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라간킨

1 개요


FrontierGen-Uragaan_Icon.png
이름 : 우라간킨
일문 : ウラガンキン
영문 : Uragaan
종별 : 수룡종
분류 : 용반목-수각아목-추악룡상과-간킨과
별명 : 폭추룡(爆鎚竜)

우라간킨의 생태

별명 "폭추룡"으로 불리는 수룡종의 몬스터. 완강한 턱으로 암반을 부숴 주식인 광석을 섭취한다.

용암을 사용해 암석이나 광석을 자신의 몸에 바르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또 신체를 흔들어서 부착된 암석(화약석)을 흩뿌려서 거대한 턱으로 그것을 폭발 시키는 모습도 관찰되고 있다.

몬스터 헌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몬스터.

몬스터 헌터 트라이에서 나온 새로운 몬스터. 생김새는 일반 수룡골격이지만, 이상하게 비대해있는 턱, 등뒤에 나있는 수많은 돌기들 그리고 무언가 사람 처럼 생긴 눈과 입(정확히는 치아)의 모습으로 인해서 생긴거 자체로는 그다지 인기는 없는듯 하다. 한국에서는 커다란 턱이 김구라를 연상시켜서인지 구라간킨이란 별명으로 불린다.

같은 수룡종 골격의 다른 몬스터에 비해 상당히 거대하다. 볼보로스의 대충 1.5~2배 정도의 크기. 그라비모스정도의 크기인데 턱때문인지 왠지 더 커보인다.

1.1 아종


MH3U-Steel_Uragaan_Icon.png
영문:Steel Uragaan
별명 : 강추룡(鋼鎚竜)

"강추룡"이라는 이명을 가진 우라간킨의 아종

통상종과 같이 몸을 둥글게 말아 고속으로 굴러 이동하는것이 특징
식성이 다르기때문에, 체내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심하다고
체표면에 부착되어있는 화약석도 가스성분이 있고 그것이 폭발할때 가스를 분출한다.

1.2 특수개체

MHGen-Crystalbeard_Uragaan_Icon.png

영문 : Crystalbeard Uragaan

특수개체인 보전(宝纏) 우라간킨은 턱과 꼬리에 자수정같은 돌이 박혀있는게 특징.

2 특징 및 공략

덩치가 커서 그런지 갈무리횟수가 많다. 몸통 4회, 꼬리 1회. 꼬리는 처음 한번 부위파괴를 한 이후 절단이 가능하다.

턱이 비대하게 발달해 있어서 턱을 이용한 공격을 주로 사용한다. 전방 4회 내려찍기라든가, 포효 이후에도 후속타로 턱찍기 2회가 따라온다. 턱공격에 지진이 붙어서 헌터가 피하더라도 비틀거리게 하는 내려찍기 공격이 주된 패턴. 그러나 대두라서 해머에 약하고, 또 기절도 잘 걸린다. 서드의 경우 턱을 부수면 육질이 연해져서 약점으로 변한다. 빠른 토벌을 위해선 턱을 빠르게 부수고 머리를 집중공략하는 게 좋다. 기절내성은 그다지 낮지는 않지만, 다른몬스터에 비해서 머리가 맞기 쉬운위치에 있고, 또 크다보니 잘 맞아서 기절시키기가 아주 어려운 것도 아니다. 그러나 무기의 예리도가 낮으면 무기가 펑펑 튕겨나가기 때문에, 높은 예리도의 무기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예리도 +1이나 심안 스킬을 띄우는 것을 추천. 하위 유저라면 예리도 때문에 턱을 공략하기 상당히 힘들 텐데, 처음 잡을 때는 엉덩이 옆에서 이리저리 긁어주며 꼬짤+뎀딜하는 편이 좀 쉬울 것이다. 턱 자체는 타격속성이 아니라도 부술 수 있다. 가노토토스처럼 다리 사이 공간이 안전해 보이지만, 배 밑에서 긁는 방법은 가스 견제 탓에 상당히 힘들다. 꼬리 휘두르기를 조심하며 궁뎅이를 노리자.

