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셴

제2차 세계대전기의 중화민국 군함
경비정이싱급, 하이옌급, 하이쿠급, 하이푸급, 하이하오급, 순싱급, 하이힝급
수뢰정후핑급*
호위함하이차우급*
해방함융펑급, 융지엔급
구축함푸포급, 장팽급
비방호순양함퉁치급
방호순양함하이룽급, 하이치급, 차오호급, 잉루이
경순양함이셴, 닝하이급
수상기모함전하이, 웨이셩, 더셩
연습함페이훙, 잉루이
건보트젠웨이급, 지앙유엔급, 추급, 리엔칭급, 우펭급, 융펑급, 융지엔급, 시엔닝급, 융수이급, 밍첸급, 이셴,
후유급*, 밍센급
건보트
(하천용)
지앙쿵급, 지앙히시급, 치엔충급, 리수이*, 충윤급, 첸유급, 차이위급, 잉센*, 잉테*, 잉하오*, 메이유안급*
(*) 표기: 해외함

{{틀:해상병기 둘러보기 }}

제2차 세계대전기의 일본군 군함
전투함
구축함이소카제급, 미네카제급,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후부키급, 하츠하루급, 시라츠유급, 아사시오급, 카게로급, 유구모급, 시마카제, 아키즈키급, 마츠급
사쿠라급, 카바급, 모모급, 나라급, 모미급, 와카타케급
잠수함L급, 해중형, 해대 1형, 해대 2형, 해대 3형, 해대 4형 해대 5형, 해대 6형, 해대 7형, 순잠 1형, 순잠 2형, 순잠 3형, 순잠 갑형 순잠 을형, 순잠 병형, 순잠 정형, 센토쿠급, 키라이센급, 갑표적, 삼식잠항수송정
경순양함텐류급, 쿠마급, 나가라급, 센다이급, 유바리, 아가노급, 오요도
중순양함후루타카급, 아오바급, 묘코급, 타카오급, 모가미급, 토네급, 이부키급
순양전함B-40, 공고급, 아마기급, 13호급, B-65
전함카와치급, 후소급, 이세급, 나가토급, 카가급, 키이급, 후지모토 전함 계획안, A-140, 야마토급, 슈퍼 야마토급
경 / 개조 / 호위항공모함호쇼, 류조, 쇼호급(쇼호-즈이호), 류호, 히요급(히요-준요), 치토세급(치토세-지요다), 신요, 다이요급, 카이요, 시마네마루급-야마시오마루
정규항공모함아카기, 카가, 소류, 히류, 쇼카쿠급, 운류급, G18, 다이호, 카이다이호, 시나노
수상기모함노토로, 카모이, 아키츠시마, 미즈호급, 닛신
강습상륙함아키츠마루급, 쿠마노마루
연습함 / 포함카토리급, 하시다테급, 아타다C
어뢰정치도리급, 오오토리급, 제1호형 어뢰정, 갑형 어뢰정, 을형 어뢰정
해방함시무슈형, 에토로후형, 미쿠라형, 히부리형, 우쿠루형, 제1호형, 제2호형
군수지원함
공작함아카시, 아사히
급유/급탄/급병함시레토코급, 온도급, 카자하야, 하야스이, 타카노급, 하리오급, 무로토급(급탄함), 카시노(급병함)
급양함마미야, 이라코
상륙함정신슈마루, 대발동정, 제101호형 수송함
잠수모함진게이급, 타이게이
잡역선아스카C, 아타다C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윗첨자C: 노획 함선, 윗첨자A: 전후 완공

{{틀:해상병기 둘러보기}}

해상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미국 독일 제국
러시아 제국 영국
2차 세계대전
미국 일본 제국
영국 나치 독일
소련 이탈리아 왕국
폴란드 프랑스
스웨덴 핀란드
중화민국 만주국
냉전
소련 동독
현대전
미국 일본
대한민국 인도
중화민국 러시아
영국 중국
프랑스 태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호주
북한

1 제원

17-003.jpg

이셴(逸仙)
건조상하이 강남조선소
진수미상
취역1931년
침몰1937년 9월 25일
인양1938년
제적1958년 6월 1일
해체1959년 5월 19일
승무원182명
전장82m
전폭10m
흘수선3.8m
배수량1,650t
출력4000마력
추진기왕복 엔진 2기
엔진석탄 보일러 3기
최대속도19 노트
기본 무장152mm 단장포 1문, 140mm 단장포 1문, 75mm 단장 고각포 4문, 47mm 속사포 1문
일본군 노획 이후무장120mm 단장포 1문, 40mm 2연장 기관포 2문, 25mm 기관총 5정, 7.7mm 기관총 6정

2 개요

1931년, 중화민국이 자국 기술력으로 최초로 건조하고 쑨원의 호를 따서 명명된 경순양함. 작은 크기로 인해 건보트로도 분류된다.

이셴(逸仙)을 광동어 발음으로 읽은 "얏센" 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있다.

3 함생

3.1 중일전쟁

17-001.jpg
이셴의 진수식.

1931년 취역한 이셴은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한지 얼마 지나지않아 중산, 닝하이, 핑하이 등과 함께 상하이에서 난징으로 올라가는 길목과도 같은 장인을 점령하고자하는 일본군 해군을 중화민국 해군이 막기위해 1937년 8월에 발발한 장인 해전(江阴海战)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1937년 9월 25일, 일본군의 항공모함 카가함재기에 공격당해 닝하이, 핑하이와 함께 격침. 모래톱에 좌초되었다.

17-005.jpg
좌초된 이셴.

3.2 일본군 해군의 함선. 아타다

17-008.jpg
아타다라는 이름으로 일본군 해군에 재편된 이후의 이셴, 함미에 선미 갑판이 추가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1938년, 일본군은 좌초된 이셴을 인양하였고, 동년 5월 12일 부터 구레에서 이셴에 선미갑판 추가, 소나, 레이더 설치 등 장비 개수를 거친뒤 1939년 7월 29일, 아타다(阿多田)라는 이름으로 일본군 해군에 취역해 연습함으로 사용되었다.

3.3 반환과 국부천대

일본군 해군에 노획되어 운용되다 격침당한 다른 중화민국의 함선 닝하이, 핑하이, 융지엔과는 달리 이셴은 일본 제국태평양 전쟁에서 패망할 때까지 살아남았고, 중화민국에 반환되어 다시 이셴이라는 이름으로 취역했다.

이후 2차 국공내전에서 패배한 중국 국민당이 수도를 타이완으로 옮긴 뒤로도 이셴은 중화민국 해군 소속으로 근해 경비를 맡았으며, 1958년 6월 1일 제적,1959년 5월 19일 고철로 스크랩 처리되었다.

이미지 출처

4 대중매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