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


IndustrialCraft2 Experimental
파일:IC2logo.png
공식 포럼, 위키
호환 버전[1]1.6.4, 1.7.2, 1.7.10, 1.8.9, 1.9.4, 1.10
다운로드 페이지Jenkins(1.7.10) Jenkins(1.8.9)[2]Jenkins(1.10)

1 개요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IndustrialCraft 2 Experimental)

2016년 06월 기준으로 최신 버전은 2.2.6.3, 적용 버전은 1.10이다.[3] 'Industrial'(산업의)이라는 이름처럼 마인크래프트 세계에 본격적인 산업 시스템을 도입시키는 모드로, 광물 제련이나 추가적인 아이템 생산에 관련된 기계에서부터 시작해 그런 기계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 시스템, 새로운 도구들, 이를 만들기 위한 새로운 자원 등이 대거 추가되며, 후반엔 에너지에서 물질을 생성하거나 플레이어를 순간이동 시켜주거나 지형을 바꿔주는 식의 단순한 산업화를 넘은 오버테크놀로지 기계들이 등장한다.

이 문서에서는 빌드크래프트와 같은 타 모드와의 관계와 구버전은 서술하지 않고[4]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 실험버전(IndustrialCraft 2 Experimental)[5] 관련 내용만 서술한다.

1.1 바닐라와의 차이점

인터스트리얼크래프트에서는 모드에서의 밸런스를 위해 몇 가지 아이템의 속성이 바닐라에서와는 조금 달라진다.

  • 폭발내성
    • 흑요석: 폭발 내성이 6000에서 60으로 감소한다. 일반적인 TNT로는 부서지지 않지만, 핵폭탄이나 노심 용융 등으로는 파괴될 수 있는 수준. 이렇게 폭발내성을 낮춘 것은 그대로 둘 경우 강화유리나 강화석재 같은 재료가 그닥 쓸모없게 되기 때문인 듯 하다.
    • 물, 용암: 근원 블록의 폭발 내성이 500에서 30으로 감소한다. 일반적인 석재 아이템 수준으로 TNT와 산업용 TNT[6]에 의해 파괴될 수 있게 된다. 다만 흐르는 물/용암은 여전히 파괴되지 않아서, 바닐라의 물을 이용한 TNT 캐논 등은 여전히 만들 수 있다.
  • 연료
    • 용암: 바닐라에서는 양동이 하나로 아이템 100개를 구울 수 있는 엄청난 효율의 연료이지만,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에서는 일반 화로에는 아예 사용할 수 없고, 철 화로에서만 12개를 구울 수 있는 걸로 엄청난 너프를 먹었다. 저대로라면 전기로가 별다른 메리트가 없어지기 때문에 취한 너프인 듯.
    • 선인장, 사탕수수: 화로에서 태울 수 있게 되었다. 단, 연료로서의 효율은 나무막대나 묘목의 절반 수준(아이템 하나 굽는 데 4개 소모)으로 매우 낮은 편.

2 자원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에서는 새로운 기계와 함께 월드에 생성되는 새로운 자원이 추가된다.[7] 지하에 석탄, 철과 같이 광물로 생성되는 지하 광물자원, 나무와 같이 지상에 생성되는 지상 자원, 던전이나 엔더 유적[8]의 상자에서 생성되는 특수 자원이 추가된다.

2.1 지하 광물자원

우라늄을 제외한 나머지 광석은 화로에서 주괴로 제련할 수 있다.

레이어(y 좌표) 10~70에서 생성되며, 돌 곡괭이 이상의 도구로 캘 수 있다. 레이어 40 주변에 많이 뭉쳐있으며, 석탄 정도는 아니지만 꽤 뭉쳐서 생성되기 때문에 쓰임이 적은 초반에 많이 쌓이는 편. 처음부터 y12 가는 플레이어는 그런 거 없다 주로 구리 전선을 제작하거나 청동을 주조할 때 쓰이는데, 구리 전선은 거의 모든 기계에 쓰이기 때문에 초반에든 중후반이든 없어서는 안되는 재료이다. 중반 이후에는 원자로의 구성 요소로도 쓰인다.
레이어 0~40에서 생성되며, 돌 곡괭이 이상의 도구로 캘 수 있다. 한 번에 많이 뭉쳐있지는 않지만 밑으로 갈수록 나타나는 빈도가 늘기에, 깊은 동굴을 탐사하거나 브랜치 마이닝을 하는 경우 체감상 가장 많이 보인다. 초반에는 주석 전선이나 건전지, 청동을 주조할 때 주로 쓰이며, 원자로의 구성 요소에도 구리와 함께 빠지지 않는 재료 중 하나. 그 외에 유동체를 담을 수 있는 셀이나 통조림 캔, 양동이 등 무언가 담는 용기를 만들 때 쓰이는 경우가 많다.
레이어 0~65에서 생성되며, 돌 곡괭이 이상의 도구로 캘 수 있다. 보통 1~3개 정도 뭉쳐서 발견된다. 초반의 기계나 도구에는 거의 쓰이는 일이 없고 CESU 만들때에나 쓰이지만 중반 이후 본격적으로 원자로 쪽에 손을 대기 시작하면 필요량이 엄청나게 늘어난다. 나오는 것 자체는 그렇게 드물지 않지만 앞서 말했듯 한번에 나오는 양이 그렇게 많지 않기에 초반부터 꾸준히 모아야 할 필요가 있는 광물. 납을 적게 써서 핵발전기를 만들 경우 출력이 절반으로 떨어진다.[9]
레이어 0~64에서 생성되며, 철 곡괭이 이상의 도구로 캘 수 있다. 최대 2개까지 뭉쳐서 생성되는데, 운이 좋다면 3개를 연달아 발견할 수도 있다. 당연하지만 원자로나 핵폭탄의 제작에 있어서 빠질 수 없는 광물. 우라늄의 경우 위의 세 광물과는 실질적인 자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몇 차례 처리 공정을 거쳐 제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우라늄 제련 결과 생성되는 우라늄 235, 우라늄 238을 비롯한 각종 방사성 물질들은 그냥 인벤토리에 넣게 되면 방사선 피폭으로 죽는다. 넣자마자 즉사하는 것은 아니지만, 매우 빠른 속도로 체력이 감소한다. 이를 막는 유일한 해결책은 방호 수트를 풀 세트로 맞추고 작업하는 것이다.[10]

