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검성 전투

王儉城戰鬪
{{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틀 개선 프로젝트}}

@happen@
@year@년
@date@

1 개요

왕검성전투(王儉城戰鬪).고조선 최후의 전투. 한나라와의 결전으로 총 2차례 펼쳐졌다. 일반적으로 왕검성(王儉城)으로 불리지만 일부 사서에서는 왕험성(王險城)이라 기록된 것도 있다.

당시 한나라는 정점으로 치닫는 황금기의 한무제 시기였고 인구나 국력이 고조선을 크게 압도했다. 심지어 정사 삼국지에서 위나라 인구 400만에서 걷는 세입이 한나라 시절 인구가 750만에 달하던 한 주보다 못하다고 징징거리기도 한다.

고조선에서 갔던 사신이 의문의 죽음을 당하자 한무제는 이를 빌미로 고조선을 침공한다. 1년 간의 대치 끝에 우거왕이 태자와 대신들의 배신으로 시해당하고, 고조선은 한나라에 투항하나 이후 우거왕의 충신 성기가 군사들을 독려하여 왕검성에서 한나라에 다시 대항하였다. 하지만 성기 역시 배신자에 의해 살해되고 왕검성은 함락당했다.

2 당시 시대적 상황

BCE 108년 당시 고조선 세력도. 평양부근의 별모양이 수도 왕검성이다.

준왕을 몰아내고 고조선의 왕이 된 위만의 손자 우거왕은 한반도 일대의 , , 진한 등과 한나라와의 중계 무역을 통해 고조선을 강성한 나라로 키워가고 있었다. 이 때만 해도 한무제가 북방의 흉노족에게 신경을 쓰느라 고조선의 이러한 성장을 막지 못했다. 이 틈에 고조선은 한나라의 유민과 정치적 망명객들을 받아들이며 선진 문물도 수용해 나아갔다.

한나라의 요동 태수는 위만을 외신(外臣)으로 삼아 요새 밖의 만이를 다스리도록 하고 그 부족의 군장들이 천자를 보고자 하면 저지하지 못하게 하였다. 이로 인해 군사와 재물을 동시에 얻게 되었고 그 위력으로 이웃에 있는 작은 고을을 쳐서 세력 확장을 꾀하니 진번과 임둔이 모두 복속했는데 그 영역이 수천리에 달했다. 위만 임금은 왕위를 그의 아들에게 넘겼고 그의 아들은 우거에게 계승케 하니 한나라에서 우거에게로 망명해 가는 자들이 더욱 많아졌다.

사기》 권 115, 조선열전

하지만 요동 태수는 직접적인 공격 대신 고조선의 약화를 위해 기원전 128년에 요동지역(압록강 상류 혹은 동가강(佟佳江)유역 일대로 추측)에 있던 예군(濊君) 남려(南閭)를 포섭, 우거왕에게 반기를 들게 했다. 예군은 예족의 족장이라는 뜻도 되지만 그 시기 위치적으로 고조선 혹은 한나라에 간섭을 받던 지역으로 추측되는 만큼 고조선이나 한나라가 내린 칭호일 가능성도 있다. 포섭된 남려는 요동 태수의 후원을 받으며 거대한 폭동을 일으켰고, 그가 지배하던 28만여 명의 인구를 이끌고 한나라에 복속되었다. 그후 한나라는 남려가 지배하던 지역에 창해군(滄海郡)을 설치, 고조선의 힘을 빼놓기 시작했다.

이에 분노한 우거왕은 한나라와의 외교 관계를 차단하고 고조선을 거쳐 한나라에 입조하려는 여러 나라들을 막았다.

기원전 109년, 한무제가 사신 섭하(涉河)를 보내어 고조선에게 이러한 상황을 바꾸도록 했으나, 우거왕은 그의 말을 거부했고 섭하는 한나라로 돌아오는 길에 그를 엄호하던 고조선의 비왕(裨王) 장(長)을 패수에서 살해했다. 섭하는 이 공으로 요동(遼東)의 동부도위(東部都尉)에 올랐으며 빡친 우거왕은 군사를 일으켜 요동을 쳐 섭하를 죽였다.

한소제 원봉 2년, 한나라 사신 섭하가 조서를 (고조선에) 들고 우거 임금에게 그렇게 하지 말도록 타일렀으나 그는 끝내 황제의 조서를 받지 않았다. 섭하는 돌아오는 길에 (한나라와 고조선의) 국경인 패수에서 마부를 시켜 자신을 배웅하는 조선의 비왕(裨王) 장(長)을 죽이고 강을 건너 요새로 돌아와서 천자에게 "조선의 장수를 죽였다"고 보고했다. 천자는 더 이상 죄를 묻지 않고 섭하를 요동동부도위로 삼았다. 조선의 병사들이 섭하를 습격해 죽였다.

