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서문(Fate 시리즈)

width=100%width=100%
Fate/EXTRAFate/Grand Order제도성배기담
어새신 클래스랜서 클래스
어새신(Fate/EXTRA)신창 이서문랜서(제도성배기담)
청년기노년기
프로필
/ 몸무게166cm / 60kg
이미지 컬러주황색
특기딱히 없음
좋아하는 것단련, 시합, 가족
싫어하는 것사진, 뒤탈[1]
속성중용 악
성별남성
클래스 적성랜서, 어새신, 버서커

1 개요

Fate 시리즈의 등장인물.

팬들이 붙여준 별명은 "어새신 선생님(アサシン先生)".

2 인물 배경

이서문

이씨 팔극권의 개조, 근대의 무술가이다. 권경의 달인. 흉권의 무술가. 희대의 흉권사. 영령으로서의 속성은 인(人).

1934년 사망했기에 Fate 시리즈의 영령 중 최신이다.[2] 다만 태어난 년도를 기준으로 하면 마타 하리쪽이 나중이긴 하다. 단순 사망년도를 기준으로 하면 현대까지 와서도 생존해있는 스카자하가 가장 나중이다.

합리성을 중시하는 성격으로, 일단 복장부터가 기능성이 좋은 매우 심플한 옷이다. 어새신이 살았던 시대에선 신념과 의협심 같은 게 중시됐었는데, 어새신의 사고방식은 그 정반대인지라 생전에는 '괴짜'라고 비웃음당했었다. 그래서인지 자기처럼 합리성을 중시하는 사람을 보면 무척 반가워하고, 목적을 위해 효울적인 수단(암살)을 강구하는 율리우스의 방식도 맘에 든다고 평가한다.

상대를 효율적으로 죽이는 기술을 지녔지만, 그럴 듯한 사상이나 이념도 없이 그냥 단순히 강적과 싸우고 죽이는 것을 바란다. 어새신은 무(武)가 '생사를 건 인생의 맞대결'이라고 생각하고, 한순간의 싸움으로 몇 십년의 인생을 부숴버릴 때 둘도 없는 열락을 느낀다. 또, 생쥐보단 호랑이가 제맛이라면서 상대가 강할수록 죽일 때에 더욱 강렬한 열락을 느낀다. 어새신이 말하길 이 열락만큼은 나이를 먹어도 끊을 수 없는 악주(惡酒)라고. 어새신 본인도 스스로를 '무인을 자부하기엔 한참 먼 살인귀', '피에 굶주린 궁기'라고 비유하는 등, 자신이 잘못된 길을 걷고 있다는 걸 알고는 있지만 '이 또한 무(武)의 말로'라면서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

아무렇지도 않게 상대를 죽이는 냉혹한 인물이지만 율리우스와 달리 무차별적으로 사람을 죽여대지는 않는다. 한 예로, 복도에서 주인공과 둘이서 마주했을 때 "나도 분명 그 녀석(율리우스)과 동류이긴 하다만, 마주친 인간을 족족 죽여버리면 밥 먹기도 곤란해지지 않나!" 라며 호쾌하게 웃고는 주인공을 그냥 보내줬다. 살인귀나 살인쾌락증은 아니지만 막상 싸움이 벌어지면 그걸 즐기게 되는 것뿐이라나 뭐라나.

그의 신조는 '일전일살'. 즉, 한 싸움에서는 한 사람 밖에 죽이지 않지만, 반대로 말해 한 사람은 반드시 죽게 만든다. 엑스트라 마테리얼에서 그의 신조를 설명하길, "무(武)를 주고 받으면 어느 한 쪽이 죽는다. 싸움이란 만만한 게 아니라 서로의 신념을 거는 것. 따라서 쉽사리 시작해서는 아니 하고, 시작했다면 반드시 한 싸움에서 한 명은 죽어야 하는 법이다". 여기에도 그의 합리적이고 공정한 사고 방식이 배어 있는 셈.

청년시절의 면모는 혈기가 넘쳐서 그런지 겁이 없고, 자신의 기술이 간파당해도 전혀 동요하거나 신경쓰지 않는다. 오히려 자신이 불리한 상황일수록 더 불타오른다.

스카자하의 평에 따르면, 천부적인 재능과 지옥과 같은 수련을 거쳤다고 한다. 한마디로 노력하는 천재.

3 스테이터스

이서문이 해당하는 클래스는 랜서, 버서커, 그리고 어새신.
그리고 이서문은 또한 "노인"으로 소환되는 사례가 존재한다.
육체의 전성기는 당연히, 청년 시절을 기준으로 하지만, 그의 무술이 전성기를 맞이한 것은 노년에 접어든 무렵이기 때문이다, 라고 추측되고 있다.
청년 때의 이서문이 어새신으로 소환될수도 있고, 노인의 이서문이 랜서로 소환되는 예도 있다.

▶ Fate/Grand Order 매트릭스 中
"젊음을 되찾으면, 무에 모든 것을 바칠 것을 바라고.
연로해버리면, 죽음을 넘어서 깨달음을 얻고자 분기탱천한다.
그 어느쪽도 나인 것이다. 그대도 조만간, 알게 될거다."