2.2 지상 자원

숲, 타이가, 늪지대 바이옴에서 생성되는 나무. 출현 빈도는 늪지대> 숲> 타이가 순서로 높다.[11] 나무 꼭대기에 길게 뻗어있는 잎이 특징으로, 다른 나무와 섞여 있어도 쉽게 눈에 띄기 때문에 일단 나무가 있다면 찾는데 어려움은 없다.
고무나무는 그 자체보다는 줄기에 있는 주황색의 수액 구멍에서 추출할 수 있는 고무나무 수액이 중요하다.[12] 이 수액 구멍은 나무 하나에 최대 3개까지 생성되며 없는 경우도 있다. 수액 구멍을 간이 추출기로 오른클릭하면 고무나무 수액이 튀어나오며, 이 수액을 화로에서 굽거나 추출기에 넣는 것으로 고무로 바꿀 수 있다. 한번 추출하면 수액 구멍의 주황색 수액이 없어지는데[13], 이렇게 빈 수액 구멍에 다시 오른클릭을 하는 경우 수액이 딱 한번 또 나온다. 단, 이렇게 빈 수액 구멍에 오른클릭하는 경우 일정 확률로 수액 구멍 자체가 없어지는 수가 있으니 주의. 수액이 없어진 상태에서 수액 구멍이 없어지지 않았다면, 시간이 지난 후 다시 수액이 차게 된다. 고무는 절연 전선을 만들 때 반드시 들어가므로 초반에서부터 시작해 극후반까지 계속 쓰이게 된다. 고무수수 재배하면 나무는 보지도 않는다

2.3 특수 자원

최종 테크인 퀀텀수트와 이리듐 드릴의 재료가 되는 이리듐 원석을 만들 수 있는 조각이다. 2015년 12월 업데이트된 물건으로, 기존에는 이리듐 원석만 있었지만, 난이도 조정을 위해 조각이 추가되었다. 이리듐 조각은 폐광, 엔더 유적, 던전의 상자에서 찾을 수 있고[14] NPC(주민) 대장장이가 교환해주기도 한다. 압축기를 통해 조각 9개를 원석 1개로 바꿀 수 있다.
이리듐 조각으로 조합하거나 엔더 유적, 던전의 상자에서 찾을 수 있다.[15] 무척이나 희귀하지만, 조합에 들어가는 양인 결코 적지 않아서(퀀텀수트 풀 세트을 맞추는 데 40개가 필요하다) 실질적으로 UU-물질을 통해 복제하는 방법으로만 제대로 충당이 가능하다.처음의 하나를 못 찾으면 영원한 고통

3 재료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에서는 자연에서 얻은 자원을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기 때문에 그 형태에 대해 알아 둘 필요가 있다. 이미지는 구리의 이미지를 사용하였다.

재료명설명
파일:구리분쇄광석.png 분쇄된 광석(Crushed Ore)광석을 분쇄기를 통해 가공하면 분쇄된 광석이 된다. 우라늄을 제외한 나머지 분쇄된 광석은 광석과 마찬가지로 화로에서 주괴로 제련될 수 있다.
파일:구리정제광석.png 분쇄 ·정제된 광석(Purified Crushed Ore)분쇄된 광석을 광석 정제기를 통해 정제하면 분쇄·정제된 광석이 된다. 마찬가지로 화로에서 주괴로 제련될 수 있다.
파일:구리가루.png 가루(Dust)미량의 가루를 조합하거나 분쇄(·정제)된 광석을 열 원심분리기를 통해 원심분리하면 가루가 나온다. 화로에서 주괴로 제련될 수 있다.
파일:구리미량가루.png 미량의 가루(Tiny Pile of Dust분쇄된 광석을 정제하거나 원심분리할 때 나오는 부산물로, 9개를 조합하면 해당 광물의 가루가 나온다. 이전 번역은 '가루 조각'이었다. 하긴 가루는 조각나는 게 아니지 애초에 가루가 조각이잖아
파일:구리주괴.png 주괴(Ingot)화로에서 광석, 분쇄(·정제)된 광석, 가루를 제련하면 주괴가 나오며 이 단계에서부터 조합에 쓰이기 시작한다.미량의 가루도 가루 조합에 쓰이는데 주괴는 여러 가지 형태로 가공되어 쓰이므로 저장은 주괴나 블록의 형태로 해 놓는 것이 좋다.[16]
파일:구리블록.png 블록(Block)주괴를 9개 조합하면 만들어지며, 블록은 다시 주괴로 바꿀 수 있어서 저장용으로 쓰인다.
파일:구리판.png 판(Plate)주괴를 두드려 가공한 형태. 대장간 망치를 이용해 조합하거나 금속 변형기의 압연 모드를 통해 만들 수 있다. 금속 변형기 제작에 판이 필요하므로 초반에는 대장간 망치를 이용한다. [17] 블록 절삭기로 블록을 가공하면 판 9개가 만들어진다.
파일:구리고밀도판.png 고밀도 판(Dense Plate)[18]압축기에서 판 9개를 압축하면 고밀도 판 하나가 나온다. 2015년 12월 기준 고밀도 판은 철과 납을 제외하고 쓸 곳이 없다.
파일:구리케이싱.png 케이싱(Casing)판을 대장간 망치와 조합하거나 금속 변형기의 압연 모드로 가공하면 케이싱 두 개가 나온다.

