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괴워치/생물

1 개요

요괴워치에 등장하는 생물을 적은 문서.

요괴워치는 요괴가 메인인 게임이긴 하지만 초등학생의 여름방학 생활을 담은 게임이기도 해서 평범한 생물들도 꽤 많이 나온다. 애초에 이 게임은 시작부터 매미를 잡으면서 시작한다. 평범한 초등학생이 희귀한 매미를 찾으러 깊은 산 속에 들어갔다가 위스퍼와 만나고 요괴 라이프가 시작되었다는 전개이다. 처음 주인공은 요괴 친구가 없었지만 그것도 방금 잡은 매미가 세미마루(무사맴)이 매미로 변신하고 있었던 거여서 처음으로 친구가 되어준다. 만약 공원에서 장수풍뎅이 같은 거 잡았으면 게임 스토리가 시작도 못했을지도

게임 시스템상으로 요괴와 생물은 겹치지 않게 되어있다. 풀섶이나 나무에서 요괴가 나오면 생물은 나오지 않고, 생물이 나오면 요괴는 나오지 않는다.

잡은 생물들은 가끔 퀘스트 중간에 필요하기도 하고 정글 헌터나 다른 잡다한 상점에서 아이템들과 교환할 수 있다. 1에서는 이 정글 헌터 시스템이 '초록매미 3개, 청새치 한 개' 등의 물물교환 시스템이라서 이용하기가 불편했고 레어만 받는 상점들도 많아서 일반 생물은 굉장히 잉여했다. 다행히도 2, 3에서는 JP라는 생물용 화폐를 사용해서 교환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레어 생물의 JP는 일반 생물의 5배. 정글 헌터에서 이따금 생물 한 종을 정해서 JP를 3배 높게 쳐주는 이벤트를 열기도 한다.

생물은 벌레/물고기로 두 종류로 나누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비가 오면 곤충은 적게 나타나고 물고기는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그밖에도 필드 이벤트로 이따금 벌레나 물고기가 많이 나타나는 날에는 날씨(おてんき) 어플에서 확인할 수 있다.

3에서는 5장까지 이나호는 일본에서 벌레만 잡을 수 있고, 케이타는 미국에서 물고기만 잡을 수 있다. 6장에서부터 아이템을 공유하게 되면서 둘 다 벌레 채집과 낚시를 할 수 있다.

2 잡는 방법

기본적으로 룰렛 형식이다. 빙글빙글 화살표가 도는 가운데 A키를 누르면 화살표가 잠시 후 멈추는데, 노란색 칸에 멈추면 잡히게 된다. 좀 더 짙은 주황색 칸에서 멈추면 레어. 벌레를 유인하는 검정시럽(スーパー黒みつ)을 쓰면 노란색 칸이 늘어나 잡힐 확률이 늘어난다. 레어 칸은 늘어나지 않는다. 멈추는 곳은 약간의 규칙성이 있어서 익숙해지면 좀 더 잘 잡히기는 하는데 랜덤한 면도 좀 있다는 모양이다. 간혹 빈 칸에서 멈췄는데 약간 화살표를 씰룩 옮겨줘서 잡은 걸로 쳐주는 경우도 있다.

2에서부터는 2차 룰렛으로 잡아야 하는 벌레들도 있다. 첫 룰렛에서 레어에 멈추면 그냥 바로 잡히지만 일반 칸에 걸리면 2차 룰렛을 한 번 더 해야 한다. 이 룰렛에서는 누르자마자 바로 멈춘다. 두 번 룰렛을 해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레어가 잡기 더 편할 수도 있다. 바로 멈추니까 룰렛 속도를 보고 감을 잡기는 더 편하기는 하다. 흑설탕을 쓰면 1차 룰렛이 확률이 늘어나기도 하고 2차 룰렛 확률이 늘어나기도 하는데, 사용 자체는 1차 룰렛을 굴릴 때만 쓸 수 있다. 1차에서 성공하고 2차로 넘어간 상태로는 흑설탕을 쓸 수 없다.

2에서부터 물고기 잡기의 시스템이 달라졌다. 노란 바가 오른쪽 끝과 왼쪽 끝에 닿지 않도록 살살 돌리다가 특정 시점에서 막 돌려서 오른쪽 끝에 닿게 하는 식이다. 물고기를 살살 유인하다가 릴을 감아올리는 것을 묘사한 듯하다. 확률적 요소가 줄어들고 약간 더 시간과 집중력을 요구하게 되었다. 벌레와는 달리 레어/일반이 처음부터 정해져있어서 반짝이는 것을 잡아야 레어로 잡힌다. 밑밥은 확률이 아니라 등장 생물을 늘려주는 식으로 역할이 바뀌었다.