거대한 꼬리에는 화약석이 잔뜩 발라져있는데, 꼬리를 휘둘러서 화약석을 떼어내고 턱으로 치는 행동 등으로 폭파시켜 헌터를 공격할 수 있다. 서드의 경우 자기가 터트린 화약석에 경직을 먹거나, 분노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같은 돌먹는 몬스터인 그라비모스처럼 핵캐논은 발사하지는 않지만은 화염가스와 수면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몸을 모아서 뒹굴수도 있는데, 어떤 방법으로 추진하는지는 모르지만 완전히 폭주 기관차 라고 불러도 될 것같다. 하지만 스태미너가 딸린 상태에서 구르면 진행궤도가 단순해 지는데다(일반상태나 분노때는 궤도를 한번 꺾는다.) 구른 뒤 쓰러져서 한동한 못 일어나는 등의 틈을 만든다. 서드와 트라이G에선(트라이 미확인) 이때 곡괭이로 몸통쪽의 암석을 캘 수 있다. 한번 쓰러지면 일어날때까지 채광이 가능하다.(보통 1~2회에서 타이밍이 빠르다면 3회까지도)

트라이에서는 5성 퀘스트로 등장하며, 육질이 단단해서 해당 시점의 검사로는 꽤 어려운 축에 속한다. 그러나 서드에서는 턱이 부서지면 약점으로 변하고, 참격도 푹푹 잘만 들어간다. 하향 지못미... 약점은 수속성 > 용속성.

2.1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서드

아종인 강추룡이 등장한다. 악취가 심하다는 설정으로, 수면가스 대신 악취가스를 내뿜고 꼬리에서 나오는 화약석에서도 악취가 나온다. 맞으면 물약을 못먹게되니 소취옥(탈취구슬)을 챙기는게 좋다.

의외로 독 대미지를 엄청나게 많이 입는다. 내성도 낮고 지속시간도 길다. 전작의 그라비모스도 그렇고 암석은 독에 약한건가?

2.2 몬스터 헌터 트라이 G

하위/상위는 3rd와 크게 변한 게 없다. 턱을 부수면 육질이 한없이 연해지는 것도 3rd 사양. 한 마디로 어렵잖은 편.

G급 우라간킨의 경우 정면으로 한 바퀴 구른 후 턱으로 지면을 내리쳐 지진을 발생시키는 패턴이 추가되었다. G급 아종도 동일한 추가패턴을 사용하나, 추가패턴 시작부터 끝날 때까지 악취가스를 주변에 흩뿌리기 때문에 빈틈이 전혀 없다. 그만해 생각보다 매우 불쾌한 패턴. 게다가 꽤 아프기까지 하므로 어쨌든 맞지 말자. 아종의 경우 구르기 시작한 순간 몸에서 악취가스가 살짝 피어나오는 게 보이므로 구분 가능.

모가의 숲(밤)에서도 등장. 꼬리에서 화약암을 흩뿌리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수렵보다 훨씬 쉽다.

2.3 몬스터 헌터 크로스

서드시절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전작을 해본 헌터들이라면 그리 어렵지 않게 수렵할수 있을 것이다.

특수개체인 보전 우라간킨이 등장한다. 원종보다 몸의 색깔이 조금 더 짙고 턱과 꼬리에 보석이 잔뜩 박혀있는 것이 특징. 턱의 보석은 타격계열 무기로만 부위파괴 가능하다. 화약암을 흩뿌리는 패턴에 때로 반짝이는 보석암이 섞여나오기도 하는데 때때로 수면가스를 뿜어낸다. 타이밍을 맞춰 채굴하면 보암괴라는 10000z에 팔리는 소재가 나오니 여유가 있다면 곡괭이를 챙겨가자.

보통 우라간킨과 비교하면 공격들의 범위가 늘어나고 몇몇 패턴에 지진 효과가 추가되었다. 또한 이블조처럼 턱으로 바위를 파서 원거리에 날리는 패턴도 사용한다. 다른 특수개체들에 비해 눈에 띄는 변경점은 아니기 때문에 패턴 자체는 무난한 편이지만, 육질이 굉장히 단단한데다가 체력도 높은 편이니 장기전이 될 가능성이 높다. 속성 내성도 증가해서 차라리 폭파나 독 무기를 가져가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2.4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프론티어에도 우라간킨이 천유종으로 새롭게 추가되었다. 프론티어의 마개조로 턱을 내리치거나 굴러서 이동할 때마다 지면이 크게 폭발하게 되었다.