3.1 유동체

파일:UU셀.png

Fluid. 물과 용암, 바이오매스 같은 액체와 증기, 바이오 가스 등의 기체를 통틀어 부르는 말이다. 셀을 통해 아이템화 하거나 통합 유동체 셀에 담아서 저장, 운반할 수 있다.[19] 기계에서 쓰일 때는 아이템 칸에 놓이기도 하지만 보통 탱크에 담겨서 쓰인다. 단위는 mB(밀리버킷)을 쓰고 1000 mB은 1 B, 즉 양동이 하나 분량에 해당한다.

4 발전기

발전기, 열 발생 장치, 키네틱 발전기. 핵발전기 및 관련 부품, 운영에 관한 설명은 항목 참조.

5 에너지 그리드

발전기로 생산한 전기 에너지(EU)는 전선을 거쳐 기계로 이동한다. 기계로 이동하기 전에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으며 기계들에게 알맞은 전류를 보내도록 변압기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20]

5.1 전선

파일:/20151231 56/y207702 1451547114440o5xoH PNG/2015-12-31 16.30.14.png

전선은 발전기와 에너지 저장 장치, 기계들 사이에서 전기 에너지가 흐르도록 해준다. 과거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에서는 전선마다 최대 허용 EU와 블록당 손실 전력, 비절연 전선에서의 감전이 있었는데, 2015년 12월 기준으로 이 시스템은 사라진 상태다. 마인크래프트 1.10.2 버전의 IC2 모드에서 EU 상한치, 전력 손실이 부활했다! 단, 1.7.10~1.9.4는 여전히 그런거 없다.
제작법은 판을 커터와 조합/금속 변형기의 절삭 모드로 가공하거나 주괴를 금속 변형기의 압출 모드로 가공하면 된다. 보통 금속 변형기를 만든 다음부터는 주괴를 직접 전선으로 만든다. 단, 고압 전선은 압출모드로만 만들 수 있고, 유리 섬유 전선과 EU-감지 전선, EU-스플리터 전선은 다른 조합법이 필요하다. 고무와 조합하는 것으로 절연 전선으로 만들 수 있는데, 사진에서 검은색으로 덮인 두꺼운 전선이 절연된 전선이다. 전선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주석 전선
    주석이 원료인 전선이다. 주석 하나당 3개씩 만들어진다. 최대 수송 허용 전력은 32EU/t,
  • 구리 전선
    구리가 원료인 전선이다. 구리 하나당 대장간 망치+커터와 조합할 시에는 전선이 2개, 금속 변형기의 압출 모드로는 3개씩 만들 수 있다. 기계 제작에 가장 많이 쓰이는 전선이다. 최대 수송 허용 전력은 128EU/t.
  • 금 전선
    금이 원료인 전선이다. 금 하나당 전선이 4개씩 만들어진다. 절연시 고무가 2개 필요하다. 최대 수송 허용 전력은 512EU/t.
  • 고압 전선
    철이 원료인 전선이다. 철 하나당 전선이 4개씩 만들어진다. 절연시 고무가 3개 필요하다. 최대 수송 허용 전력은 2048EU/t.
  • 유리 섬유 전선
    따로 조합법이 존재한다. 필요한 재료는 유리, 은가루[21],에너지움 가루이다. 에너지움 가루 제작에는 다이아몬드가 필요하기 때문에, 가장 비싼 전선이라고 할 수 있다. 최대 수송 허용 전력은 8192EU/t.
  • EU-감지 전선
    파일:/20151231 93/y207702 1451548224952CBG1x PNG/2015-12-31 16.48.54.png 전기가 흐를 때 레드스톤 신호를 방출한다. 2015-12-31_16.49.05.png 전기가 흐르지 않으면 레드스톤 신호를 방출하지 않는다. 최대 수송 허용 전력 8192EU/t
  • EU-분할 전선
    파일:/20151231 149/y207702 14515482246576ckO6 PNG/2015-12-31 16.48.00.png 레드스톤 신호가 없으면 전기를 흐르게 한다.
    파일:/20151231 120/y207702 1451548224796bKq88 PNG/2015-12-31 16.48.04.png 레드스톤 신호를 받으면 전기 흐름을 막는다. EU-감지 전선과 함께 쓰면 레드스톤 회로를 만들 수도 있다. 최대 수송 허용 전력 8192EU/t

5.2 변압기

파일:LVGUI.png
서로 다른 EU 단위 사이를 변환시켜주는 장치. 높은 EU 단위의 전력 패킷을 받아 낮은 EU 단위의 여러 패킷으로 내보내거나, 그 반대의 작용을 한다. 본디 기계마다 최대 허용 EU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필요하지만, Experimental 업데이트 이후 1.7.10 기준으로 이 기능이 아직 적용되지 않았으나 1.10.2에서 다시 부활했다! 이제 이런거까지 다 생각해서 해야되므로 난이도가 올라갔다.... 점이 5개인곳이 고압 입출구이고 1개 인곳은 저압 입출구이다. 디폴트 상태에서 고압 입출구 쪽으로 전력을 받아서 저압 입출구 쪽으로 내보내는 기능을 하며, 변압기의 메뉴에서 입력과 출력을 바꿀 수 있다.