사기》 권 115, 조선열전

한나라는 그것을 노렸다. 벼르고 별렀던 고조선에 대한 공격을 이 사건을 빌미로 감행한 것이다.

3 1차 왕검성 전투

전한(前漢)의 병사
그해 가을, 천자는 누선장군(樓船將軍) 양복(楊僕)으로 하여금 제나라 지역으로 부터 발해를 건너가 우거를 치도록 명하고 좌장군(左將軍) 순체(荀彘)에게는 5만의 병사를 주어 요동으로 나아가 우거를 치도록 했다.

사기》 권 115, 조선열전

한나라의 5만 7천은 육군과 수군으로 나뉘어 고조선을 침공했다. 5만의 육군은 좌장군 순체가 이끌었고, 7천의 수군은 누선장군 양복이 이끌었고 발해만을 거쳐 고조선의 수도인 왕검성을 향했다.

하지만 우거왕의 지휘아래 고조선은 선전했다. 오히려 좌장군(左將軍) 휘하의 졸정(卒正) 다(多)의 병력을 격파하고 발해만을 거쳐 왕검성을 포위한 양복의 수군도 무찔렀다. 그 기세를 몰아 육로로 오던 순체의 육군 병력도 패수에서 저지했다. 이러한 기세에 당황한 한무제는 위산(衛山)을 우거왕에게 보내 협상을 진행하려고 했다. 우거왕은 그의 태자를 보내 항복할 의사를 내비쳤다.

천자(天子)는 두 장군의 전세가 유리하지 않다고 여기고, 위산(衛山)으로 하여금 군사의 위엄을 갖추고 가서 우거(右渠)를 달래게 하였다. 우거는 사자(使者)를 보고 머리를 숙이며 사과하기를, "항복하기를 원하였으나 장군이 신(臣)을 속여서 죽일까 두려워했는데 이제 신절(信節)을 보았으니 항복을 받아주길 청합니다."하면서 태자를 보내 들어가 사죄하게 하고 말 5천 필을 바침과 아울러 군량(軍糧)을 내어 주었다.

사람들 만여 명이 병기를 지니고 막 패수(浿水)를 건너려 할 때 사자와 좌장군은 그들이 변을 일으킬까 두려워 태자에게 "이미 항복했으니 사람들에게 병기를 지니지 말라고 명하시오."라고 말하였다. 태자도 역시 사자와 좌장군이 속임수를 쓰는 것인 아닌가 의심하여 끝내 패수를 건너지 않고 사람들을 이끌고 돌아가 버렸다.


사기》 권 115, 조선열전

하지만 위산과 순체가 무장 해제를 요구해 태자는 돌아왔고 협상은 깨지고 전쟁은 개시되었다. 왕자가 돌아갔다는 소식을 한무제에게 전한 위산은 죽임을 당했다고 한다. 이때 조선상(朝鮮相) 역계경(歷谿卿)은 왕에게 건의를 했다. 어떤 건의인지는 알 수가 없으나 아마 화친과 비슷한 방향의 제안인듯 보인다. 우거왕이 이를 거부하자 자신의 집단 2,000호를 이끌고 진나라로 망명했다.

4 2차 왕검성 전투

순체는 패수에서 가진 두 번째 교전에서 고조선군을 격파하고 왕검성의 북서쪽을 포위했고, 양복은 성의 남쪽을 포위했다. 왕검성을 포위한 한나라 군대는 왕검성에 대대적인 공격을 감행했으나 고조선의 저항과 더불어 양복과 순체의 갈등으로 왕검성은 몇 달 동안이나 이들의 공격을 저지했다.

좌장군은 일찍이 연과 대지역의 군사를 거느린 경험이 있고 천자를 직접 모셔서 총애를 받은 적도 있으나 성질이 사나웠다. 더욱이 작은 싸움에서 이긴 기세를 타서 교만하게 조선을 급히 공격하도록 군사의 출동을 서둘렀다. 누선은 우거와의 싸움에 패하고 나서 제 지역의 군사를 거느리고 바다로 들어갔으나 도망가는 병졸들이 많았고, 병졸들이 모두 우거를 포위하고 있기는 했어도 그와 화해하려는 마음도 가지고 있었다.

이때 우거의 대신이 누선에게 비밀리에 사람을 보내 항복을 시도했다. 좌장군은 수차례 누선에게 같이 싸우자고 재촉했으나 누선은 우거와 화해할 의사를 가지고 있어 이에 응하지 않았으며 좌장군이 우거의 항복을 받으려 해도 우거는 이미 마음을 누선에게 주고 있었기 때문에 역시 응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두 장군은 서로 사이가 좋지 않았다.


