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화 붕괴/유형

1 개요

작화 붕괴 예시를 모아 두는 항목. 로그인이 필요한 링크는 ☆로 표시되어있다.

1.1 육손

파일:Attachment/2375 4.jpg
예시의 캐릭터는 로젠 메이든스이긴토.

꽤 자주 보이는 작화 실수의 유형. 사실 루즈벨트 대통령 기념 우표에도 나올 정도로 그 역사(?)는 길다.

미국만화에서는 등장인물들이 4손인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작붕이 아니라 그냥 만화적 표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꽤 오래 전 부터 내려오는 전통으로 애니메이터들이 조금이나마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하는 위한 일종의 배려라고 한다. 그러므로 4손 작품에서는 5손이 작붕이다. 예를 들면 이 항목이나 이 항목의 이미지가 있으며, 4손 작품인 심슨에서는 가끔 등장하는 "신"의 손가락이 일부러 5개로 나온다. 또한 "신"이 등장할 때 외에도 대사 중에 "손가락이 5개라고? 기분나빠" 라는 등의 손가락 갯수 개그를 하기도 한다. 예외적으로 이 항목은 5손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만화인 두치와 뿌꾸마두치도 4손이었다. 이 만화는 4손과 5손이 공존하는 세계관이다. 작화 문단 참조.

이러한 실수가 나오는 이유는 엄지 손가락(엄지손가락은 다른 손가락이랑 달리 분리된 특징이 있다)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의 분리개념이 희박한데 [1] 합이 4개라는 이미지는 관념적으로 고착되어 있기때문이다. 그 때문에 그림에서 실수로 6손이 나오는 경우는 거의 대부분 집게 손가락을 펴고 나머지 3손가락은 구부린 경우다. 의식하지 않고 그려버리면 편 손가락을 생각하지 못하고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구부린 손가락을 4개로 그려버리는 것.

어린이 프로그램인 "밥 더 빌더(Bob the Builder, 뚝딱뚝딱 밥아저씨)"에 등장하는 인간 캐릭터들은 서양 애니메이션이므로 손가락이 넷인데, 일본 어린이들에게 보여주자 "손가락이 넷이다! 야쿠자다!"라며 깔깔거렸다고 한다.

드래곤볼 원작만화에서 피콜로 대마왕(마쥬니어 말고 밥통에 갇혀있던 오리지널)이 작가의 실수로 손가락이 다섯개로 그려졌던 적이 딱 한번 있다. 원래는 네손가락.

미국만화는 아니지만 파타리로도 4손이긴 하지만 사실 5번째 손가락을 어딘가 숨기고 다닌다고 한다.

물론, 작붕으로 4손이 되는 경우도 있다.

대륙에는 10손까지 있다. 보기[2] 그림에서 1을 따라할 수 있을까

1.1.1 예시

단 작화붕괴가 아닌 진짜 손가락이 여섯개인 캐릭터인 경우에는 다지증 항목에 추가하길 바란다.

1.2 얼굴 왜곡형

1.3 비율 오류형

1.3.1 크기비율 오류형

1.3.2 인체비율 오류형

1.4 과다생략형

1.5 복붙형

1.6 관통형

1.7 동화 단절형

각 프레임마다 뚝뚝 끊긴다.

1.8 과학적 오류형

위의 사례와는 성격이 많이 다르다. 단순히 작화가 흐트러지는 게 아니기 때문에 찾기 어려울 수도 있다. 어디가 이상한지 알고 싶다면 링크 옆을 드래그할 것.

  • # 오른다리가 왼다리로 변신!
  • # 왼 쪽이 수정 전. 장면이 바뀌는 순간 교복이 바뀐다.
  • # 공중 전화 본 적 없는 사람이 그린 것일까? *, 0, #버튼
  • # 무릎이 꺾였다(...). 어째 또 중2코이
  1. 실제 예로 영어에서는 'finger'이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뜻한다. 그래서 "How many fingers do you have?"라고 물었을 때 "I have ten fingers."라고 답하면 졸지에 육손이 되어 버리는 셈이다(...). 엄지(thumb)가 나머지(fingers)와 분리되어 인식되는 좋은 사례이다.
  2. 6부터 10까지는 한 손을 전부 펼쳐 5를 만들고 다른 한 손에는 나머지 숫자만큼 손가락을 펼친 모습을 그려야 정상인데 손 하나 더 그리는 게 귀찮았는지 그냥 한 손에 다 그려 버렸다. 그냥 앞의 5개에서 복붙하면 간단할 걸
  3. DVD에서 수정되었다.
  4. BD/DVD에서 앞의 씬만 수정.
  5. 손가락이 아니라 손바닥이 접히는 부분이다.
  6. 오른손의 손가락이 6개로 그려진 공식 일러스트가 있다. 그런데 다른 일러스트를 보면 제대로 5개다. 모순
  7. 근데 자세히보면 1번이 그냥 손바닥처럼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