  • LV-변압기
    파일:LV변압기.png32 EU/t와 128 EU/t 사이의 전기를 교환해준다. 즉, 저압->고압의 경우 32 EU/t의 입력을 모아 128 EU/t로 출력해주고 고압->저압의 경우 128 EU/t의 입력을 32 EU/t로 분산시켜준다.
  • MV-변압기
    파일:MV변압기.png128 EU/t와 512 EU/t 사이의 전기를 교환해준다.
  • HV-변압기
    파일:HV변압기.png512 EU/t와 2048 EU/t 사이의 전기를 교환해준다.
  • EV-변압기
    파일:EV변압기.png2048 EU/t와 8192 EU/t 사이의 전기를 교환해준다. 고작 변압기 주제에 조합에 에너지 크리스털이 들어가는 데다, 현 시점에서 8192 EU/t가 필요한 기계는 거의 없기 때문에 거의 쓰이지 않는다.

5.3 저장 장치

하단의 전압에 따른 사용불가는 현재 비활성상태로 현재는 기계의 전압의 차이에 상관없이 쓸 수 있다. 단, 저장장치를 통해 도구를 충전하는 것은 해당 도구가 요구하는 특정 티어 이상만 가능하니 유의.

파일:MFSUgui.png발전기에서 만들어진 전기를 바로 기계를 옆에 붙이는 것으로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발전기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발전기에서 만든 전기를 먼저 저장 장치에 저장한 후, 기계가 저장 장치에서 전기를 끌어다 쓰는 방법을 사용한다. 장치를 설치하면 점이 있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이 있는데, 점이 있는 부분이 출력부, 없는 부분이 입력부이다. 기계들의 최대 허용 EU/t에 따라 티어(등급)이 결정 되듯, 저장 장치는 출력 EU/t에 따라 티어가 결정된다. 모든 저장 장치는 오른쪽 위의 레드스톤 버튼을 통해서 '레드스톤 행동'을 바꿀 수 있다. 또,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 장비 중 일부는 전기 에너지의 충전이 필요한데, 편의를 위해 장비칸이 표시된다. 위에 있는 빈칸은 충전할 물건을 놓는 칸이며, 아래에 있는 칸은 에너지를 저장 장치로 옮길 물건을 놓는 칸이다. 배터리를 위에 놓으면 충전되고, 아래 놓으면 방전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참고로 렌치를 이용하여 회수하면 회수할 때 장치에 남아있던 전기의 80%가 보존된 상태로 아이템화 된다.

  • 배터리 박스
    파일:배터리박스.png 가장 처음에 만들게 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이다. 출력은 32 EU/t이고 저장 용량은 40000 EU이다. 1티어까지의 도구를 충전할 수 있다. 전기 제트팩의 조합 재료로 들어가기 때문에 다음 티어의 저장 장치로 바꿀 때 창고에 모셔두자.
  • CESU
    파일:CESU.pngCompact Electric Storage Unit의 줄임말. 2 티어 저장 장치로 2티어까지의 도구를 충전할 수 있다. 출력은 128 EU/t이고 저장 용량은 300000 EU이다. 이보다 높은 티어의 저장 장치부터는 다이아몬드를 요구하기 때문에 중간 단계인 CESU가 많이 사용된다.
단, 현재 시점에서 2티어를 써야 하는 기계가 별로 없고[22], 상위 저장장치인 MFE가 MFSU로 업그레이드를 할 재료로 쓰이는 것과는 달리 CESU를 필요로 하는 조합법은 없는 등 상위티어로 업그레이드시 계륵이 되기에 일부 숙련자들은 만들지 않고 지나가는 단계이기도 하다
  • MFE
    파일:MFE.pngThe Multi-Functional Electric storage unit의 줄임말. 3티어 충전장치로 출력은 512 EU/t, 저장 용량은 4백만 EU이다. 이거 하나를 만들려면 다이아몬드가 16개나 필요하기 때문에 다이아몬드 블록보다 비싼 기계이다. 현 시점에서 퀀텀 수트를 제외한 모든 충전식 도구를 충전 가능하다.
  • MFSU
    파일:MFSU.pngThe Multi-Functional Storage Unit의 줄임말. 4티어 저장장치로, 출력은 2048 EU/t, 저장 용량은 자그마치 4천만(!) EU이다. MFE와 래포트론 크리스털이 재료로 들어간다. MFE에 들어간 다이아몬드를 제외해도 24개의 다이아몬드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하지만 그만큼 성능은 보장되며, 퀀텀 슈트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MFSU가 필요하다.
  • 충전 패드
    파일:MFE충전패드.png각 저장 장치들에 추가적인 조합을 해주면 충전 패드가 되는데, 나머지 기능은 똑같지만, 플레이어가 충전 패드 위에 서있으면 장착하고 있는 장비와 인벤토리에 있는 전기 제품들을 자동으로 충전시켜준다. 무선 충전 '레드스톤 행동'이 보통 저장 장치와 다르다.
  • 레드스톤 행동
    - 없음
    - 꽉 찰 경우 레드스톤 출력
    - 부분적으로 찰 경우 레드스톤 출력[23]
    - 꽉 차지 않을 경우 레드스톤 출력[24]
    - 빌 경우 레드스톤 출력
    - (레드스톤 신호가 있으면) 에너지 출력 중지
    - (레드스톤 신호가 있으면) 꽉 찰 때까지 에너지 출력 중지
  • 레드스톤 행동(충전 패드)
    - 작동 중이면 레드스톤 출력
    - 작동이 멈출 경우 레드스톤 출력

6 기계 및 업그레이드

항목 참조

7 장비 및 도구

7.1 세트 장비

  • 청동 방어구
장비명설명
청동 헬멧
청동 갑옷
청동 레깅스
청동 부츠

현 시점에서 철 장비와 완벽히 동일한 방어력과 내구성을 지닌다. 딱히 성능이 특출나게 뛰어난 것은 아니지만, 가뜩이나 철 소모량이 높은 이 모드에서 철을 굳이 쓰지 않고도 방호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는 방어구.

