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덕

이름임종덕
출생1968년 2월 8일
경력현 문화재연구소 천연기념물센터 학예연구관
서울대학교 교수[1]

1 소개

대한민국고생물학자.

지금은 대전광역시에 거주하고 있지만 원래 서울특별시 토박이로 1986년 여의도고등학교를 나와 1997년 미국 캔자스대학원에서 척추고생물학 전공 박사 학위를 땄다. 이때 임박사의 미국시절 은사가 검치호 연구로 유명한 래리 마틴. 때문에 국내 척추고생물학자 중에서는 특이하게도 신생대 포유류 방면 연구에도 많이 참여했다는 듯.

이후 서울대에서 2001년부터 2006년까지 연구 교수로 재직하다 현재에는 천연기념물센터에서 학예연구관으로 있다. 과학동아 등지에 글을 많이 기고했으며 네이버캐스트의 진화에 관한 글을 올린 적이 있다.[2] 대중강연이 굉장히 활발하다.
흔히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고생물학자의 로망과 아주 가까운 인물로, 현장에서 발굴 경력이 많다.[3] 서적 내용도 주로 필드에서의 경험담과 관록이 담겨있는 편.

특히 보존률이 70퍼센트가 넘는 브라키오사우루스[4]의 화석을 미국에서 발굴했고, 이 화석은 현재 계룡산 자연사 박물관 로비에 전시되어 있다.

2 서적

아동 서적이 많지만 아동용 싸구려 서적들과 비교가 되지 않도록 유익하다. 고생물학도 양성에 상당히 관심이 많고, 책을 쓸때 항상 어린이들을 염두해두기 때문. 과거에 아동-청소년을 위한 공룡관련 커뮤니티를 운영한 경력도 있다.

  • 돌로 만든 타임머신, 화석
  • 공룡이 남긴 타임캡슐
  • 사라진 공룡을 찾아서
  • 우리나라 공룡 지도책
  • 얘들아 공룡 발굴 하러 가자
  • 한국의 공룡 화석[5]
  1. 2001년~2006년
  2. 이 글은 나중에 과학동아에도 기재된다.
  3. 주로 미국 위주
  4. 대부분의 용각류들은 화석 보존률이 썩 높지 않다.
  5. 공동 저자로 허민 교수가 있으며, 문화재연구소에서 편찬 및 출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