특히 마치 소닉처럼 제자리에서 고속으로 구르는 전용 패턴이 추가 되었는데, 플레이어들이 우라간킨 쪽으로 점점 빨려들어가게 되고 만약 빨려들어가면 다단히트로 근성 까지 무시하며 믹서기에 갈려 수레행. 반대 방향으로 달려만 가도 빨려들어가지 않지만 우라간킨을 기준으로 360도로 회오리바람이 서서히 회전하는데 이 회오리바람 안에선 고속으로 빨려들어가기 때문에 무작정 반대방향으로 도망치지 말고 회오리바람 회전 방향으로 함께 돌며 피해야 한다. 회오리바람 반대 방향에선 돌덩이가 발사 된다. 만약 패턴 시작과 동시에 자신 방향으로 회오리바람이 생성된다면 아군의 분진 지원이 없는 한 수레 확정일 정도로 무시무시한 패턴.

야마쿠라이의 흡입 패턴 처럼 고기굽기 중엔 빨려들어가지 않는 편법이 있어서 이를 이용할 수는 있지만 회오리바람 반대편에서 발사되는 돌덩이엔 맞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 무작정 본인의 생존만 신경 쓰기 보다는 자신이 회오리회전 방향과 어느정도 거리가 있다면 빨려들어간 파티원을 위해 분진을 사용해주는 식으로 최대한 돕는 것이 좋다.

2.5 공격 패턴

  • 포효를 하면 포효와 동시에 턱으로 정면을 두번 찍는다.
  • 힘을모아 턱치기 - 그으으으~ 라는 소리를 내면서 턱을 위로 들고 지면으로 내리 찍는다. 넓은 범위에 지진판정이 있다. 또 넓은 범위에 있는 모든 화약석이 순식간에 터지니까 휘말리지 않도록 하는게 좋다. 사용 후의 틈이 꽤 커서 해머로 기를 모아서 쳐도 될 정도.
  • 연속으로 4회 턱을 치기 - 양쪽 90도정도로 고개를 돌려 (우라간킨의)왼쪽으로 2회 턱을 친 후 방향을 틀어 다시 2회 친다. 지진판정은 없지만 우라간킨 자체가 크기때문에 피하더라도 맞을수 있다. 고개를 크게 돌리기 때문에 의외로 정면에 있으면 안 맞는 경우가 있지만 속 편하게 다리쪽으로 피하는게 낫다.
  • 꼬리 휘두르기 - 꼬리를 한번 크게 휘두른다. 다른 몬스터와는 다르게 한방향으로만 한번 휘두른다. 휘두를 때 꼬리에 붙어있는 화약석을 내놓는데, 굴러 올때 맞으면 데미지는 적지만 나가 떨어진다. 턱 공격과 마찬가지로 다리 사이로 피하면 맞지 않으며, 꼬리를 자르면 화약석이 날아오지 않는다.
  • 몸 구르기 - 몸을 말아 구른다. 일직선으로 구를때도 있고, 여러 방향으로 회전할때도 있다. 상기한 대로 스태미너가 적은상태에서 구르면 쓰러져서 큰 틈이 발생한다. 다른맵으로 이동할때도 구르면서 이동한다.
  • 고열가스, 수면가스 뿌리기 - 타격 판정이 두번이라서 가드를 하면 두번 가드하게된다. 턱과 꼬리가 아슬아슬하게 가스 범위 밖에있어서 해머로 공격해도 된다. 아종은 악취가스를 뿌린다. 서드에선 가드성능강화가 없으면 가드불가능.
  • 재빠르게 턱 치기 - P3 신패턴. 대상을 쫓아간 후 턱으로 한번 친다. 포효 턱치기가 데미지가 없게 되자 생긴듯한 패턴. 어찌 보면 몸통박치기 같다.
  • 아종의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가스를 뿜는 패턴에서 가스의 종류가 악취가스로 바뀌고 화약석이 악취가스를 내뿜을뿐 패턴의 차이는 별로 없다.

3 장비 및 소재

검은 광택의 우라간킨과는 달리 방어구는 금빛이다.

남자 장비는 쉔가오렌 셋과 비슷한 둔중한 장비지만, 여자의 경우에는 모빌슈트, 특히 백식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있다. 여자 건너 장비의 경우 GP-03 스테이멘의 테일 버니어 비슷한것도 달고 있다.

서드에서의 발동스킬은 절단속성의 무기로 발도공격을 하면 타격치도 동시에 주는 "발도술[력]". 타격이 들어가면 몬스터의 스테미너가 잃는 효과를 절단무기로도 볼 수 있다. 이 스킬을 띄우고 몬스터의 머리에 발도 공격을 먹이면 스턴을 걸 수 있다(!). 무기 데미지와는 상관없이 30만큼의 스턴을 누적.