  • 청동 도구
장비명설명
청동 곡괭이
청동 도끼
청동 검
청동 삽
청동 괭이

전부 철 도구와 같은 내구력과 피해량, 채집 속도를 지닌다.
청동 방어구, 도구의 성능은 업데이트 때마다 달라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추후 변화가 있다면 추가바람.

  • 나노수트
장비명설명
나노수트 헬멧
나노수트 갑옷
나노수트 레깅스
나노수트 부츠

3티어 방호구. 모든 파츠는 전기를 소모하여 다이아 갑옷 이상가는 방호력을 제공한다. 헬멧은 야간투시경 기능이 있으며, 수중에서 산소가 4칸 아래로 내려갈 시 인벤에 압축된 공기 셀이 있다면 자동으로 산소를 공급해준다. 알트+X 키로 자체 GUI를 켤수도 있다. 신발은 낙하 데미지를 획기적으로 줄여준다.

  • 퀀텀수트
장비명설명
퀀텀수트 헬멧
퀀텀수트 갑옷
퀀텀수트 레깅스
퀀텀수트 부츠

4티어 아이템으로 그렉텍이라도 깔지 않는 한최종테크다. 헬멧은 공기 셀 필요없이 수중에서 자동으로 산소를 공급하고, 야간투시경, 자체 GUI를 지원하며 갑옷은 제트팩 기능을 겸한다. 바지는 달리기 속도를 스피드 핵 수준으로 늘려주며 신발은 점프 높이를 12칸 가량으로 늘려준다. 또한 독, 화염, 방사능 등등 디버프를 자체 전력을 소모해 지워주고 인벤토리 내에 통조림 아이템이 있는 경우 허기가 감소하면 자동으로 먹는 기능도 있다. 여러모로 비범한 갑옷. 다만 엄청난 성능에 걸맞게 전력 소모가 꽤 높은 편이니 유의.

  • 방호 수트
장비명설명
방호 스쿠버 헬멧수중에서 산소가 4칸 이하시 인벤토리의 압축된 공기 셀을 소모해 산소를 공급한다.
방호 수트
방호 수트 레깅스
방호 고무 부츠낙하 데미지를 경감[25]시킨다.

자체 방어력은 풀세트를 착용하더라도 4점 밖에 안되지만, 풀세트 착용시 화염과 방사능에 완전 면역[26]이 되고, 폭발 데미지 또한 엄청나게 줄여준다. 간단한 재료와 꽤 괜찮은 성능으로 방어력 보고 입는 초중반부터 원자로 관리때문에 쓰게되는 후반까지 쭉 함께하는 세트다.

7.2 채집·채굴용 도구

도구명설명
간이 추출기극초반에 고무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추출기. 내구도가 시망이어서 많이 쓰지 못한다.
전기 추출기간이 추출기의 상위호환. 내구도가 없고 대신 전기를 소모한다. 전력 레벨은 1티어이다.
채굴용 드릴곡괭이와 삽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도구. 채굴 속도는 철 곡괭이/삽과 비슷한 수준. 인챈트가 불가능하다. 전력 레벨은 1티어이다.
다이아몬드 드릴채굴용 드릴에 철제 블랭크[27]와 다이아몬드 3개를 더해서 만든다. 채굴 속도는 다이아몬드 곡괭이/삽 수준이며 흑요석 채굴이 가능해진다. 역시 인챈트는 불가능. 전력 레벨은 1티어.
이리듐 드릴다이아몬드 드릴에 이리듐 강화 판 3개와 에너지 크리스탈을 더해 만든다. 역시 인챈트는 불가능하나 일반 모드(행운 3)와 섬세한 손길 모드(섬세한 손길 1)를 선택할 수 있다. 전력 레벨은 3티어.
전기톱도끼와 가위 역할[28]을 동시에 하는 도구. 인챈트는 불가능하고, 전력 레벨은 1티어이다. 데미지가 꽤 높아[29] 무기로도 유용하게 쓰인다.전기톱 살인
채광용 레이저채광 모드, 장거리 모드, 초고열 모드, 단거리 모드, 수평 발사 모드, 흩뿌리기 모드, 폭발 모드의 7개 모드가 있다. 전력 레벨은 3티어이다.

7.3 에너지 저장 도구

각 아이템은 해당 티어 이상의 저장장치에서만 충전이 가능하다.

도구명설명
충전용 건전지10,000EU를 저장할 수 있는 1티어 저장장치. 발전기를 제작할 때 들어가고, 전기도구에 들어가는 동력원(Power unit) 제작에도 쓰인다.
고급 충전용 건전지100,000EU를 저장할 수 있는 2티어 저장장치. 나노수트 핼멧의 재료인 야시경의 제작에 사용된다.
에너지 크리스탈1,000,000EU를 저장할 수 있는 3티어 저장장치. 나노수트와 채광용 레이저, 이리듐 드릴제작 같은 고급 아이템 제작에 쓰인다.
레포트론 크리스탈10,000,000EU를 저장할 수 있는 4티어 저장장치. MSFU를 만들 때나 퀀텀수트 제작에 쓰인다.
일회용 건전지사전에 충전할 필요 없이 하나당 1,200EU씩의 에너지를 생성한다. 충전을 안해도 되고 재료비가 비교적 싼 편이나[30] 가성비를 따지면 그냥 충전용 건전지 만드는 것이 몇배는 더 이롭다.

