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난민

서울에서는 전세집 구하기도 어렵고 경기도가 전세가가 싸다고 해서 경기도에 가서 살려고요.
전세가도 비싸서 요즘은 싼 전세집 찾기도 어렵군요.
서울의 주택현황을 보면 현재는 전세는 포화된지 오래라 더 이상 싼 전세집을 구하기가 어렵다.
-공인중개사

全稅難民

전세집을 제대로 구하지 못하고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여 전세집을 찾아다니는 이들을 일컫는 말.

1 개요

2010년대 들어서 서울특별시의 전세가가 폭등하게 되면서 예전과는 달리 가격이 싼 전세가를 구하기 어려워지자 전세를 선호하는 이들이 서울을 떠나 경기도나 인천 등으로 이주하는 현상의 이들을 말한다. 서울의 전세가는 날로 폭등하게 되면서 사실상 전세로 살기 어렵게되자 서울을 떠나 경기도나 인천 등 주변지역으로 이주하게 되고 그 결과 서울특별시 인구는 1947년 특별시 승격 이래 최대 인구저하를 불러오는 현상을 가져온다. 반면에 경기도는 도 신설 600년만에 인구가 서울을 앞지르고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 장점을 가지면서 희비를 엇갈리게 만들었다.

자가 형태로 사는 입장이 아닌 입장에서는 남의 집에 세금을 내면서 살아가는 주택현상이 있는데 경우에 따라 월세, 전세 등으로 나뉜다. 그 중에서 전세는 세금 전액을 집주인 등에게 납세하고 살아가는 방식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주택거주자들이 선호하였던 방식이었다.

2 왜 생겼는가?

2010년대 들어서 서울의 아파트 전세가는 갈수록 상승하고 있으며 그 결과 서울을 떠나려는 이주민들이 증가하게 되고 이들은 대부분 경기도나 인천 등으로 이주하는데 특히 경기도로의 이주가 증가하는 편으로 알려졌다. 그 중에서 경기도 수원시, 안양시, 군포시, 부천시, 의정부시, 구리시, 하남시, 남양주시, 김포시, 고양시(일산신도시), 성남시(분당신도시), 파주시 등으로의 이주가 증가하는 편으로 서울로 회사를 출퇴근하는 입장에서는 그 지역에서 사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었다.

3 갈수록 폭등하는 전세가

서울의 전세가는 1천만원대로 치솟아 올랐을 정도로 서민들의 자금으로 전세가를 지불하기에는 너무도 부족한 금액이며 열심히 일을 해서 번다고해도 부족한 면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부급이 아닌 이상은 전세가를 감당하기도 힘든 상황. 게다가 전세가 있으면 그나마 다행이다. 전세가 없을 수도 있다.

정부에서는 전세가를 잡아내겠다고 공언은 하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의 전세가는 갈수록 치솟아 올랐으며 이에 따른 서민들의 부담은 가중될 수 밖에 없다.

하는 수 없이 이런 서민들은 전세가가 싸고 구하기 쉬운 경기도로 눈을 돌리고있으며 이를 계기로 경기도 부동산이 들썩이는 현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아파트 건설사들도 경기도로 눈을 돌리며 빈 터와 재개발 등을 통해서 신규 아파트를 수주하거나 신축하려고 눈독을 들이는 편이다. 경기도 일부에서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곳도 있어서 새로운 개발터전으로 자리잡고 있으나 파주, 김포, 연천 등 휴전선 최북단 지역은 군사보호구역이 많고 북한과의 지리적 접경 때문에 이쪽에서는 개발이 사실상 어려운 편이다. 김포시도 한강신도시를 통해서 개발은 되었으나 황해도와 마주하고 있는 최북단 한강 하류 민통선 지역(월곶면, 하성면)은 당분간 군사보호구역에 개발금지구역으로 묶인 상태라 아파트 개발도 어렵다. 파주시 최북단 임진강 지역도 마찬가지인지라 이 지역에서는 이런 혜택을 누릴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3.1 폭등원인인 서울시내 주택 재건축

결국 이 같은 원인이 알려졌는데 바로 서울시내 주택 재건축이 원인으로 알려졌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지어졌던 노후 주택들이 대거 철거되거나 철거를 앞두고 있고 아파트도 30년 이상이 된 곳이 재건축에 들어가고 있는 편이라 이같은 재건축이 전세가의 폭등을 불러왔다는 것이 공인중개사들의 말이었다.

4 서울 인구 붕괴화

이렇게 전세난민들이 서울을 이탈하게 되면서 천만 인구를 보유하던 서울특별시 인구도 그로 인해서 크게 줄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특별시의 인구는 천만을 보유하였던 편이었지만 전세난민들의 이주로 인해서 천만시대가 붕괴화되었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앞으로도 계속될 현상으로 보인다.

5 경기도 인구 증가화

반대로 경기도의 인구는 증가하고 있는 편으로 경기도 남부지역인 성남, 하남, 광주, 안양, 과천, 부천, 수원, 화성 등에서는 전입자 신고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경기도 북부지역인 고양, 의정부, 구리, 남양주 등에서도 전입자 신고가 증가하면서 경기도 인구가 도 전체기준으로 1200만명의 인구를 보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맞춰 건설사들도 이들의 성향에 맞춰 남양주, 수원, 화성 등에 있는 일부 미개발과 재개발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 건설을 목표로 세우고 있으며 부동산 시장도 이를 따라잡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는 별개로 가평, 양평 등 농촌지역도 인구가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일부 귀농귀촌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쪽의 경우 전세라기보다는 전원생활을 목적으로 가는 것이기 때문에 전세난과는 관련이 없다. 경기도라도 가평, 양평 등은 농촌 지역에 속하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