아래의 물고기 중에서도 '낚시'로 잡아야 할 것들만 위의 물고기 잡기 시스템을 따른다. 거북이나 자라 같은 것은 지상에 있을 때는 벌레와 마찬가지로 룰렛으로 잡는다. 그렇다고 또 잠자리채 모션이 뜨는 것도 아니라서 그냥 갑자기 훅 잡히는 좀 심심한 모션이 이어진다. 앞서 언급한 거북이나 자라도 헤엄치고 있을 땐 낚시로 잡는다. 등장 위치에 따라 잡는 방법이 달라지는 것이 특이하다.

3 서식지와 JP

생물의 종류는 14/16종 (1), 47/52종 (2), 58/46종 (3)이다. 2에서 넓어진 배경을 반영하기라도 할 생각이었는지 생물의 종류가 굉장히 늘어났다. 3에서는 미국이 추가가 되면서 지역의 종류는 더 늘었지만 미국에서는 벌레가 나오지 않고 나기사키에서 채집이 막히면서 그다지 늘어나진 않았다. 대신 빠지고 들어간 것들이 꽤 있다.

2에서부터는 생물들만 따로 모아놓는 생물도감(いきもの図鑑) 어플이 따로 생겨서 요괴대사전처럼 잡은 생물들을 확인할 수 있게 됐다. 2에서는 그러면서도 소지품 창에는 들어있는 등 아이템 취급을 받다가 3에서는 아예 아이템 창에서 빠졌다. 그래서 아이템 문서에서도 분리했다 요괴대사전에서처럼 생물들이 어디 서식해있는지 대략 확인할 수 있다. 2에서는 희한하게도 일단 잡으면 서식지 위치 설명이 생물 설명으로 바뀌어서 서식지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3에서는 잡은 생물들도 서식지를 확인할 수 있다.

1의 서식지는 따로 표시하지 않았다. 등장 지역이 사쿠라 마을 하나뿐이므로 나무/풀섶/바다 등의 세부 지역만 신경 쓰면 된다. 분류할 기준이 적어서인지 1에서는 밤/낮에 따라 등장 생물이 달라지는 경우가 좀 많이 있다. 2, 3에서는 반딧불 정도를 제외하면 밤이든 낮이든 생물 분포가 변하지 않는다.

특정 개수만큼 잡고 정글 헌터에 가면 보너스 아이템을 준다. 10종/30종/50종/75종 등등. 아래 표에서는 레어를 같은 종으로 취급하지만 게임 시스템상으로는 레어도 다른 종으로 친다. 벌레와 물고기 보너스는 따로따로라서, 벌레 50종/물고기 50종 식으로 각각 따로 보너스를 준다.

아래 등장 지역 정보의 출처는 요괴워치, 요괴워치 2, 요괴워치 3이다.

아래의 한국어 이름은 일본어 이름이 지칭하는 종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을 때도 많다. 이를테면 'ミンミンゼミ'는 Hyalessa maculaticollis인 반면 '참매미'는 Hyalessa fuscata인 식으로 근연종이다. 자세한 사항은 각각의 생물 문서를 참조하자.