▶ Fate/Grand Order 中

랜서, 어새신, 버서커 세 클래스에 적성을 가진 이서문이지만, 그중 진가는 랜서라고 한다. 신창(神槍)이라는 이명이 허명은 아닌 셈.

육체적으로 전성기인 청년과 기술적으로 전성기인 노년으로서의 면모 둘이 있으며, 클래스에 관계없이 두 면모가 현현한다. EXTRA 마테리얼에서는 어새신이 청년, 랜서일 때는 노년으로 고정이였으나 이후 설정이 변경.

3.1 패러미터

면모클래스작품마스터패러미터
근력내구민첩마력행운보구
청년 시절어새신Fate/EXTRA율리우스
B. 하웨이
BCAEE-
랜서Fate/Grand Order주인공
노년제도성배기담코토미네 카렌불명

근내민 패러미터 자체는 5차 때의 쿠 훌린과 비슷하지만 본래 무술가였기 때문인지 마력에는 소질이 없고, 독살로 죽었기 때문인지 행운도 낮다. 근내민 패러미터는 최상위라기에는 조금 부족한 BCA. 랜서일 때에도 패러미터에 변화는 없다.

3.2 스킬

■ 클래스별 스킬




랭크어새신 클래스가 지닌 공통 스킬이나, 이 서번트가 지닌 기척차단은 그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다.
-

어새신일 때의 스킬...이지만 통상의 기척차단이 아닌 권경을 쓰기에 기척차단은 없다.
 



랭크상세불명.
D

랜서일 때의 스킬. D랭크면 1공정의 마술을 무효화한다. 마력을 쫓는 아뮬렛 수준으로 묘사된다.
20세기 사람답게 대마력은 낮다. 오히려 이만큼 있는 것도 신기할 정도.
 
■ 고유 스킬

중국무술
랭크어새신 / 청년
A+++중화의 합리(合理).
우주와 일체가 되는 것이 목적인 무술을 얼마나 연마했는가를 나타내는 수치.
습득 난이도는 최고 레벨로, 다른 스킬과 달리 랭크 A가 간신히 습득한 수준이다. +++이면 달인 중의 달인.
중국무술
(육합대창)
랭크랜서 / 청년
A+++중화의 합리. 우주와 일체가 되는 것이 목적인 무술을 얼마나 연마했는가를 나타내는 수치.
습득 난이도는 높은 수준으로, 다른 스킬과 달리 랭크 A가 드디어 "습득했다"라고 말한 수준이다.
+++이면 달인 중의 달인.
랜서로 소환되있지만, 창술을 포함하여 팔극권을 지니고있다.

中国武術
중국무술 랭크가 A+++로, A+++ 랭크인 몇 안 되는 경우다. 천부적인 재능과 지옥과 같은 수련을 헤어나와, 육체에 기술을 침투시켜 얻은 기술.
랜서일 때에는 스킬명이 '중국무술(육합대창)'으로 표기되며, 창술도 포함된다. 물론 그 기반이 되는 맨손 무술도 지니고 있다.
 


랭크어새신 / 청년
A기(氣)를 이용하고 주위의 상황을 감지하며, 또한 자신의 존재를 소실시키는 기술.
극에 달하면 천지와 합일해 그 모습을 자연 속에 녹아들게 만드는 것마저 가능하다고 한다.
랭크랜서 / 청년
B상세불명.

권법의 극치. 궁극의 체술. 체술로 기를 제어하는 스킬. 기척감지 + 기척차단이라는 사기 스킬.
어새신일 때에는 A랭크이며 은신까지도 가능하다. 자세한 건 어새신 문서 참조.
랜서로 소환될 때에는 B랭크.
 


랭크상세불명.
B

랜서일 때의 스킬. 상세불명.

3.3 보구

무이타 (无二打)
랭크 : 없음종류 : 대인보구레인지 : 1최대포착 : 1명
신창 무이타 (神槍无二打)
랭크 : 없음종류 : 대인보구레인지 : 2~5최대포착 : 1명

자세한 건 무이타, 신창 무이타 문서 참조.
 


맹호경파산 (猛虎硬爬山)
랭크 : ???종류 : ???레인지 : ???최대포착 : ???

버서커화 했을 때 사용한 보구. 랜서 클래스일 때에도 사용가능하다.
자세한 건 어새신(Fate/EXTRA) 문서 참조.

201403021327438f3.jpg

꽃의 미야코!에서는 아리마 미야코도 사용한다. 어째서

4 작품에서의 행적

4.1 Fate/EXTRA - 어새신 / 청년

4.2 제도성배기담 - 랜서 / 노년

4.3 Fate/Grand Order - 랜서 / 청년

5 기타

타케우치 타카시의 원화
width=100%width=100%
노년기
width=100%
청년기
  1. 원문은 타타리(タタリ). 히나가라가 아니라 가타가나로 표기한 게 포인트. 기묘하게도 타입문 세계관에는 타타리와 관련된 자가 있다.
  2. 오리지널 캐릭터인 영령 에미야를 제외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