상위 방어구는 서드 이전의 발도술이라 할 수 있는 "발도술[기]"와 "발도술[력]"이 동시에 붙어있기 때문에 "납도 스킬"이나 "KO 스킬"을 붙여서 대검 방어구로 쓴다. 납도나 KO를 포기하고 "방어 大"를 붙일 수도 있다. 그런데 대검 방어구로는 디아블로스 장비를 기준으로 커스텀하는 쪽이 더 좋아서 사실 이쪽은 별로 추천하기가 힘들다.

아종의 장비는 가드성능+와 폭탄강화 스킬이 붙는데, 가드성능 포인트가 많이 붙어있어 커스텀에 쓰기 좋다.

무기의 경우 공격력이 엄청나지만 예리도가 바보라거나 역회심이 잔뜩 붙어있는 등 패널티가 커서 수치 만큼의 화력이 안 나온다. 특히 예리도가 심각한 문제. 추천 무기는 그래도 예리도가 높은 편인 태도와 예리도와 무관한 활.

3.1 몬스터 헌터 트라이 G

G급 장비의 경우, 원종은 방어력UP 大, 발도술 힘, 집중이 붙어서 대검에 쓰기 좋고, 아종의 경우 심안, 포술왕, 가드성능+1, 바이오 닥터(거름구슬명인+항균)가 떠서 건랜스를 위한 장비라고 봐도 무방. G급에서 건랜스는 아그나코트르 아종 장비(심안, 가드성능+2, 가드강화)와 우라간킨 아종 장비를 풀셋으로 바꾸고 상황에 따라 바꿔 가면 그 이상의 장비가 필요없을 정도다. 일단 필요없는 스킬이 하나도 없으니…….

무기의 경우 추천 무기는 원종 소재의 해머 '진격추 그론드기가'. 깡뎀이 1508로 높지만 예리도가 낮고, 역회심이 -15%라서 별 의미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예리도+1/각성을 띄울 경우 숨겨진 보라 예리도가 출현, 브라키디오스 무기를 능가하는 최강의 깡뎀+폭파 해머로 변신하게 된다. 스킬을 많이 타긴 하지만 만들어 둘 가치는 있다.

3.2 몬스터 헌터 4 ~ 4G

직접 참전하지는 않고 일부 장비와 방어구가 등장. 4 시절에는 대검 '크랙클리프'가 매니악한 인기를 끌었는데, 공격력이 1008로 제작 대검중에서는 상당히 높은 데다 예리도도 여전히 짧지만 G급까지 가도 초록색을 못 벗어나던 트라이 시즌의 한심한 성능과는 달리 파란 ~ 흰 예리도가 20이 붙어서 쓰기는 힘들지만 한 방만큼은 제작 대검 중 최강을 달렸다. 슬롯도 3개나 붙어서 나사가 하나씩 빠진 성능을 스킬로 보완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 다만 4에서는 대충 주운 발굴 무기가 모든 제작 무기를 압살하여 100레벨 길드 퀘스트까지는 굳이 제작 무기를 쓰겠다는 게 아닌 이상 도저히 못 쓸 수준이었고 4G에서는 도로 흰 예리도에서 멈춰버리고 때마침 각왕검이 상향되기까지 하는 바람에 기껏 얻은 관심을 잃고 말았다.

3.3 몬스터 헌터 크로스

특수개체인 보전의 방어구는 강운 / 찬스가 발동하며 6레벨 이후부터는 부적헌터 / 배고픔무효가 발동한다. 찬스를 제외하면 전부 다 호석노가다에 굉장히 유용한 스킬. 여기에 채집을 추가로 띄우고 크로스의 호석 구제퀘인 연석탄 퀘스트를 할때 입고 가는 경우도 있다.

또한 로봇을 연상시키는,아니 로봇 그 자체인 룩에 열광하는 사람들도 꽤 많다. 방어구의 색상 변경 가능 부위가 거의 전신이기에 자신이 원하는 색으로 커스터마이징 하는 것도 가능. 채홍색으로 하면 정신사납다.

4 기타

MHXR-Pumpkin_Uragaan_Render_001.png
MHXR-Pumpkin_Uragaan_Icon.png
몬스터 헌터 익스플로어에서 Pumpkin Uragaan이라는것이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