3.1 벌레

이름 (58)한국어정발판 (1)위치 (2)위치 (3)JP (2→3)
ミンミンゼミ참매미초록매미사쿠라 주택가 나무소요카제 힐즈 나무3
アブラゼミ유지매미갈색매미사쿠라 주택가 나무소요카제 힐즈 나무12
ツクツクボウシ (2)애매미-사쿠라 주택가 나무케마모토 나무8
ニイニイゼミ (2)털매미-단단사카 나무단단사카 나무18
ヒグラシ[1]저녁매미저녁매미오오모리 산 나무오오모리 산 나무23
クマゼミ (2)말매미-오오모리 산 나무케마모토 나무41
ノコギリクワガタ톱사슴벌레톱사슴벌레오오모리 산 나무오오모리 산 나무28
ヒラタクワガタ (2)넓적사슴벌레-케마모토 나무케마모토 나무22
ミヤマクワガタ (2)사슴벌레-케마모토 나무오오모리 산 나무34→50
オオクワガタ왕사슴벌레사슴벌레오오모리 산 나무오오모리 산 나무64
カブトムシ장수풍뎅이장수풍뎅이오오모리 산 나무오오모리 산 나무42→44
モンシロチョウ (2)배추흰나비-사쿠라 주택가 화단소요카제 힐즈 화단2
アゲハチョウ호랑나비호랑나비사쿠라 주택가 화단소요카제 힐즈 화단13
カラスアゲハ (2)제비나비-케마모토 풀섶타조노 논밭40
オオムラサキ (2)왕오색나비-케마모토 풀섶오오모리 산 대나무67
ヤゴ (3)수채, 학배기--타조노 논밭15
イトトンボ (3)실잠자리--타조노 논밭30
シオカラトンボ (2)밀잠자리-소요카제 힐즈 나무타조노 논밭16
ギンヤンマ (2)왕잠자리-오오모리 산 나무오오모리 산 연못31
オニヤンマ (2)장수잠자리-케마모토 묘지타조노 논밭38→41
アキアカネ (3)고추좀잠자리--케마모토 풀섶40
オオスカシバ (3)줄녹색박각시--소요카제 힐즈 화단41
ホタル반딧불이반딧불이케마모토 계곡타조노 논밭 (밤)26
テントウムシ무당벌레무당벌레사쿠라 주택가 풀섶소요카제 힐즈 화단1
ダンゴムシ (2)공벌레-사쿠라 주택가 마루소요카제 힐즈 풀섶3
ショウリョウバッタ방아깨비메뚜기사쿠라 주택가 풀섶소요카제 힐즈 풀섶6
イナゴ (2)벼메뚜기-케마모토 풀섶케마모토 풀섶11
トノサマバッタ풀무치풀무치오오모리 산 풀섶오오모리 산 풀섶24
コオロギ (2)귀뚜라미-단단사카 풀섶단단사카 대나무7
スズムシ (2)방울벌레-케마모토 마루오오모리 산 대나무15
キリギリス (2)여치-심부름 골목 화단사쿠라 주택가 화단9
ハラビロカマキリ (2)넓적배사마귀-오오모리 산 풀섶오오모리 산 풀섶15
オオカマキリ
(1:カマキリ)
왕사마귀사마귀단단사카 화단오오모리 산 풀섶30
ゴマダラカミキリ알락하늘소장수하늘소오오모리 산 나무오오모리 산 나무16
ナナフシ (2)대벌레-오오모리 산 풀섶오오모리 산 대나무19
タマムシ (2)비단벌레-오오모리 산 풀섶오오모리 산 대나무12
ハンミョウ (3)길앞잡이--오오모리 산 풀섶28
オケラ (2)땅강아지-케마모토 풀섶케마모토 풀섶21
ゾウムシ (3)바구미--단단사카 풀섶7
コメツキムシ (3)방아벌레--타조노 풀섶9
ハナムグリ꽃무지꽃풍뎅이오오모리 산 풀섶오오모리 산 풀섶10
コガネムシ (2)풍뎅이-오오모리 산 풀섶사쿠라 주택가 풀섶17
カナブン (2)풍이-사쿠라 주택가 나무소요카제 힐즈 풀섶2
カメムシ (2)노린재-소요카제 힐즈 풀섶소요카제 힐즈 풀섶8
ミズスマシ (3)물맴이--타조노 논밭26
ゲンゴロウ (2)물방개-케마모토 논밭타조노 논밭58→60
タガメ (2)물장군-케마모토 논밭타조노 논밭50→51
タイコウチ (3)장구애비--타조노 논밭19
ニホントカゲ (2)일본도마뱀-심부름 골목 풀섶심부름 골목 풀섶14
カナヘビ (2)장지뱀-단단사카 묘지단단사카 풀섶25
アカハライモリ (2)일본얼룩배영원-케마모토 논밭타조노 논밭27
アメンボ (3)소금쟁이--타조노 논밭2
カブトエビ (2)투구새우-케마모토 논밭타조노 논밭5
タニシ (2)우렁이-케마모토 논밭타조노 논밭10
ジャンボタニシ (2)왕우렁이-케마모토 논밭타조노 논밭32
カタツムリ (2)달팽이-사쿠라 주택가 마루소요카제 힐즈 풀섶 (비)9
アマガエル (2)청개구리-사쿠라 주택가 풀섶소요카제 힐즈 풀섶 (비)5
ヒキガエル (2)두꺼비-케마모토 계곡오오모리 산 계곡 (비)11

1에서 낮에만 잘 잡히는 생물은 저녁매미, 호랑나비가 있으며, 밤에는 메기 연못 근처에서 반딧불이가 잡힌다.

2에서 세부 지역은 나무/풀섶/화단/묘지/마루/계곡/논밭 등이 있다. 3에서는 묘지가 빠지고 대나무숲이 추가됐다. 아마 케마모토에 있던 묘지가 빠져서(단단사카의 묘지뿐) '묘지'가 하나의 탭으로 기능하기 힘들다고 여겨져서인 듯. 매미는 나무에 있고 나비는 화단에 있는 식으로 대체로 상식을 따르고 있다. 사실 세부 지역이 더 중요하다. 위의 '사쿠라 주택가 풀섶'이면 가끔 케마모토 풀섶에서도 나올 때도 있지만 풀섶 벌레가 나무에서 나오는 일은 결코 없다. 또한 사쿠라 마을의 벌레가 케마모토에서 나오는 일은 있지만 반대의 경우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위의 표에서도 볼 수 있지만 미국에서는 벌레가 잡히지 않는다. 5장까지는 애초에 케이타한테 잠자리채도 없거니와...