7.4

갑옷 상의 부분에 장비하는 아이템으로 각종 부가기능을 제공한다. 갑옷 대신 입는 것이기에 그만큼 방어력이 저하되는 점에 유의해야 하며, 특히나 풀세트를 입어야만 용암이나 방사능 면역이 붙는 방호 슈트는 더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장비명설명
제트팩바이오 가스나 석탄연료를 사용하여 플레이어가 서바이벌에서 날 수 있게 해준다.
전기 제트팩연료대신에 전기를 충전하는 제트팩. 최대 상승 고도(185)가 일반 제트팩(245)보다 조금 낮고 최대지속시간도 짧다.
배터리팩일종의 외부 배터리 개념의 장비. 배터리팩의 전기가 남아있는 한 도구의 내장 배터리는 닳지 않는다. 6만 EU까지 충전되며, 1티어 도구[31]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고급 배터리팩기본적으로 배터리팩과 동일. 60만 EU까지 충전되며, 2티어까지의 도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32] 2티어 이상의 저장장치에서만 충전이 가능하다.
에너지팩기본적으로 배터리팩과 동일. 200만 EU까지 충전되며, 3티어까지의 도구[33]에 전기 공급이 가능하다. 3티어 이상의 저장장치에서만 충전이 가능하다.
CF 백팩Construction Form이라는 일종의 건설용 시멘트를 저장하는 백팩. 백팩 한계 내에서 CF 스프레이에 자동으로 CF를 충전한다.

7.5 기타 장비 및 도구

8 농업

기본적으로 IC2 시절과 별반 차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crop에 꽃을 심을 수가 없게 되었다.

8.1 육종

8.2 술 만들기

9 건축

10 도전과제

1.7.10 시점에서 이전의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2 시절의 업적이 약간의 수정만 되어서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추후에 변경이 있을 경우 수정바람.

또한 본 문단에서 도전과제 설명 번역은 기본적으로 작성자가 자의적으로 번역한 것이며, 더 적절한 번역이 있을 경우 얼마든지 수정 바람

10.1 재료 관련

  • Not really better than iron: 당신은 방금 쓸모없는 금속괴 하나를 만들었다 (You just made a useless ingot)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Acquire Hardware(바닐라 도전과제)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없음
    • 처음 철괴를 만들어 바닐라 도전과제인 Acquire Hardware를 획득한 후 다시 철괴를 제련하면 달성. 원래 Experimental 이전에는 철괴를 다시 화로에서 제련해서 제련철을 만드는 Better than iron이라는 도전과제였으나 Experimental에 들어와 레시피가 대폭 바뀌어 한동안 제련철이 일반 철과 다를 바 없어지면서 과제명이 현재처럼 바뀌었고, 이후 제련철 아이템의 얻는 방식이나 사용처가 완전히 바뀌면서 달성 조건도 지금처럼 바뀌었다.
  • Sticky Situation: 간이 추출기를 이용해 고무나무에서 수지를 얻는다 (Get resin from a rubber tree with a treetap)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없음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없음
    • 간이 추출기를 든 상태에서 고무나무의 수액구멍에 우클릭을 해서 수액을 나오게 하면 달성. 참고로 과제명인 Sticky Situation이란 헤어나오기 힘든 상황이란 뜻의 속어로, 이를 끈적거리는(Sticky) 수액에 비유한 말장난이다.
  • New ore Miner: 구리나 주석 혹은 우라늄을 채굴한다 (Mine copper, tin or uranium)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없음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없음
    •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2에서 새로 추가된 광석들을 채굴해 광석을 인벤토리어 넣으면 달성. 설명에서처럼 납 광석으로는 조건을 달성할 수 없다.

10.2 전기/기계관련

10.2.1 1티어

  • Energy Flow: 전선을 만든다 (Make some cables)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Acquire Hardware(바닐라 도전과제)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Suitable Power
    • 재료에 관계없이 전선을 하나 이상 제작할 시 달성.
  • Suitable Power: 발전기를 제작한다 (Build a generator)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Energy Flow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Double Trouble, Even Hotter Topic, Epic Squeeze, Super Treetap, Stash It
    • 화력 발전기를 제작할 시 달성
  • Double Trouble: 분쇄기를 제작한다 (Build a macerator)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Suitable Power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Shiny
    • 분쇄기를 제작할 시 달성.
  • Shiny: 다이아몬드로 압축할 석탄 덩어리를 만든다 (Make a coal chunk to compress into a diamond)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Double Trouble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없음
    • 인조 다이아몬드의 재료가 되는 석탄 덩어리(Coal Chunk)를 만들면 달성. 참고로 석탄 덩어리를 만드는데 석탄 64개, 부싯돌 8개, 흑요석(혹은 벽돌 블록이나 철 블록) 1개가 들어간다. 도전과제 자체는 분쇄기만 만들어도 해금되지만 실제 달성에는 압축기도 필요하다.
  • Even Hotter Topic: 전기로를 제작한다( Build an electric furnace)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Suitable Power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Hyperspeed
    • 전기로를 제작할 시 달성. 참고로 저 도전과제명은 바닐라에서 화로를 만드는 도전과제인 Hot Topic의 패러디.
  • Hyperspeed: 유도 전기로를 제작한다 (Build an induction furnace)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Even Hotter Topic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없음
    • 유도 전기로를 제작시 달성.
  • Epic Squeeze: 압축기를 제작한다 (Build a compressor)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Suitable Power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Radioactivity 없음
    • 압축기를 제작할 시 달성.
  • Super Treetap: 추출기를 제작한다 (Build an Extractor)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Suitable Power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없음
    • 추출기를 제작하면 달성.
  • Stash It: 배터리 박스를 제작 (Build a BatBox)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Suitable Power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Lumberjack Assassin, Meet the Dentist, Storage Upgrade
    • 1티어 저장장치인 배터리 박스를 제작할 시 달성.
  • Lumberjack Assassin: 전기톱을 제작한다 (Build a chainsaw)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Stash It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Creeper Chainsaw Massacre
    • 전기톱을 제작할 시 달성.
  • Creeper Chainsaw Massacre: 전기톱으로 크리퍼를 처치한다 (Kill a creeper with a chainsaw)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Lumberjack Assassin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없음
    • 전기톱으로 크리퍼를 처치하면 달성. 참고로 전기톱은 기본 데미지가 +9로 일반 다이아몬드 검(+7)보다도 더 높아서, 크리티컬 없이도 2번 때리면 크리퍼를 해치울 수 있다. [34]
  • Meet the Dentist: 채광 드릴을 제작한다 (Build a mining drill)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Stash It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Valuable Upgrade
    • 채광 드릴을 제작할 시 달성.
  • Valuable Upgrade: 당신의 채광 드릴을 다이아몬드 팁이 달린 채광 드릴로 업그레이드한다 (Upgrade your mining drill to a diamond-tipped mining drill)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Meet the Dentist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없음
    • 다이아몬드 드릴을 제작할 시 달성.

