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정(도서의 형태)

1 개요

책의 여러 표장(表裝) 중 어느 하나를 정하여 제책하는 것. 동양 고유의 동장(東裝)과 서양에서 도입된 양장(洋裝)을 총칭한다. 그 중 동장은 본래 중국에서 고안된 것으로 책장을 풀로 이어 붙여 두루말거나, 접어 개거나, 각 장의 뒷면 한쪽을 서로 붙이거나 또는 접어 중첩한 일단(一端)을 편철한 다음 그 겉을 보호하기 위하여 특정한 형태로 꾸미는 것을 일컫는다.[1]
쉽게 말하면 책 디자인.

2 동양의 장정

2.1 권자장

파일:권자장.jpg

간책은 죽간이라고도 한다, 여러개의 대나무 조각을 끈으로 엮어 두루마링 형태로 말아 두었는데. 부피가 크고 무거워 이용과 보관등이 불편하였다. 중국의 고젼인 '육경'을 비롯해서 당시 구중한 문헌들이 모두 죽간에 쓰여졌다. 간책에는 지금의 종이책에서 볼 수 있는 표제지와 면차의 형식이 갖추어져 있어 책의 기원이 바로 여기서 비롯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간책은 중국의 은나라때 처음 등장하여 종이책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이전까지 대략 2쳔년 동안 주 기록 매체가 되었다.
죽간이 사용되던 후기에 비단과 종이가 새로운 기록매체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종이책 시대에 들어가서도 기원전 5세기에 시작된 두루말이 방식의 장정 형태는 송나라 초기까지 그대로 유지되었다. 기록매체의 변화에 따라 그 형식이 조금 바뀌었지만 근본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권축장은 도서재료의 변화로 비단과 종이가 사용된 이후의 도서 형태로 한정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비단과 종이로 만든 권자장은 기록매체의 맨 끝에 가늘고 둥근 축을 붙여 그 축에두루 마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를 보관할 때에는 찾아보기 편리하도록 축의 아래쪽 끝에 서명과 권차를 적어 넣은 꼬리표를 매달아 놓았다. 이러한 장정형식은 중국에서는 북송 초기 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중기까지 보편적으로 사용 되었다.

2.2 선풍엽

파일:선풍엽1.png
파일:선풍엽2.jpg

권자장은 글을 읽을 때 한쪽은 풀고 한쪽은 감으면서 읽어야 하고, 본문의 중간이나 끝의 몇 행만 참고할 경우에도 모두 풀었다 감았다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엇다.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이 선풍엽이다.

본래 선풍이란 말은 빠르다라는 의미를 지닌 용어로 ,이는 선풍장이 권자장에 비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필요한 부분을 찾아 읽을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선풍장은 독서할 때 권자를 펴고 안에 붙어있는 엽자를 한장씩 넘겨 가면서 볼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책을 만들 때 양면에 필사할 수 있었다. 이는 비록 권자본의 모태를 벗어나지 못했지만 , 권자본보다 현저하게 발전된 장정 형식이다 현존하는 실물로는 중국의 고궁 박물원에 소장되어 있는 천류보결절운이 있다.

2.3 절첩장

절첩장은 일정한 크기의 종이를 연이어 붙여 적당한 크기로 접은 다음, 앞 뒷면에 두터운 장지를 붙여 만든 장정 형태를 말한다. 이는 권자장이 단점을 보안한 것으로 책을 읽을 때 간편하게 한 장씩 넘겨 가며 볼 수 있고, 또한 어느 부분을 참고할 경우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다 읽고 덮어 두면 바로 원상태가 되어 권자본이나 선풍엽보다 관리하기 편리해졌다. 그러나 여러차례 계속 펼치게 되면 접힌 부분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2.4 호접장

호접장은 인쇄 또는 필사한 낱장을 본문이 마주 보도록 가운데를 접어 판심 부분의 뒷면에 풀을 발라 하나의 표지를 반으로 꺾어 접은 안쪽에 붙여 만든 장정 형식을 말한다. 본래 호접장은 절첩장 형식의 단점인 접힌 부분의 결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안된 형식이다. 호접장본은 낱장을 반으로 접어 판심의 뒤쪽에 풀을 칠하여 표지에 붙이게 되므로, 책장을 펼쳤을 때 필사 또는 인쇄면의 모양이 마치 나비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러한 도서형태는 중국 오대 말부터 북송 초기에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며,우리나라에서는 경주 기림사에 발견된 고려본 능엄경이 가장 오래된 것이다.

2.5 포배장

포배장은 호접장과 반대로 먼저 인쇄또는 필사한 면의 글자가 밖으로 나오도록 판심의 중앙을 접어 가지런히 한책의 분량으로 모아 두터운 장지로 책등을 둘러싸 제책한 형태를 말한다. 이 과정에서 필사 또는 인쇄면의 끝부분 양끝에 송곳으로 각가 두 개씩 구멍을 뚫어 종이를 꼬아 만든 끈을 끼워 넣고 양쪽 끝을 여유분을 남기고 끊어 낸 다음 그 끝에 풀칠하여 나무 방망이로 밀착시킨다. 그리고 몸통 꿰맨 다음 접힌 부분을 제외한 세면을 재단한 다음, 한자의 두터운 표지를 풀로 붙여 덮어 싼다. 이러한 도서형태는 중국의 원나라에서 비롯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에 간행된 불경에서 주로 나타난다.

2.6 선장

선장은 포배장이 표지가 쉽게 떨어져 버리는 취약점을 보완하여 풀로 붙이는 대신에 실로 표지를 꿰매어 묶는 방식을 사용한 것이다. 포배장에는 여러 차례 이용하는 사이에 자연히 표지가 떨어져 나가는 큰 폐단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고자 고안한 방법이 바로 최근까지 사용된 선장이다.

선장은 문자 면의 글자가 밖으로 나오도록 판심부의 중앙을 접어 한권 분량으로 가지런히 모아서 재단하고, 서배 부분의 양끝에 종이끈으로 심지를 박은 다음 양끝을 잘라 내고, 나무망치로 그 부분을 두드려 평평하게 하고, 앞뒤로 표지를 놓고 송곳으로 구멍을 뚫어 실로 꿰매는 방식이다.
  1.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장정 [裝訂]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한국사전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