3에서는 케마모토 역 앞까지만 갈 수 있고 마을 내로 진입할 수 없게 되면서 케마모토에 있던 생물들이 주로 타조노로 많이 옮겨졌다. 위치 (3) 탭에서 '케마모토'라고 써진 것들은 모두 케마모토 역 앞을 의미한다. 역 앞 지역이 그다지 넓지 않다는 걸 생각하면 여전히 꽤나 많은 생물이 사는 셈.

아래의 물고기와는 달리 삭제된 벌레는 없다. 2에서 33종, 3에서 11종이 추가되었다.

3 기준으로 JP가 가장 높은 벌레는 왕오색나비(オオムラサキ)이다. 67점. 반대로 제일 적게 주는 것은 무당벌레. 1점밖에 안 된다. 심지어 레어를 3배 이벤트로 쳐도 15점으로 보통 매미 수준의 포인트...

3에서 사슴벌레(ミヤマクワガタ)의 JP가 34점에서 50점으로 올랐다. 다른 것들은 대체로 2와 3의 점수가 동일하거나 오르더라도 1~2점 정도인데(장수풍뎅이, 물방개 등) 16점이나 오른 것은 상당히 이례적이다.

1 정발판에서는 알락하늘소가 장수하늘소로 바뀌었다. 문서에서도 볼 수 있듯이 천연기념물... 하지만 작중에서는 매우 쉽게 잡을 수 있다.

3.2 물고기

요괴워치 2 (52)요괴워치 3 (46)한국어 이름정발명위치 (2)위치 (3)JP (2→3)
カメカメ거북거북사쿠라 주택가 강소요카제 힐즈 연못4
-ニオイガメ (3)냄새거북--이스트카슈 연못8
-アカミミガメ (3)붉은귀거북--다미안 농장 연못17
スッポン (2)スッポン (2)자라-오오모리 산 강다미안 농장 연못8
カニ (2)サワガニ (2:カニ)-케마모토 강사쿠라 주택가 강14
アメリカザリガニ (2)アメリカザリガニ (2)미국가재-오오모리 산 강이스트카슈 연못2
イセエビ (2)イセエビ (2)닭새우-나기사키 바다요플사 수조43
シャコ (2)シャコ (2)갯가재-사쿠라 중앙시티 바다사쿠라 중앙시티 바다30
-シジミ (3)재첩--사쿠라 중앙시티 강2
ヒトデ (2)ヒトデ (2)불가사리-사쿠라 중앙시티 바다사쿠라 중앙시티 바다3
タツノオトシゴ (2)タツノオトシゴ (2)해마-사쿠라 중앙시티 바다사쿠라 중앙시티 바다17
フナフナ붕어붕어케마모토 강단단사카 강1
アユアユ은어은어사쿠라 중앙시티 강소요카제 힐즈 강38
ボラ (2)ボラ (2)숭어-나기사키 바다사쿠라 중앙시티 바다30
ヤマメ (2)ヤマメ (2)산천어-사쿠라 주택가 강오오모리 산40
コイ (2)コイ (2)잉어-소요카제 힐즈 연못소요카제 힐즈 연못11
ブラックバスブラックバス블랙배스검은배스오오모리 산 연못노스피스타 지구 강9
サケ (2)サケ (2)연어-사쿠라 주택가 강소요카제 힐즈 강29
-キングサーモン (3)왕연어-노스피스타 지구 강68
イトウイトウ사할린자치거대연어사쿠라 주택가 강사쿠라 주택가 강43
イワシ (2)イワシ (2)청어-사쿠라 중앙시티 바다사쿠라 중앙시티 바다7
アジアジ전갱이고등어사쿠라 중앙시티 바다사쿠라 중앙시티 바다12
サバ (2)-고등어-나기사키 바다-?
キス (2)キス (2)청보리멸-사쿠라 중앙시티 바다요플사 수조10
カマス (2)カマス (2)꼬치고기-사쿠라 중앙시티 바다사쿠라 중앙시티 바다15
-カワマス (3)곤들매기--숲 속 비밀기지 강18
トビウオ (2)-날치-나기사키 바다-?
ライギョライギョ가물치가물치단단사카 강단단사카 강30
カサゴカサゴ쏨뱅이볼락나기사키 바다사쿠라 중앙시티 바다18
イサキ (2)-벤자리-나기사키 바다-?
スズキ (2)-농어-나기사키 바다-?
メジナ (2)-벵에돔-나기사키 바다-?
カワハギ (2)-쥐치-나기사키 바다-?
ヒラメ (2)ヒラメ (2)넙치-나기사키 바다요플사 수조43
カレイ (2)-가자미-나기사키 바다-?
タイタイ붉돔나기사키 바다사쿠라 중앙시티 바다35
イシダイ-돌돔돌돔나기사키 바다-?
チヌ (2)-감성돔-사쿠라 중앙시티 바다-?
ブリ (2)-방어-나기사키 바다-?
コンゴウフグコンゴウフグ뿔복뿔복?사쿠라 중앙시티 바다28
ハリセンボン (2)ハリセンボン (2)가시복-사쿠라 중앙시티 바다사쿠라 중앙시티 바다9
ドジョウ (2)ドジョウ (2)미꾸리-오오모리 산 연못오오모리 산 연못22
-ハモ (3)갯장어--사쿠라 중앙시티 바다47
タチウオ (2)タチウオ (2)갈치-사쿠라 중앙시티 바다사쿠라 중앙시티 바다33
アナゴ (2)アナゴ (2)붕장어-나기사키 바다사쿠라 중앙시티 바다16
ウナギ (2)ウナギ (2)장어-심부름 골목 바다심부름 골목 강28
ナマズナマズ메기메기오오모리 산 연못오오모리 산 연못18
-オオナマズ (3)웰스 메기--노란 항 강53
クラゲクラゲ해파리해파리사쿠라 중앙시티 바다사쿠라 중앙시티 바다6
タコ (2)タコ (2)문어-사쿠라 중앙시티 바다사쿠라 중앙시티 바다13
モイカ (2)-흰오징어-나기사키 바다-?
コウイカ (2)-갑오징어-나기사키 바다-?
ホタルイカ-매오징어반딧불오징어나기사키 바다-?
スルメイカ (2)スルメイカ (2)살오징어-나기사키 바다사쿠라 중앙시티 바다13
ヤリイカ (2)-화살오징어-나기사키 바다-?
チョウチアンコウ-초롱아귀아귀나기사키 바다-?
エイ (2)-가오리-나기사키 바다-?
カジキ-돛새치청새치나기사키 바다-?
マグロ (2)マグロ (2)다랑어-나기사키 바다요플사 수조75
-ブルーギル (3)블루길--숲속 비밀기지 강16
-ホワイトバス (3)화이트배스--노스피스타 지구 강22
-パンプキンシード (3)펌킨시드--노스피스타 지구 강3
-アリゲーターガー (3)앨리게이터 가아--노스피스타 지구 강33

