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좌수영

조선 수군 수영
독립수영삼도수군통제영 휘하 수영
경기수영황해수영충청수영경상좌수영경상우수영전라좌수영전라우수영

조선 시대 수영 중에서 전라도의 동쪽에 존재하던 수영이다. [1]

전라좌수영성은 영이 설치된 직후 전라좌수사 박양신에 의해 성종 16년(1485)부터 수축되기 시작하여 성종 21년(1491)에는 완성되었다. 『호좌수영지』ㆍ『성종실록』에는 성곽의 둘레 3,634척(약 1,133.44m), 동서 1,200척, 남북 908척으로 동서가 약간 긴 형상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 성내의 샘도 6곳과 7곳으로 기록되어 있어 별 차이가 없다. 그리고 1847년의 기록인 『호좌수영지』에는 체성 주위가 3,158척, 여첩 437좌, 총혈 1302, 곡성 6처에 포루와 화포기 각각 6좌, 성내 민가 2024호, 천정 성내 7곳 성외 2곳, 연못 1처로 기록되어 있다. 이로 미루어 좌수영성은 조선 후기까지도 중요한 수군영으로서 존속했음을 알 수 있다. 현대에는 객사 건물인 진남관과 일부 성터만 남아 있다.

임진왜란에서 활약한 장수인 이순신이 이곳 전라좌수영의 지휘관 전라좌수사였으며, 임진왜란~정유재란 사이의 정전기간 동안 삼도수군통제사를 겸하게 되었다. 이후 이순신이 일시 파직되면서 원균(...)이 후임 삼도수군통제사 겸 전라좌수사로 임명되었다가, 그가 칠천량 해전에서 대패하자(...) 이순신이 다시 삼도수군통제사 겸 전라좌수사로 임명된 바가 있다. 이 때 패전으로 전라좌수영 본영의 시설들은 파괴되었고 임진왜란 이후에 복구되었다.

임진왜란이 끝난 뒤 잠시 삼도수군통제영을 겸하기도 했다. 이는 1601년 경상우수사 이시언이 삼도수군통제사를 겸직하고 경상우수영을 통제영과 겸하면서 바뀐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5관(순천도호부, 흥양현, 광양현, 낙안군, 보성군)과 5포(사도-첨사진, 여도-만호진, 녹도-만호진, 방답-첨사진, 발포-만호진)를 관할한다.

전라좌수영 본영과 방답진은 순천도호부에 있었다. 현대에는 각각 여수시의 구시가지(중앙동, 충무동 등)와 돌산도에 해당한다.

사도,여도,녹도,발포는 흥양현에 있었다. 만호진이 못되는 규모로는 순천도호부에 권관이 지휘하는 돌산포영과 좌수영 군사를 나누어 지키는 여수석보가 있었고 흥양현에 권관이 지휘하는 율현보가 있었다.
  1. 이름이 좌(左)수영인 것은 한양에서 남해 쪽을 바라보았을 때 전라도의 왼쪽이기 때문이다.쉽게 말해 지도를 거꾸로 해 놓고 지정 경상도의 서쪽에 해당하는 경상우수영과는 바로 인접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