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령군


황해남도의 시, 군
해주시
강령군과일군룡연군배천군
벽성군봉천군삼천군송화군
신원군신천군안악군연안군
옹진군은률군은천군장연군
재령군청단군태탄군연백군

주의. 이곳은 여행금지 국가·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대한민국 여권법에 의한 여행금지 또는 기타 법률에 의해 출입이 금지된 지역입니다.
해외 여행 시 반드시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에서 해당 국가 또는 지역에 대해 정보를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載寧郡 / Jaeryŏng County

재령군
載寧郡 / Jaeryŏng County
국가대한민국
광복 당시 면적739㎢
광역시도황해도 [1]
광복 당시 행정구역1읍 10면
시간대UTC+9 [2]

1 개요

재령군(載寧郡)은 북한 황해남도 동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황해북도 은파군, 봉산군, 사리원시, 서쪽으로 신천군, 남쪽으로 신원군, 북쪽으로 안악군과 접해 있는 군이다.

2 역사

고구려의 삼경 중 하나인 '한성(漢城)'으로 유력한 곳이다. 서울특별시?[3]이 때는 무려 평양, 국내성과 견줄 만한 도시였던 것. 현재에 비유하자면 최소한 현재의 광역시이었던 곳이다. 이 때문인지 과거 ‘한성(漢城)’ 또는 ‘한홀(漢忽)’로 불리던 기록이 있고, 고구려의 도시 유적지가 나온 바 있다.#
실제로 안승검모잠은 이 곳을 근거지로 삼아 고구려부흥운동을 펼친다.

재령(載寧)이라는 이름은 고려 시대인 1217년에 붙었는데 살기 좋은 고장이라는 뜻이다. 장수산성이 있다 하여 성(城)의 옛말인 재로부터 유래하여 재령이 되었다는 설도 있다.

광복 이후 국토가 분단되면서 북한 땅이 되었다. 1952년에 북한이 행정구역 개편을 하면서 군의 남부 지역(신원면, 하성면, 상성면, 은룡면 일부)을 분리하여 신원군을 신설하면서 면적이 축소되었다.

3 교통

도로는 51번 국도54번 국도(대한민국 기준)가 지나간다.

철도는 은률선이 지나가며 금산역, 재령역이 있다.

4 지리

동쪽으로 재령강이 흐르며 은파군, 봉산군, 사리원시와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군의 대부분은 재령평야 지대이다.[4]

지명 중 '김제원리'(金齊元里)라는 곳이 있는데 원래 '대홍리'였던 것을 1961년에 이름을 바꾼 것이다. 이 지역 출신인 '김제원'이라는 농민이 북한의 토지개혁을 통해 토지를 분배받게 되었다는 것에 감격하여 수확한 쌀 30가마니를 북한 공산주의 정권에 바쳤다는 하지만 얼마후 집단농장 몰수 크리 이른바 애국미헌납운동을 기념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김정숙군이나 김형직군, 김형권군급의 병맛은 아니지만 대한민국 주도의 통일이 되면 당연히 갈아치워야 할 명칭 되겠다.

5 이북5도위원회 기준 행정구역

황해도의 하위행정구역 (이북5도위원회)
해주시사리원시송림시
벽성군연백군금천군평산군신계군
장연군송화군은율군안악군신천군
재령군황주군봉산군서흥군수안군
곡산군옹진군


광복 당시 1읍 10면

  • 재령읍
  • 삼강면
  • 서호면
  • 남률면
  • 북률면
  • 청천면
  • 은룡면
  • 장수면
  • 신원면
  • 상성면
  • 하성면

6 기타

전국노래자랑송해 선생이 여기 출신이며 공부는 해주에서 했다고 한다.
  1. 북한 기준으로는 황해남도
  2. 북한 기준으로는 UTC+8:30
  3. 아닌게 아니라 두번째로 유력한 학설이 현재의 서울이라는 학설이다.
  4. 재령평야는 선사시대에는 대부분이 만(灣)이었고 조선 초만 해도 습지였다. 재령평야에서는 해발 20m 넘는 곳이 드물고 만조시에는 해발 -3m가 되는 곳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