사기》 권 115, 조선열전
KBS%20%BF%AA%BB%E7%BD%BA%C6%E4%BC%C8%20%C1%A6087%C8%B8%20%B0%B3%C3%B5%C0%FD%20%C6%AF%C1%FD%201%C6%ED%20-%20%BA%F1%B9%D0%C0%C7%20%BF%D5%B1%B9%20%B0%ED%C1%B6%BC%B1.avi_002640573.jpg
고조선 병사 복원도[1]

이러한 상황은 순체가 양복을 잡아 가두고 군대 통솔권을 본인이 직접 가지게 되면서 급반전하게 되는데 이를 알게된 고조선 내부에선 주화론(主和論)파와 강경파로 나뉘게 된다. 109년 4월, 주화론을 주장하던 조선상(朝鮮相), 노인(路人 : 중앙장관), 한음(韓陰), [2] 장군 왕협(王唊), 이계상(尼谿相), [3] 참(參, 지방장관 격) 등이 한나라에 항복하며 배신을 했고 그해 6월, 참(參)이 보낸 자객이 우거왕을 살해했다. 허나 참은 후일 다시 한나라를 배신하려다 죽임을 당한다. 역사적인 배신자들은 몸 속에 배신유전자가 내장되어 있나보다 아래 부분 참조.

그럼에도 왕검성은 왕의 측근인 대신(大臣) 성기(成己)를 중심으로 저항하자 이를 초조해한 순체가 노인의 아들 노최(路最)[4]에게 성안의 주민들을 이간질 시키게 했다. 노최는 성 안의 사람들을 이간질시켰고 우거왕의 아들 장항(長降)[5]과 도모해 성을 지키던 성기를 살해했다. 장항은 곧바로 한나라에 투항했고 결국 기원전 108년 고조선의 수도 왕검성이 함락되면서 위만조선은 3대 80여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5 이후

한무제는 이곳에 한사군을 설치해 관리하도록 했고 우거왕의 아들 장또는 장항/장강(長降)은 왕검성 함락의 공로를 인정받아 한나라의 기(幾) 지역을 다스리는 기후(幾侯)에 책봉되었다. 도대체 왜 태자가 아버지까지 배신해가면서 그깟 열후가 되려고 했을까

최는 열양후(涅陽侯)에, 한음은 적저후(荻苴侯)에, 참은 홰청후(澅淸侯)에 책봉되었다. 이들 중 참은 기원전 99년에 도망친 고조선인 포로를 숨겨준 죄로 잡혀 투옥되었다가 죽임을 당했다고 한다.

한나라군에게 협력한 현지인들과는 달리, 정작 한나라군 지휘부의 후일은 좋지 못했다. 한나라군의 지휘관이었던 순체는 "공을 다투고 서로 시기하여 계획을 어긋나게 한 죄"를 추궁당해 사람 많은 곳에 목을 베고 시체를 거리에 버리는 형벌인 "기시"를 당했고자업자득, 순체에게 군권을 뺏겼던 양복도 "병사를 거느리고 열구에 이르러 순체를 기다리지 않고 함부러 군사를 풀어 많은 병사를 잃어 버린 죄"를 추궁당해 부랄을 참수당할 뻔 했으나 양복이 속전(보석금)을[6] 바친 덕분에 죽음을 면하는 대신 여생을 평민으로 살았다.

결국 모든 공은 한무제의 손에 들어갔다(...) 머리 좋으시네요
  1. 번쩍번쩍한건 금(金)이 아니라 청동이다. 흔히 청동은 녹색으로 알고 있지만 갓 만든 청동은 노란색을 띄며, 부식이 일어나면서 색깔이 변하는거다.
  2. 사기》에는 "한음", 《한서》에는 한도(韓陶)라고 나와있다.
  3. 여기서 이계는 고조선 토착세력의 지명일 가능성이 크며, 상은 그 지역을 다스리는 부족장으로써 부여받은 관직인듯 보인다. 이름을 기록한 주체가 한나라측이다 보니 중국식 관직명을 적어놓은 듯 하다.
  4. 기록에는 아버지인 노인보다 더 빨리 투항했다고 한다.
  5. 한서》에는 장강(長降)으로 표기되었다. 《사기》 『후자연표』(侯者年表)에는 장로(張路)로 표기되어 있는데 이를 근거로 장(長)이 본래 이름이고 장로는 한나라에 투항한 후에 부여 받은 이름이라는 주장도 있다.
  6. 다만 이 보석금이 엄청 큰 돈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목숨과 맞바꿀 정도의 금액이니 절대 만만치 않은 액수였고 무엇보다도 사마천이 이 돈이 없어서 궁형을 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