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축구 국가대표팀

아시아 축구 연맹(AFC) 회원국
50px
25px
50px
50px

네팔
대만
대한민국
50px
50px
50px
50px
동티모르
라오스
레바논
마카오
50px
50px
50px
50px
말레이시아
몽골
몰디브
미얀마
50px
50px
50px
50px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50px
50px
50px
50px
북마리아나 제도
북한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50px
50px
50px
50px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50px
50px
50px
50px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50px
50px
50px
50px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인도
50px
50px
50px
50px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카타르
50px
50px
50px
50px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50px
50px50px
50px
태국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50px
50px
50px
필리핀
호주
홍콩
인도 축구 국가대표팀
भारतीय राष्ट्रीय फुटबॉल टीम
정식명칭भारतीय राष्ट्रीय फुटबॉल टीम[1]
India national football team[2]
FIFA 코드IND
협회전인도 축구 연맹 (AIFF)
연맹아시아 축구 연맹 (AFC)
지역연맹남아시아 축구 연맹 (SAFF)
감독스테판 콘스탄틴 (Stephen Constantine)
주장수닐 츠헤트리 (Sunil Chhetri)
홈 구장솔트레이크 스타디움 (Salt Lake Stadium)
첫 국제경기 출전VS 프랑스 (1:3 패), 영국 런던 (1948년 7월 31일)
최다 점수차 승리VS 세일론 (7:0 승), 인도 방갈로르 (1963년 12월 29일)
최다 점수차 패배VS 소련 (1:11 패), 소련 모스크바 (1955년 9월 16일)
별칭Blue Tigers (파란 호랑이)
아시안컵출전 3회, 준우승 1회 (1964)
올림픽출전 4회 (1948, 1952, 1956, 1960)
유니폼어웨이
상의파랑하양
하의파랑하양
양말파랑하양

인도축구 국가대표팀을 다루는 항목.

1 개요

홈 구장은 솔트레이크 스타디움이며 감독은 스테판 콘스탄틴이다. Blue Tigers (파란 호랑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한 번도 월드컵 본선에 오르지 못한 최약체 국가다. 사실 1950년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적이 있긴 하다. 1938 월드컵에 처음으로 진출했던 동인도(현재 인도네시아인데, 그 땐 네덜란드 식민지 시절)에 이어 아시아에서 2번째 진출이자, 아시아 국가로서 사상 첫 월드컵 진출이 될 수 있었다. 그러나, 맨발로 경기에 임하길 요구했다가 피파 규정에 부딪쳐 거부당했다. 그래서 인도 측이 참가를 거부하면서 월드컵 진출권을 스스로 기권하며 1954년 월드컵에 진출한 대한민국이 아시아 독립국가 첫 진출국이 되었다. 이 기권에 피파에서 1954년 월드컵 참가 자격을 박탈하는 처벌을 내렸으며 인도도 울컥하여 1982년 월드컵까지 아예 지역예선을 불참했었다.

사실 이 진출이 따지자면 매우 운이 좋았다. 당시 아시아 예선에 나온 나라는 인도와 인도네시아,필리핀,버마뿐이었다. 당시 아시아에선 한국은 독립 이후 분단으로 제대로 정신도 없었고 일본은 미국 식민지나 다를 거 없던 신세였고 패전 이후 여러 복구 문제로 골머릴 앓았으며 중국도 대만과 분열되어 전쟁을 치른 터라 역시 마찬가지였고 아랍권 나라들도 이스라엘과 중동전쟁 문제, 각 나라들의 내부 문제로 정신이 없었던 와중이었다.

물론 예선에 참가한 4나라 모두 독립한 지 얼마 안 돼 경제정치적으로 어렵기 마찬가지였던지라, 다른 3나라는 1경기도 치루지않고 기권해버렸다. 즉 1경기도 안 치루고 월드컵 본선에 올랐던 것. 물론 이 4나라에서 인도가 가장 강했기에 어차피 경기를 해도 인도가 진출할 가능성이 압도적이긴 했지만 결국 인도도 기권해버렸으니 이 운좋은 것도 별 일 없게 되었다.

그렇긴 해도 다른 국제 대회에서 인도 축구는 1951년, 62년 아시안 게임 축구 금메달 및 1956년 올림픽 4강(4위)에 올라 아시아 나라로는 처음으로 올림픽 축구 4강에 올랐다.[3] 1964년에는 아시안컵 준우승(우승은 이스라엘)도 차지하며 아시아에서 강호이던 시절이 있었다.

비록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과 1955년 원정 친선 경기에서 1:11 대패를 당하긴 했지만. 이 시절 소련이 월드컵 4강급 강호였긴 했다.

그러나 1960년대 중반 이후로부터 세계축구의 흐름에 뒤쳐지며 축구실력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하여 약체가 되어나갔고 1986년 월드컵 지역예선에 36년 만에 나섰는데 1차예선에선 방글라데시태국,인도네시아에게 2승 3무 1패를 거두며 조 2위로 탈락했고 1990 월드컵 예선도 아예 불참해버렸다. 이후로 최종예선도 못오고 있는 상황이다.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선 2차 예선에서 아랍에미리트에게 1무 1패(0:3,2:2)로 탈락했다. 2013년 12월 피파랭킹은 154위로 아시아 약체이다.

