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마무스메~프리티 더비~

ウマ娘 プリティーダービー
main-image.png

경마이면서 수영, 산악, 피겨 스케이팅, 아이돌까지 한다. 그전에 기수가 없는 시점에서 이미 그냥 육상경기랑 다를바가 없잖아..

1 소개

공식홈페이지
소개기사 ← 일부 번역

우마무스메 마이너 갤러리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그랑블루 판타지등을 만든 사이게임즈에서 제작중인 경주마 모에화 게임.

아직 제작중이라 자세한 사항은 좀 더 정보가 나와봐야 알겠지만, 실존 경주마의 특징을 잘 캐치한 모에한 캐릭터 디자인에, 공개된 성우진에 러브라이브,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등에서 목소리를 맡은 유명 성우들이 다수 포함 되어 있어서 화제가 되었다. 또 반다이남코를 퇴사한 디레1이 이벤트에 등장하면서 디레1이 반남 퇴사 이후 참여한 첫 작품이라는 점에서 기대를 모으기도 하는편.

2016년 3월에 정체가 드러나고 나서 당 해에 급격히 IP를 확장중인 사이게임즈의 완전 신작으로 소소한 기대를 모았음에도 불구하고 8월 21일까지 제대로 공개된 내용이 성우진과 캐릭터 일러스트, 그리고 단체 캐릭터송 2곡(1곡은 예정) 밖에 없어서 팬들을 의문에 빠지게 하고 있다. 위 문단의 정보들까지 종합하여 실질적으로 사이게임즈의 아이돌 컨텐츠가 아닌가 하는 예측도 큰 편.

옛날에 남코아케마스 제작에 참고했던게 자사의 경마 게임이었단 걸 생각하면 참 묘하다

2 등장인물 목록

2.1 우마무스메

본 시리즈의 주역이 되는 경주마를 의인화한 캐릭터들로, 작중 취급은 트레센[1] 학원에서 경주마 겸 아이돌로 훈련받는 이종족으로 묘사된다. 취급 자체는 사람 취급 받는 것을 빼면 경주마와 비슷한 처지인 듯. 공식 사이트에 나오는 제복과 승부복 차림과는 별개로 PV에서는 이들의 체육복 차림이 나오는데, 원본이 수컷이면 하의가 반바지, 암컷이면 브루마라는 공식을 보여줬다.

캐릭터 디자인이나 성격은 일본 경마를 이해해야 재미를 느낄 수 있는 부분이 많으므로, 캐릭터 설명 시 원본 말의 설명을 함께 적는다.