1에서 해파리와 오징어, 아귀는 밤에만, 청새치와 붉돔은 낮에만 잡힌다. 거북과 블랙배스는 연못에서만 잡힌다는 것에 주의.

거대연어(イトウ)는 실제로도 멸종 위기 동물이어서 게임상으로도 그렇게 자주 보이지 않는다. 1에서는 이걸 잡아오라는 퀘스트도 있다. 그런데 3에서는 자주 보이는 수준을 넘어서 그 큰 물고기가 세 마리씩이나 헤엄치고 있는 것도 자주 볼 수 있게 되었다.

3에서는 나기사키에서 채집이 아예 막혀서 종류의 대격변이 일어났다. 나기사키 바다에서만 잡을 수 있던 것들은 거의 없어지거나 일부만 잡을 수 있게 바뀌었다. 블랙배스는 외래종으로 유명해 전작에서는 일본에서 생태계 파괴를 하고 있었는데 3에서는 고향인 미국에서도 나온다. 일본에서도 여전히 잡히지만... 그밖에도 악어나 펌킨시드 등 미국에만 있는 생물들이 조금 추가되었다. 그래도 나기사키에서 빠진 것들이 워낙 많아서 전작에 비해서 개수가 줄어들었고 시리즈 처음으로 벌레보다 숫자가 적어졌다.

이렇게 3에서는 많은 어종이 사쿠라 중앙시티 바다로 넘어와서 17종이나 중앙시티 바다에서 잡을 수 있게 되었는데 바다 지역의 특성상 물고기가 잘 구별되지 않아서 꽤나 번거롭다. 점으로밖에 안 보여서 그냥 일단 잡고 보면 대체로 전갱어라든지...

1 정발판에서는 전갱이가 고등어로 바뀌어서 등장한다. 2에서는 전갱이와 고등어 둘 다 등장하므로 2가 정발된다면 전갱이를 고등어로 대체할 수는 없을 듯. 3에서는 고등어가 짤려서 도로 전갱이만 남게 되었다.

