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우키 나가사토

1 개요

기동전사 건담전기 Lost War Chronicles에 등장하는 인물. 지온 소속 캐릭터 중에 가장 많은 인기를 얻어 이후 다른 MSV 게임의 시스템 오퍼레이터로 출연하기도 했다. 담당 성우아사노 마스미/이지영.

지온군측 히로인 3명 중 오퍼레이터 포지션으로 계급은 하사이다. 이름과 외모에서 알 수 있듯이 일본계 캐릭터이지만, 가족이 전부 죽은 데다가 자기 과거 이야기는 자기 입으로는 일절 하지 않기 때문에 상세한 설정은 불명. 지구연방군노엘 앤더슨과 같은 포지션이다.

2 상세

과거가 상당히 암울한 여성으로, 사이드3로 여행하던 도중 갑자기 1년전쟁이 발발, 자신의 고향인 사이드2가 사고로 붕괴하여 가족이 몰살당하고 자신만 살아남게 된다. 이 시점에서 사이드3의 국적을 가지지 않았고 사이드2는 없어져 버려서 졸지에 무국적자 취급을 받아 지온군에게 구속당하고, 영주권을 얻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지온군에 입대해 외인부대의 오퍼레이터로서 배속된다. 이 때문에 외인부대 소속 대원 중 유일하게 정치적으로도 출신적으로도 아무 문제 없는, 그야말로 팔자 사납게 꼬인 멤버가 되었다.

가족 전체가 몰살당하고 본인도 조국에서 버림받은, 극도로 불우한 설정 때문에 평소 언행이 전반적으로 비관적이고 무기력한 편이라는 설정이다.[1] 믿고 의지할 만한 사람이 외인부대 멤버뿐으로, 그 밖에는 같은 지온군이라도 타 부대와는 거의 교류를 하지 않는 듯.

부대장인 플레이어 캐릭터에게는 처음부터 많은 기대를 걸고 있었던 것으로 묘사되며, 기체를 좀 험하게 몰았을 때 살짝 삐진 듯한 말투로 조금이나마 속마음을 내비쳐 보이기도 한다. 특히 개별 이벤트에서는 다른 사람에게는 전혀 한 적이 없는 죽은 가족들 이야기를 잠깐 하기도 하며, 하렘 엔딩에서는 지휘관인 더글라스 로덴의 발을 밟기도 하는 등 주인공 덕분에 원래의 밝은 성격을 되찾게 된다. 외인부대 중 주인공에게 구원받은 컨셉으로는 독보적.[2]

문제는 코믹스판에서의 취급이 매우 안습하다는 것. 원작 게임과 소설판에서는 무사히 살아남아서 주인공에게 구원받는 루트를 밟지만, 코믹스판에서는 별다른 갱생의 기미도 보이지 않은 채 전쟁 도중 사망해 버리고, 이것이 켄 비더슈타트흑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한다. 코믹스판이 흑역사 취급을 당하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SD건담 G제네레이션 SPIRITS에서 이 코믹스판 스토리를 채용하면서 수많은 건덕후들의 욕을 들어먹게 되는 큰 이유 중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고, 결국 기동전사 건담 사이드 스토리즈에서 소설판 스토리를 채용해 살아남게 되면서 진짜 흑역사가 되어버렸다.

3 그 외 트리비아

팬들은 물론 공식적으로도 그녀가 죽는 루트를 흑역사 취급하려는 모양인지 이후로 거의 모든 게임에 지온군 기본 오퍼레이터로 등장한다. 특히 건담 배틀 로얄에서는 초기 세력을 지온군으로 했을 경우 튜토리얼부터 마지막 시나리오까지 플레이어의 전속 오퍼레이터로 배정된다.또한 SD 건담 G 제네레이션 3D에서 오리지널 부대의 기본전함 캐리 베이스의 오퍼레이터및 시나리오 클리어후 마이 콜로니의 오퍼레이터도 담당하게 된다.건담 전기 등장인물들이 스피리츠 이후로도 출현을 하지 못하는것과 달리 3D가 두번째 출현.[3]

담당 성우가 성우인지라 아사노병 태그에 연관되어 있기도 하다. 게다가 원작 게임이 도키메모 건담이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다 보니 더더욱...
  1. 같은 오퍼레이터 포지션인 노엘 앤더슨과 비교해 보면 확실하게 저텐션인 것을 느낄 수 있다. 다만 공과 사를 확실하게 구별하는 캐릭터 특성 상 설정을 미리 알고 있지 않으면 그냥 차분한 캐릭터라는 인상이 더 강하게 드는 게 문제.
  2. 메이 커윈은 어쨌거나 자력으로 살아남으려고 여러 가지 노력을 했고 제인 콘티는 보좌관으로서 그다지 험한 꼴은 안 봤다. 결정적으로 둘 다 적어도 조국에서 버림받지는 않았다.
  3. 그런데 3D에서의 프로필 설명은 어째 흑역사인 코믹스판 기준으로 되어있다.오뎃사에서의 연방군 전투로 의해 사망했다.라는 설명이 나오는것을 보면...무슨지거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