  • 최초의 공식 18마리
2016년 8월 사이페스 행사에서 공식적으로 공개된 18명의 캐릭터. 사실 알 수 없는 이유로 성우나 캐릭터가 바뀐 경우도 있기 때문에 최초라는 표현에는 어폐가 있긴 하지만 성우와 캐릭터 이름까지 정확히 공개된 건 이들이 처음이다.
  • 스페셜 위크(CV. 와키 아즈미) (1995~) - 총전적 17승 10패. 21세기 일본 경마를 선도하는 선데이 사일런스 계통(이하 SS)의 1세대 자손 중 하나이다. 일본 더비(동경 우준) 경주와 봄, 가을 천황상 경주 제패를 달성하고 당시 최고 획득 상금 1위[2]의 자리에 오른 명마로, 1998~99년간 엘 콘도르 파사&그래스 원더와의 라이벌 구도를 형성했다. 현역 시절엔 라이벌 두 마리와의 정면승부에서 이긴 적이 없는 바람에 명성이 약간 빛이 바랬지만, 종마가 된 이후로는 JRA 역사에 남는 암말들을 비롯한 G1 우승마들을 다수 배출하며 영광을 누리고 있는 중.
일본 경마사에서는 실적에 비해 묘하게 존재감이 옅었지만, 우마무스메에서는 당당하게 센터 포지션을 차지했다. 어미말이 죽고 반에이(썰매 경마) 경주마와 사람들 손에서 자랐다는 어렸을 적 일화도 설정상 재현되어 있다. 성격도 다들 한 성깔 하는 SS일족에서 기적적으로 나왔다는 원래 말 성격을 반영한 순하고 밝은 타이틀 히로인다운 성격.
  • 사일런스 스즈카(CV. 코우노 마리카) (1994~1998) - 스페셜 위크보다 한 살 위인 SS계통 경주마. 4세가 되고 나서야 전성기에 돌입한 말이었지만, 광기에 가까운 레벨의 질주본능[3]과 스피드를 이용한 도주[4]전법을 에어 그루브나 엘 콘도르 파사 등 강력한 라이벌들을 상대로 무패행진을 이어간 대물이었다. 하지만 같은 해 가을 천황상 레이스 중에 원인불명의 다리 분쇄골절이 발생하여 그대로 안락사 처리되어 생을 마감했다. 짧은 전성기였지만 그 퍼포먼스로 인하여 2016년 현재까지도 JRA 최고의 도주마로 불리는 경주마이다.
우마무스메에서는 아이돌물 특유의 센터 3인방 중에서도 2번 포지션을 차지했으며, 가련하고 소심해보이기 까지 하는 성격이지만 레이스 얘기가 나오면 목소리가 팍 가라 앉으며 냉정침착한 모습을 보인다. 참고로 거유가 많은 우마무스메 캐릭터진 중 유이한 빈유 캐릭터이기도 하다.
  • 토우카이테이오(CV. Machico[5]) (1988 ~ 2013) - JRA 명예의 전당이라 할 수 있는 현창마(顕彰馬) 중 하나이자 1991, 93년 JRA 연도 대표마. 후술할 심볼리 루돌프가 첫 해에 낳은 자식 중 하나이자 가장 뛰어난 자식으로 불리는 경주마로, 반듯한 외모그러니까 말로서와 탄력있는 신체를 이용한 뜀뛰는 듯한 주법, 그리고 승부근성으로 유명했던 말. JRA 트리플 크라운 중 두 경주인 사츠키상과 일본 더비 우승을 차지했지만, 더비 후 골절이 발견되면서 킷카상은 출전하지 못하고 2관에 머무른다. 현역 시절 총합 네 차례의 골절로 커리어를 갉아먹혔음에도 불구하고 G1 레이스를 4번이나 우승했으며 역대 최장기 휴양 후 G1 레이스 승리 기록(363일)이 대변하듯 아버지에 뒤지지 않는 실력과 근성을 지닌 말이라고 인정받고 있다.
우마무스메에서는 센터 3인방 중에서 활기찬 3번째 멤버 포지션이며, 활발하고 자신감 넘치는 성격 속에 승부욕을 지닌 성격. 92년 봄 천황상 레이스에서 승리를 빼앗은 메지로 맥퀸에게 일방적으로 라이벌심을 품고 있단 설정. 다이타쿠 헬리오스와 메지로 파머[6]가 있었으면 때려죽이려 들었을지도 모른다
  • 보드카(CV. 오오하시 아야카) (2004~) - 2007년 일본 더비에서 64년만에 암말이 더비를 우승하는 기록을 달성하는 것으로 시작, JRA 주관 G1통산 7승을 거두며 암말 중 GI 최다승 기록[7], 암말 최초의 상금 10억엔 돌파, 20년 만의 암말의 재팬 컵 우승, 암말 최초의 2년 연속 JRA 연도대표마 등 일본 암말의 역사를 모조리 갈아치웠다. 동세대의 다이와 스칼렛과는 다섯번이나 맞부딪히며 우승을 두번씩 나눠 가진 라이벌. 사진 판독에만 15분이 걸린 2008년 가을의 천황상은 두 라이벌 최고의 명승부.
우마무스메에서는 1인칭을 오레로 쓰는 보이쉬한 캐릭터로 반항기처럼 보이지만 외강내유인 성격. 우등생 설정의 다이와 스칼렛과는 늘상 싸움박질하면서도 마음이 통하는 전우로 묘사.
  • 에어 그루브(CV. 아오키 루리코) (1993~2013) - 96년 오크스, 97년 천황상(秋) 우승. 97년 JRA 연도대표마. 17년만에 암말의 몸으로 천황상을 승리하면서 '여제'라 불렸다. 전 세대인 히시 아마존이 수말과 대등하게 싸울 수 있다는 걸 증명했다면, 에어 그루브는 암말이 암수 혼합 G1을 이길 수 있다는걸 증명하며 이후 세대에서 보드카, 다이와 스칼렛, 부에나 비스타, 젠틸돈나 등의 여걸이 탄생할 토양을 만들었다. 은퇴후 번식암말로의 실적도 전설적으로, G1을 우승하는 자식을 둘이나 낳았다.
우마무스메에서는 용모수려에 학업우수하며 프라이드가 고고한 캐릭터로 등장. 과거 레이스의 트라우마 탓에 남성혐오증이 있다는 설정인데, 이는 97년 재팬 컵에서 다섯개의 다리로 달린예시장에서 발정한 피우수트스키에게 패배한 실제 사례 때문이다.
  • 중도강판된 우마무스메
2016년 3월 첫 공식 공개와 애니메이션 PV에는 모습을 드러내고 있지만 2016년 8월 사이페스 행사에서 제명된 우마무스메들이다. 공식적인 원인은 불명이지만 팬들 사이에선 명의 사용에 필요한 인한 상표권 문제로 보고 있다. 어른의 사정으로 제명되었지만 차후 상표권 문제가 해결되면 나올 가능성도 없지는 않아 보인다. 팬들의 추측으로 원본 말이 무엇인지는 알려져 있지만 일단 공식 발표는 아니기 때문에 명의가 바뀔 수도 있다.
강판된 우마무스메 성우들은 미나세 이노리를 제외하고 새롭게 추가된 캐릭터를 맡았으므로 재등장시엔 성우가 바뀔 확률이 높을 듯.
  • 기타 우마무스메
  • 하루우라라(CV. ???)
  • 경단머리 우마무스메

