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미아 증후군

파일:Attachment/uploadfile/GMDRSSS 2.jpg
인터넷 미아들의 대표적인 사례

1 개요

인터넷 미아 증후군이란 인터넷에서 웹 서핑을 할 때 처음의 검색 목적을 망각하는 현상을 말한다. 결국엔 본래의 목적을 잃고 다른 여러 링크를 옮겨 다니는 모습이 길을 잃고 헤매는 미아를 연상케 하는데, 이 때문에 인터넷 미아 증후군이라는 이름이 유래된 것. 시대가 발달하고 인터넷이 생겨나면서 자연스럽게 생겨난 현상이다.

인터넷 검색을 하려다가 순간 검색하려던 단어나 문장을 까먹는 바람에 ‘그 뭐였더라’ 혹은 ‘내가 뭘 검색하려고 했지?’라는 생각을 하다 자신도 모르게 그 문장 그대로 검색창에 치는 경우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현상은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 자주 일어나는 현상이며 나무위키 내에서도 자주 일어나는 현상이다. 심지어 이 문서에 들어오려다가 까먹는 경우도 있다!

2 상세

검색을 하려다 검색하려는 내용을 까먹는 현상은 소위 인출 실패에서 비롯된다. 기억은 크게 세 가지 단계, 즉 입력 - 저장 - 인출의 3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위에서처럼 우리가 어떤 내용을 갑자기 기억해내지 못하는 것은 입력 실패가 아닌 인출 실패에 해당된다. 다시 말해 우리의 기억 속으로 정보를 입력시키지 못했다기보다는 기존에 입력해 놓았던 정보를 다시 꺼내는 데 실패하는 경우라는 것이다.

특히 인터넷의 경우, 검색을 하기 위해 접속했다가 포털 사이트 등이 제공하는 다양한 흥미거리들에 눈이 팔려 이 링크 저 링크 옮겨다니는 일이 자주 일어나고, 막상 검색을 하려고 하면 뭘 검색하려고 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 역시 '인터넷 미아 증후군'에 속하며, 이용자들의 흥미를 우선으로 문서들이 작성된 나무위키에서도 자주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인터넷상이 아니더라도 일상적인 대화 중에 자신이 하려던 말이나 표현/이름 등이 기억이 안 난다든가, 갑자기 무엇인가가 떠올라서 얘기하곤 싶은데 말로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설단현상(tip of the tongue phenomenon , 舌端現象)이라고 한다. '혀 끝에서 맴돈다'는 뜻. 설단현상 역시 인터넷 미아 증후군과 비슷하다. 차이가 있다면 온라인오프라인의 차이. 인간이라면 남녀노소 국적불문하고 누구나 이런 현상을 겪는다.

이러한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미칠 듯이 짜증이 난다. 자칫 잘못하면 순간적인 상황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욕설과 함께 격한 반응이 나올 수도 있다. 더 무서운 사실은 혹 다시 기억났다 하더라도 검색을 하려고 하면 또 다시 잊어버리고 만다는 것이다. 심지어는 검색하기 전에 잊지 않기 위해 메모를 하려고 해도 뭘 메모하려 했는지 생각이 안 나는 경우도 있다. 아니면 어디에 메모를 해뒀는지 기억이 안 나는 경우도 있거나, 메모 해둔 곳을 알아도 그걸 왜 메모 했는지 망각 하는 경우도 있다. 그건 걍 치매 아니냐?

3 해결책

컴퓨터 끄면 생각난다.

역학조사를 시행한다.

전에 하고 있던 행동을 역순이건 정순이건 반복하면 놀랍게도 기억이 난다. 예를 들어 보고 있던 인터넷 페이지를 다시 연다든지, 컴퓨터를 껐다가 다시 켜본다든지, 방에서 다시 나갔다가 방에 들어온다든지, 아니면 보고 있던 인터넷 페이지를 끄고 컴퓨터를 껐다가 방에서 나갔다가 다시 방에 들어와서 다시 컴퓨터를 켜고 보고 있던 인터넷 페이지를 다시 연다든지(...). 100%는 아니나 상당히 유효하다. 급한 일이 아니라면 아무 생각 없이 넋 놓고 있어보자. 그럼 몇 분 후에 생각날 때가 있다.

네모바지 스폰지밥의 한 에피소드 중에는 조금 상황이 다르지만 자신의 이름표가 어디 갔는지 찾기 위해서 일어났을 때부터 출근한 다음까지 했던 갖은 허튼짓을 다시 따라 하는 에피소드도 있다.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그런데 애초에 바지를 거꾸로 입은 것이었다. 마음의 소리에서는 조석이 잃어버린 것을 찾기 위해 역학조사를 하는데 손을 씻고 → 옷을 갈아입고 → 오락하고 → 재밌고(...)가 되는 바람에 자신이 역학조사 중이라는 것을 까먹어버린다.

4 기타

자매품으로 ‘그 뭐지’, ‘그 뭐냐’, ‘그거 뭐더라’, ‘뭐였더라’, ‘아 뭐지’, ‘뭐였지’, ‘내가 뭘 검색하려고 했지’, ‘그그그’, ‘뭐 치려고 했지’, ‘까먹었다’, ‘그거 그거’ '음....'등이 있으며, 많기도 하다 더 많이 있을것이다(!)외국인들 역시 예외가 아니라 해외 포털에서는 ‘what was’, ‘that what’, ‘i forgot’, ‘ummmm’ 등이 자주 쓰인다.

네이버 오픈 사전에도 ‘그 뭐냐’라는 항목으로 등재되어 있다. #

별똥별이 가장 많이 들어본 소원이라 카더라. #

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