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진산전


우진산전 홈페이지

엘리베이터 / 에스컬레이터 / 무빙워크 제조, 철도차량 제조, 개조 및 전장품 제조 등을 주 영역으로 하는 기업이다.

SLS 중공업이 객차개량이라면 이쪽은 동차개조전문이다.

가장 유명한 개조라면 어디서도 유래를 찾기 힘든 승격개조 동차 RDC. 원래는 CDC 무궁화호 동차가 임시명칭이었는데 철도 동호인들이 RDC라고 불러대 정식명칭이 되었다는 속설이 있지만 사실 원래 정식 명칭이 RDC이다.

부산 도시철도 4호선에 사용된 고무차륜열차 방식의 경전철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도 여기서 만들었다. 또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에 사용될 모노레일 차량의 대다수를 여기서 만들었다. 히타치가 먼저 1개 편성을 만든 다음 우진산전이 나머지 27개 편성을 만들었다. 따라서 독자 개발은 아니다.

철도차량은 아니지만 바이모달트램의 실용화 사업도 이 회사 담당. 어쨌든 개량하는 데에는 수준급인 능력을 갖춘 회사다.

개량 이외에도 도시바 라이선스 생산 인버터를 생산하거나, 기타 철도차량 관련 전장품을 제조하기도 한다.

이 회사가 생산한 도시바 인버터는 주로 코레일의 전동차에 즐겨 쓰인다. 대표적으로 IGBT 모듈인 COVO52-A0형이 있는데, 현재 누리로, KTX를 제외한 코레일의 신조 전동차는 모두 이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과거에 제조된 차량도 이 제품으로 개조된 경우가 있다. 코레일의 IGBT 인버터라고 하면 거의 이 제품이다. 역시 누리로와 KTX-산천은 제외. 검수 편의 때문인듯. IGBT 뿐만 아니라, 도시바의 GTO 인버터인 MCK-01C도 생산했었다. 이 역시 코레일의 GTO 인버터 차량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는데, 코레일 수도권 전철 3호선 전동차의 경우는 우진산전 제품이 아닌 미쓰비시 제품을 사용하였다.

2014년 8월 6일에 관피아 의혹이 제기되었다.#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에 불량 회로차단기를 납품한 것이 밝혀졌는데,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지켜봐야 할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