10.2.2 3티어+

본디라면 2티어-3티어가 순차적으로 와야 하나, 업적에는 레시피가 바뀌면서 생긴 티어 변동이 제대로 반영이 안되어 있어서 3티어 이상으로 뭉뚱그려 분류한다.

  • Storage Upgrade: MFE 유닛을 제작한다 (Build MFE Unit)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Stash It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Laser Time, Energy To Matter, Just Too Much
    • 3티어[35] 저장장치인 MFE 유닛을 제작하면 달성. 제작에 다이아몬드 16개가 들어가니 유의할 것.
  • Laser Time: 채굴용 레이저를 제작한다 (Build a mining laser)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Storage Upgrade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Like A Boss
    • 채굴용 레이저를 제작할 시 달성.
  • Like A Boss: 채굴용 레이저로 엔더 드래곤을 처치 (Kill the enderdragon with a mining laser)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Laser Time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없음
    • 채굴용 레이저를 이용해 엔더 드래곤을 처치할 시 달성.
  • Energy To Matter: 물질 제조장치를 제작한다 (Build a Mass Fabricator)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Storage Upgrade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Pink Blob 없음
    • 물질 제조장치(Mass Fabricator)를 제작할 시 달성.
  • Just Too Much: MFS 유닛을 제작한다 (Build a MFS Unit)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Storage Upgrade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Intradimensional Jump, Change The World
    • 4티어 저장장치[36]인 MFS 유닛을 제작할 시 달성.
  • Intradimensional Warp: 텔레포터를 제작한다 (Build a Teleporter)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Just Too Much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Far Far Away
    • 텔레포터를 제작할 시 달성.
  • Far Far Away: 최소 1km 이상을 텔레포트한다 (Teleport for at least 1km)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Intradimensional Jump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없음
    • 직선거리로 1km 이상 떨어진 두 텔레포터 사이로 텔레포트 하게 되면 달성.[37]
  • Change The World: 테라포머를 제작한다 (Build a terraformer)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Just Too Much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Endgame Paradise
    • 테라포머를 제작할 시 달성.
  • Endgame Paradise: 디 엔드를 오버월드처럼 보이게 테라포밍한다 (Terraform the End to look like the overworld)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Change The World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없음
    • 디 엔드에서 테라포머를 가동시키면 달성.
  • Hi-Tech Wonder: 퀀텀 수트 방호구 중 하나를 만든다 (Build a piece of the quantum suit)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Pink Blob 없음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Forgot to Rechange
    • 퀀텀 수트 헬멧, 바디아머, 레깅스, 부츠 중 하나를 제작하면 달성.
  • Forgot to Rechange: 퀀텀 수트 헬멧을 쓴 상태로 굶어 죽는다 (Starve to death with a quantum helmt)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Hi-Tech Wonder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없음
    • 퀀텀 수트 헬멧을 착용한 상태에서 허기도 저하로 인한 데미지로 사망하면 달성.

10.3 기타 도전과제

  • Crazy Ivan: 자신이 설치한 핵에 의해 사망한다 (Die from a nuke you have placed)
    • 해금에 필요한 도전과제: Radioactivity없음
    • 달성시 해금되는 도전과제: 없음
    • 설명 그대로 자기 자신이 설치한 핵폭탄을 기폭해 사망한 경우 달성.
  • Radioactivity: 우라늄을 우라늄 연료 괴로 압축한다 (Compress uranium into a uranium fuel ingot)
    • 해금에 필요했던 도전과제: Epic Squeeze
    • 달성시 해금되었던 도전과제: Crazy Ivan
    • Experimental 이전에 존재했던 도전과제로 우라늄 광석을 채굴해 나오는 우라늄 원석(Uranium)을 압축기에 넣어 정제 우라늄(Refined Uranium)을 만들고 이를 집어들면 달성되었다. 현 시점에는 우라늄의 채취 및 정제과정이 완전히 갈아엎어지면서 사라졌다.
  • Pink Blob: UU-물질을 만든다 (Produce some UU-Matter)
    • 해금에 필요했던 도전과제: Energy To Matter
    • 달성시 해금되었던 도전과제: Hi-Tech Wonder
    • Experimental 이전의 도전과제로 물질 제조장치를 이용해 UU-물질을 생성하고 이를 집어들면 달성되었다. 현재는 UU-물질의 사용법이 이전과 완전히 달라지게 되면서 사라졌다.