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당시 축구 예선에서 일본이 고전 끝에 인도에게 1-0으로 겨우 이기자 여론에게 약체에게 고전했다며 신나게 비난당했을 정도이다.

주로 크리켓, 필드하키의 인기에 밀려 축구가 발전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10억이 넘는 인도 인구 중에서 동부 쪽을 중심으로 축구열기가 장난이 아니라 축구 관련 산업은 상당한 수익을 거두고 있다. 덕분에 피파가 인도 시장에 군침을 흘리면서 인도 축구 분야 지원에 앞장서고 있으며 심지어 제프 블라터 피파 회장이 2026 월드컵을 인도나 중국이 공동개최 및 개최국 후보로 나서도 될 거 같다는 말을 괜히 한 게 아니다.

더불어 남아시아 챔피언십 대회 (인도, 네팔,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부탄, 몰디브, 파키스탄, 스리랑카가 참가하는 대회)에서 6번 우승한 최다 우승국가로 적어도 인도 근처 지역에선 강호(?)인 셈이다. 남아시아 축구대회가 현재까지 10번이 열렸으니, 무려 10번 중 6번을 인도가 우승할 정도로 근방에선 따라올 자가 없다. 2013년 네팔에서 열린 대회에선 첫 경기 네팔전에서 1-2로 패하고도 결승까지 진출했으나 아프가니스탄에게 0-2로 패하며 7번째 우승은 실패했다. 2013 남아시아 챔피언십 상세한 이야기

그런데 AFC 챌린지컵에선 동네북이 되어가고 있다. 2006년 1회 대회는 8강에 진출했고 2008년 자국에서 열린 2회 대회는 우승했지만 2010년에는 북한에게 0-3으로 진 것을 비롯하여 조 꼴찌로 탈락하고 2012년 네팔에서 열린 대회에서도 북한에게 0-4,타지키스탄,필리핀에게 0-2로 지면서 1골도 못 넣고 또 조 꼴찌로 탈락했다.

한국과 역대성적은 한국이 45승 5무 5패로 압도하고 있다.1953년 4월 18일에 6.25 마지막에 어렵게 한국에서 첫 친선경기를 벌인 게 첫 인도와의 축구경기인데 3-1로 한국이 이겼다. 1975년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친선대회에서 2-3으로 진 게 마지막 패배이며 1976년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메르데카컵에서 8-0으로 이긴 게 가장 크게 이겨본 역대 인도 경기이다. 가장 최근에서 겨뤄본 경기는 2011년 AFC 아시안컵 조예선으로 한국이 4-1로 이겼다.

2 역대전적

2.1 FIFA 월드컵

년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
1950 브라질 월드컵기권[4]
1954 스위스 월드컵출전금지
1958 스웨덴 월드컵불참
1962 칠레 월드컵불참
1966 잉글랜드 월드컵불참
1970 멕시코 월드컵불참
1974 서독 월드컵불참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불참
1982 스페인 월드컵불참
1986 멕시코 월드컵예선 탈락
1990 이탈리아 월드컵기권
1994 미국 월드컵예선 탈락
1998 프랑스 월드컵예선 탈락
2002 한일 월드컵예선 탈락
2006 독일 월드컵예선 탈락
2010 남아공 월드컵예선 탈락
2014 브라질 월드컵예선 탈락
2018 러시아 월드컵예선 탈락
2022 카타르 월드컵????????
합계본선진출 없음0/21[5]

2.2 AFC 아시안컵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19위

년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홍콩 1956기권
대한민국 1960예선 탈락
이스라엘 1964결선리그[6]준우승6320153
이란 1968예선 탈락
태국 1972기권
이란 1976기권
쿠웨이트 1980기권
싱가포르 1984조별리그10위1401307
카타르 1988예선 탈락
일본 1992예선 탈락
아랍에미리트 1996예선 탈락
레바논 2000예선 탈락
중국 2004예선 탈락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2007예선 탈락
카타르 2011조별리그16위03003313
호주 2015예선 탈락
아랍에미리트 2019?????????
합계준우승(1회)3/16710217823
  1. 힌두어
  2. 영어
  3. 그 이후에 올림픽 축구에서 4강에 오른 아시아 국가로는 일본(1968년 동메달, 2012년 4위), 이라크(2004년 4위), 대한민국(2012년 3위)이 있다.
  4. 지역예선에서 다른 팀들이 줄줄이 기권하는 바람에 공짜로 월드컵에 승선할 기회를 얻었지만, 맨발로 축구를 하게 해달라는 인도 축구협회의 요구가 FIFA에 의해 묵살되면서 조별예선 배정까지 끝난 상태로 기권하고 말았다. 월드컵 사상 가장 어이없는 이유로 기권. 하지만 이러한 명분의 이면에는 당시 인도가 독립한지 3년밖에 안된 신생국으로, 파키스탄 분리와 티베트 사태로 인한 안보 문제 때문에 월드컵을 포기했다는 설이 있다. 이는 소련과 전쟁 일보직전까지 갔던 터키도 마찬가지.
  5. 월드컵 본선 출전 비율
  6. 이 대회는 4개국이 풀리그로 진행하는 대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