4 룰렛 배열

벌레마다 룰렛의 모양은 마주칠 때마다 회전은 되어있을 수 있지만 배열 자체는 같다. 그래서 배열을 보고 어떤 벌레인지 대략은 알 수 있다. 배열 자체는 꽤나 엇비슷한 편이라 구분하기 힘들지만 대략적인 벌레 종류(매미, 잠자리, 나비)와 아울러 짐작하면 알아보기 좋다.

일반 칸은 4~6칸이고 레어 칸은 종류 불문 1칸뿐이다. 12칸짜리 룰렛이므로 아무렇게나 잡으면 일반 곤충은 1/2, 1/3 확률 정도로 잡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대체로 칸이 붙어있을수록 쉽다. 정확하게 누르지 않아도 옆칸에 넘어가서도 잡을 수 있으니까.

요괴워치에서는 2칸, 3칸인 것도 많았고 레어 칸이 없는 룰렛도 꽤 있었다. 검정시럽을 써서 레어 칸이 생기는 경우도 있었다. 운이 나쁘면 한 칸 빌 때까지 최대로 검정시럽을 써도 레어 칸이 안 나타나기도 한다. 요괴워치 2에서부터는 레어가 처음부터 등장하게 바뀌었고, 레어의 위치도 고정되었다.

상술한 대로 요괴워치 2부터는 특정 벌레에 한해 2차 룰렛이 생겼다. 2차 룰렛의 칸 수는 대체로 4-5칸. 2차 룰렛에서는 레어 칸이 없어서 2차 룰렛을 통해 레어를 잡을 수는 없다. 마주쳤을 때 2차 룰렛의 회전 각도는 1차 룰렛과 또 별개이다. 아래의 표에 나온 것에서 1차 룰렛과 2차 룰렛이 각각 몇 도 정도 다르게 틀어져있는 식으로 나온다.

룰렛 배열은 요괴워치, 요괴워치 2, 요괴워치 3가 기본적으로 거의 동일하다. 단, 요괴워치 2에서부터 2차 룰렛인 벌레들은 당연히 요괴워치와는 룰렛 배열이 다르다. 2에서 1차 룰렛인 것들 중에서도 방아깨비처럼 약간 모양이 다른 경우도 있다.

4.1 벌레

4.1.1 요괴워치

ミンミンゼミ
참매미
(초록매미)
アブラゼミ
유지매미
(갈색매미)
ヒグラシ
저녁매미
カブトムシ
장수풍뎅이
オオクワガタ
왕사슴벌레
ノコギリクワガタ
톱사슴벌레
ショウリョウ
バッタ
방아깨비
(메뚜기)
オオカマキリ
사마귀
トノサマバッタ
풀무치
ホタル
반딧불이
アゲハチョウ
호랑나비
ゴマダラカミキリ
알락하늘소
(장수하늘소)
ハナムグリ
섬꽃무지
(꽃풍뎅이)
テントウムシ
무당벌레

참매미, 사마귀, 호랑나비, 알락하늘소, 섬꽃무지, 무당벌레의 룰렛 배열은 2에서도 동일하다. 사마귀의 배열은 넓적배사마귀로 계승됐다.

4.1.2 요괴워치 2 & 요괴워치 3

아래의 분류는 대체로 목(目)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레어의 위치를 1시로 통일하였다.

4.1.2.1 매미

매미
ミンミンゼミ
참매미
アブラゼミ
유지매미
ツクツクボウシ
애매미
ニイニイゼミ
털매미
ヒグラシ
저녁매미
クマゼミ
말매미

3에서 추가된 매미는 없으나 애매미와 말매미가 케마모토로 옮겨졌다. 사쿠라 뉴타운에 있는 참매미나 유지매미도 케마모토에서 꽤 자주 발견되는 편. 체감상 저녁매미는 케마모토에서 그다지 보기 힘들다.

참매미는 플레이어가 제일 처음으로 잡게 되는 기념비적인 벌레라고 할 수 있다. 1의 전개상 무조건 잡아야지만 스토리가 진행된다. 놓치면 진행되지 않는다. 그야말로 어디에나 있는 매미. 주인공이 만족하지 못하고 오오모리 산으로 올라갈 만하다.

매미들은 옆의 다른 벌레를 잡으면 쉽게 도망가버리는 게 특징이다. 아래 딱정벌레는 옆에 있는 매미를 잡아도 쉽사리 날아가지 않는다. 만약 두 개를 한꺼번에 다 잡고 싶다면 매미를 먼저 잡고 딱정벌레를 잡는 게 좋다.

요괴워치에 실린 벌레 중에서 가장 분류학적으로 유사하다. 위의 매미들은 모두 매미과에 속한다. 아래의 벌레들 중에서 같은 과끼리만 묶인 표는 없다.