2.2 기타 등장인물

  • 트레이너
샘플 보이스에서 언급되는 플레이어의 분신으로, 트레센 학원에 갓 채용된 신입 트레이너. 내용을 보아하니 뭔가 신통찮은 인상을 풍기는 인남캐취급인 듯 하다.


그 외에도 외전 만화에서 실존인물을 바탕으로 한 캐릭터들이 미화되어 나오기도 한다. 단 기수에 대한 언급은 불명.

  1. 트레이닝 센터의 준말이다.
  2. 2016년 현재는 11위.
  3. 어렸을 때 부터 실내를 빙빙 돈다던지, 이 버릇을 고치려고 눈쌓인 풀밭에 데려다놔도 멈추려고 하질 않았다고 한다.
  4. 일본어로는 逃げ. 레이스 시작부터 죽기살기로 선두로 치고 나가서 끝까지 리드를 유지하는 말의 각질 중 하나. 그 중에서도 다른 말들을 한참 뒤로 떼어놓을 정도의 도주를 대도주(大逃げ)라고도 한다.
  5. 2016년 3월 첫 공식 공개 때는 성우가 이나미 안쥬로 나와있었다.
  6. 92년 가을 천황상에서 시작하자마자 폭주를 시전하여 토우카이테이오를 낚은 결과 셋이서 사이좋게 우승을 놓친 계기가 된 말들. 이 두마리는 G1 우승을 차지할 정도의 실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어딘가 나사빠진(...) 이미지가 있는 걸로도 유명하다.
  7. 암수 통틀어서는 심볼리 루돌프, TM 오페라 오, 딥 임팩트와 함께 최다승 타이기록
  8. 2016년 3월 첫 공식 공개 때는 성우가 타케타츠 아야나로 나와있었다.
  9. 2016년 3월 첫 공식 공개 때는 성우가 우에사카 스미레로 나와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