 주기로 다른 선장으로 교대된다. 법적으로도 해사노동협약(MLC, Maritime Labour Convention)에 의하여, 모든 선원은 12개월 이상 한 선박을 연속으로 승선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다만, 선사나 선박에 따라서는 마이쉽(My ship) 제도가 있어, 해당 선박만을 담당하여 주로 승선하는 책임선장이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책임선장이 휴가를 나오면 다른 선장이 교대로 승선하여 운항하다가, 휴가가 끝나면 다시 책임선장이 승선하는 식으로 돌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