4.1.2.2 딱정벌레

풍뎅이상과
ノコギリクワガタ
톱사슴벌레
ヒラタクワガタ
넓적사슴벌레
ミヤマクワガタ
사슴벌레
オオクワガタ
왕사슴벌레
カブトムシ
장수풍뎅이
ハナムグリ
꽃무지
コガネムシ
풍뎅이
カナブン
풍이
그밖의 딱정벌레
コマダラカミキリ
알락하늘소
ホタル
반딧불이
テントウムシ
무당벌레
ゾウムシ
바구미
コメツキムシ
방아벌레
タマムシ
비단벌레
ハンミョウ
길앞잡이

クワガタ(사슴벌레)와 カブトムシ(장수풍뎅이)가 대립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각각이 요괴로 변한 쿠와노부시(クワノ武士)와 무샤카부토(武者かぶと) 버전도 있다. 종족도 용맹족/호걸족으로 갈린다. 두 요괴의 합성 버전은 クワガ大将와 かぶと無双인데 뒤에 붙는 한자는 クワガタ의 た(大将), カブトムシ의 む(無双)에 각각 맞춘 듯. 퀘스트 중에서는 두 벌레 중 하나를 골라서 레어 버전으로 주면 요괴 버전으로 친구가 될 수 있는 것도 있다. 요괴워치 2와 1기 극장판의 엔딩 역시 '사슴벌레와 장수풍뎅이'(クワガタとカブトムシ)일 정도. 사슴벌레 쪽은 가타카나(クワノ)를, 장수풍뎅이 쪽은 히라가나(かぶと)를 쓰는 것도 미묘한 차이이다.

넓적사슴벌레는 사슴벌레 중에서는 유일하게 1차 룰렛이지만 케마모토에서만, 그것도 그렇게 꽤 자주 등장하지는 않는다.

길앞잡이는 이 부류 중에서 제일 생물학적으로 멀다. 사실 길앞잡이와 가장 가까운 애들은 수생류 탭에 있는 물맴이와 물방개 쪽.

4.1.2.3 나비

나비
モンシロチョウ
배추흰나비
アゲハチョウ
호랑나비
カラスアゲハ
제비나비
オオムラサキ
왕오색나비

나비 부류는 날개가 커다랗고 화면 위쪽을 넘실넘실 날아다니기 때문에 바로 알아볼 수 있다. 배추흰나비와 호랑나비는 등장 지역이 같지만 날개 색깔이 워낙에 달라서 쉽게 구분 가능. 사실 날개도 커다랗고 색도 뚜렷하기 때문에 설령 네 나비가 한 곳에 있다고 해도(게임상으로는 불가능하지만)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제비나비는 일본 이름 カラスアゲハ에 アゲハ가 들어가는 것으로도 알 수 있듯이 호랑나비속에 속한다. アゲハチョウ는 호랑나비속을 의미하기도, 호랑나비 한 종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종으로서의 호랑나비(Papilio xuthus)만을 특별히 일컫을 때 일본어로는 ナミアゲハ라는 단어를 쓰기도 한다는 모양이다.

아래의 '기타'에 있는 줄녹색박각시는 나방이므로 나비목에 속한다. 출현 장소는 여기 실린 배추흰나비, 호랑나비와 함께 사쿠라 마을 화단로 동일하다.

4.1.2.4 잠자리

잠자리
ヤゴ (3)
학배기
イトトンボ (3)
실잠자리
シオカラトンボ
밀잠자리
ギンヤンマ
왕잠자리
オニヤンマ
장수잠자리
アキアカネ (3)
고추좀잠자리

3에서 잠자리의 종류가 많이 늘어났다. 이 중 학배기는 잠자리 유충으로 다른 수생류와 마찬가지로 타조노 논밭에서만 볼 수 있다. 밀잠자리를 제외하면 모두 2차 룰렛이다.

4.1.2.5 메뚜기

메뚜기
ショウリョウ
バッタ

방아깨비
イナゴ
벼메뚜기
トノサマバッタ
풀무치
コオロギ
귀뚜라미
スズムシ
방울벌레
キリギリス
여치
オケラ
땅강아지

메뚜기목의 곤충들. '메뚜기'라는 말은 대체로 메뚜기목에 속하는 곤충들을 총칭하므로 위의 곤충들은 전부 '메뚜기'라고 부를 수 있다. 심지어 꼽등이조차도 메뚜기라고 부를 수 있다 좀 더 좁게 '메뚜기아목'만 칭한다면 방아깨비, 벼메뚜기, 풀무치까지. 아래의 네 개는 여치아목.

요괴워치 1에서는 이 벌레들 중 방아깨비와 풀무치만 나왔기 때문에 정발판에서는 방아깨비 쪽을 '메뚜기'라고 번역하였다. 방아깨비도 메뚜기이긴 하지만 풀무치도 메뚜기에 속하기 때문에 조금 애매한 번역이다. 사실 원판에서도 '귀뚜라미(コオロギ)' 쪽에 비슷한 문제가 있는데 사실 '귀뚜라미'라고 하면 방울벌레도 귀뚜라미에 속하게 되는 등의... 세세한 문제가 있다.

