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코 문자

doumbouya_nko_inside.jpg
응코(N'Ko)문자.

현대 아프리카에서 탄생한 신생 문자. 1949년 솔로마나 칸테라는 사람이 만든 문자이다. 서아프리카의 만데제어의 표기에 적합하도록 고안되었으며, 응코는 "나는 말한다"라는 뜻이라고.[1]

칸테는 아프리카에는 고유문자도 없고 따라서 역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백인들의 비웃음에 빡쳐서 손수 이 문자를 만들었다고 한다. 아랍 문자와 직접 관련은 없으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서법의 순서와 글자꼴이 연결되어 있는 점은 영향을 받았다 할 수 있다.

개인이 만든 문자이고, 특별히 특정 국가 정부에서 정식으로 채택한 일도 없으나, 서아프리카 일대 국가에서 나름대로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문자인 듯. 나름대로 보급활동도 활발하여 꾸란 번역, 신문 발행, 인터넷 이용 등 용례를 찾아볼 수 있다. 개인이 발명한 문자 대부분이 정부지원을 받지 못하거나, 정부에서 다른 표기법(주로 로마자)을 밀면 쇠퇴하여 유물로 남는 사례로 볼 때, 특수한 사례로 볼 수 있다.
  1. 일본어로는 응가라는 의미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