11 기타

  • 태양열 증류기
  • 유동체 분배기
  • 패턴 저장소

12 조합법

항목 참조.

13 여담

이 문서에서 쓰인 명칭은 정식 한글 번역에 따랐다. 참고로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가 한글번역될적에 산업모드 2 Ex로 번역되었으나 '-Craft'를 한국어로 대체할 만한 적당한 언어가 없어서 '-모드'라 번역하는 건 잘못되었다고 누군가 지적해서 번역을 인더스트리얼 크래프트 2 Ex로 변경하였다. 나중엔 다시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로 'Ex'가 빠지고 두 단어를 붙여 쓰게 되었다. 번역에 관한 문의는 이곳에서 하자. 이 포스팅에서 아직 적용되지 않은 번역 최신판을 받을 수 있다. 이 사람한테 해도 된다.
  1. Experimental 버전만 포함시켰다. 그 이전 버전에 관해서는 이 페이지 참조.
  2. 1.8.9는 현재(2016/6월 기준) 다른 모드와의 충돌이 잦은 등 좀 불안정한 편이다. 다른 모드를 다수 넣을 생각이라면 아직은 1.7.10을 고수하는 것을 추천.
  3. 1.8.9 버전은 2.2.3.262, 1.7.10 버전은 2.2.822. 셋 다 아직 업데이트 중이다.
  4. 구 버전에 관해서는 마인크래프트/팁/모드 항목의 해당 단락 참조.
  5. 1.6 이후 버전.
  6.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에 추가된 아이템. TNT 3개를 산업용 TNT 4개로 늘릴 수 있다.
  7. 월드 생성 알고리즘에 새로운 자원을 추가, 생성하는 것이기에 모드를 깔기 전에 플레이했던 맵에서 기존에 생성되었던 청크에서는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 2의 신규 자원이 나오지 않는다. 물론 새로 생성된 청크에서는 정상적으로 나오게 된다.
  8. 정식명칭 : Stronghold - 요새, 거점이라는 뜻이다.
  9. 원자로의 부분에서 후술하겠지만, EU모드의 경우 유동체 냉각 모드의 50% 출력이다.
  10. 다른 방호구의 경우 설령 퀀텀수트 헬멧이라도 몇 초 버티다가 에너지 잔량이 0이 되어버린다.
  11. 체감상 늪지대에서는 매우 자주 보이지만 숲에서는 가끔 가다 한두 그루, 타이가에서는 진짜 운이 좋으면 한번 보일까 말까한 수준으로 거의 안 보인다.
  12. 고무나무 원목을 재료로 쓰는 아이템이 딱 하나 존재한다(술통).
  13. 수액이 없어진 상태에서도 자세히 보면 수액 구멍이 있는 곳과 없는 곳은 텍스쳐가 약간 다르다.
  14. 출현율은 꽤 높다.
  15. 폐광과 NPC는 조각만 준다.
  16. 후반엔 자원이 넘치기 때문에 가공된 형태별로 쌓아두는 경우도 있다.
  17. 대장간 망치는 80번의 횟수 제한이 있고, 모두 소모하면 사라진다.
  18. 고밀도 철판처럼 아이템 이미지가 일반 판과 구분이 안가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
  19. 일반 셀과 통합 유동체 셀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도구 부분에서 설명한다.
  20. 2015년 12월 기준으로 전기 시스템을 다시 코딩하는 과정에서 변압기 부분과 전선 부분이 완성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완성 시 수정 바람.
  21. 분쇄(·정제)된 금광석을 원심분리하면 미량의 은가루가 나온다.
  22. 특히 도구의 경우 전부가 1티어 아니면 3티어 이상으로 2티어가 필요한 것이 전혀 없다.
  23. 비어있거나 꽉 찰 경우 출력되지 않는다.
  24. 비어있어도 출력된다.
  25. 추락 데미지를 (떨어지는 높이-3)÷8 (소수점 버림)으로 만든다.
  26. 심지어 용암에 빠지더라도 데미지를 입지 않는다. 용암에 닿는 것으로는 내구도가 닳지 않으며, 용암 속에서는 딱히 산소 게이지도 없기 때문에 용암 속을 유유히 거니는 것도 가능하다.
  27. 최신 버전 기준으로 턴테이블을 통해 드릴 모양으로 깎아야만 조합이 가능하다.
  28. 양에 대고 우클릭하면 양털을 깎을 수도 있다.
  29. +9로 다이아몬드 검(+7) 보다도 높다.
  30. 전선1+석탄가루1+레드스톤가루1로 5개, 석탄가루를 물과 조합한 수화 석탄가루를 쓰는 경우 8개씩 만들 수 있다
  31. 전기톱, 채광드릴, 다이아몬드 드릴, 전기 추출기, 전기 괭이, 전기 렌치.
  32. 현 시점에서는 2티어 도구가 없는지라 배터리팩과 같다.
  33. 나노 세이버, 채광용 레이저, 이리듐 드릴을 포함한 모든 도구.
  34. 여담으로, 번역명이 은근히 초월번역. 코리아 전기톱 연속구축사건 그냥 전기톱으로 크리퍼를 잡을 수 있다는 뜻인데 코리아는 왜나오지
  35. Experimental 이전에는 2티어였다.
  36. Experimental 이전에는 3티어였다.
  37. 참고로 텔레포터는 이동하는 거리와 플레이어가 가지고 있는 아이템 숫자에 따라 이동에 소모하는 전력이 달라진다. 공식참조. 참고로 저 페이지의 공식에서 floor는 소수점 아래를 버린 값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