메뚜기 부류의 곤충들은 게임 내에서 모두 대나무와 풀섶에 등장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귀뚜라미와 그 부류에 속하는 방울벌레가 대나무에 살고, 나머지는 풀섶. 사쿠라 뉴타운 쪽에는 방아깨비와 사마귀가 대부분이라면 케마모토에서는 벼메뚜기와 땅강아지가 주로 보이기 때문에 확실히 분위기의 차이가 느껴지기는 한다.

4.1.2.6 사마귀

사마귀
ハラビロ
カマキリ

넓적배사마귀
オオカマキリ
왕사마귀

사마귀가 두 종류가 되었다. 형태나 곤충 설명은 왕사마귀(オオカマキリ) 쪽이 이어받고, 룰렛 배열은 넓적배사마귀 쪽으로 계승됐다. 넓적배사마귀가 조금 더 많이 보인다.

4.1.2.7 도마뱀

도마뱀
ニホントカゲ
일본도마뱀
カナヘビ
장지뱀
アカハライモリ
일본얼룩배영원

주로 풀섶에서 등장한다. 세 개는 그다지 다르게 생기지 않았지만 등장 지역이 심부름 골목/단단사카/타조노로 확실하게 갈리기 때문에 서로 다른 도마뱀을 헷갈릴 일은 없다. 다른 종류에 비해서 등장 빈도가 그다지 높지 않다. 일본얼룩배영원은 타조노 논밭 두렁에서 등장하니까 수생류 탭에도 넣을 수 있을 듯.

4.1.2.8 수생류

수생류
ミズスマシ (3)
물맴이
ゲンゴロウ
물방개
タガメ
물장군
タイコウチ (3)
장구애비
アメンボ (3)
소금쟁이
カブトエビ
투구새우
タニシ
우렁이
ジャンボタニシ
왕우렁이
カタツムリ
달팽이
アマガエル
청개구리
ヒキガエル
두꺼비

수중에서 주로 등장하는 벌레들을 한데 묶은 탭. 다른 탭과 달리 여러 가지 종류의 생물로 이루어져있다. 생물 분류로 치자면 딱정벌레(물맴이, 물방개), 노린재아목(물장군, 장구애미, 소금쟁이) 등으로 다르게 묶인다. 의외로 우렁이와 왕우렁이는 과가 다르다.

주로 물이 풍부한 타조노 논밭과 오오모리 계곡에서 등장한다. 풀섶과 마찬가지로 식물 뒤에 가려서 잘 안 보일 때도 있다. 조그마한 생물이 많아서 가려질 때가 더 많은 편.

3에서는 물맴이가 추가되면서 한국어 기준으로 물맴이/물방개/물장군으로 물 자 돌림이 세 마리가 되었다.

4.1.2.9 기타

기타
オオスカシバ
줄녹색박각시
ダンゴムシ
공벌레
ナナフシ
대벌레
カメムシ
노린재

사연이 있어서 다른 부류에 속하지 못한 벌레들. 줄녹색박각시와 나비 부류와, 노린재는 매미 부류와 목이 같지만 해당 부류의 벌레들과 분류 단계상 차이가 커서 제외했다. 공벌레와 대벌레는 각각이 다른 목을 형성하고 있다.

4.2 물고기

4.2.1 요괴워치

カメ
거북
ブラックバス
검은배스
イトウ
자치
(거대연어)
フナ
붕어
アユ
은어
ライギョ
가물치
アジ
전갱이
(고등어)
タイ
도미
(붉돔)
コンゴウフグ
뿔복
カジキ
청새치
クラゲ
해파리
ホタルイカ
매오징어
(반딧불오징어)
チョウチアンコウ
초롱아귀
(아귀)
ナマズ
메기
カサゴ
쏨뱅이
(볼락)
イシダイ
돌돔

4.2.2 요괴워치 2 & 요괴워치 3

カメ
거북
ニオイガメ (3)
냄새거북
アカミミガメ (3)
붉은귀거북
スッポン
자라
サワガニ
민물게
シジミ (3)
재첩
ヒトデ
불가사리

2에서부터는 대체로 낚시로 잡게 되면서 룰렛으로 잡는 것은 별로 없다. 룰렛으로 잡는 물고기 중 2차 룰렛인 것은 없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요괴워치/아이템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해당 문서에도 써져있지만 '쓰르라미 울 적에'는 오역이다. 쓰르라미는 오로지 한국에만 있으며 애매미와 더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