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고속

20px전라북도시외버스 업체
전북고속호남고속대한고속전주고속안전여객
선진네트웍스 계열 전라북도 소속 버스 회사
전북고속전주고속
파일:Attachment/전주고속/1.jpg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기업

전주고속 차량 사진겸 도색 변천사[1]
width=100%width=100%width=100%
현대 유니버스 엘레강스 신도색현대 유니버스 컴포트슈퍼 에어로시티[2]

1 개요

전라북도를 연고로 하는 시외버스 회사이다.

2 역사

  • 1970년 설립된 한진여객자동차를 모태로 하여 이후 전주여객, 전주직행 등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1992년 전주고속으로 이름을 바꾸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사명을 전주고속으로 바꾼 이유는 만경강 버스사고 문단 참조.
  • 2014년 12월에 모회사 전북고속과 함께 선진네트웍스에 들어갔다.

2.1 만경강 버스사고

현재의 전북고속과 대등한 규모였던 이 회사가 이렇게 주저앉은 이유는 1992년 4월 18일에 발생한 만경강 버스 추락사고 때문이다. 호남고속도로 상을 운행하던 대전-정주[3] 노선의 차량이 빗길에 미끄러져 다리 난간을 받고 만경강으로 추락해 버렸다. 빗길에 과속을 하다가 대참사가 난 것. 당시 버스가 보험에 들어 있지 않은 차량으로 자사 돈으로 모든 피해를 처리하다 보니 회사가 도산하는 지경에 이른 것인데 참고로 현재의 사명은 이 참사 직후 회사의 이미지 개선 차원에서 변경한 사명이다. [4]

이 때 회사의 주요 노선들을 매각해서 사고를 수습하려 했다. 이 회사가 보유했던 노선들을 쭉 나열해보면 전주-수원, 군산-인천, 서울-고창, 서울-부안 등의 노선으로 현재 호남고속으로 넘어가 있는 노선이다.[5] 그 외에 서울-진안, 서울-순창, 대전-정읍, 전주-목포 등 전북권 상당 노선이 이 회사 노선이었다. 주요 노선을 다 팔고도 사고가 수습이 되지 않자 아예 회사 통째로 전북고속에 넘어가 버렸다.

전주-남원간 직행버스를 주력으로나 내세울 수 있었던 호남고속은 이 시기에 전북고속과 공동으로 이 회사를 위탁 운영하였다. 현재 호남고속의 노선 중 당시 전주고속 노선 차량들은 호남고속 도색으로 운행되었다가, 호남고속은 전주직행의 주요 노선을 인수하고 운영에서 손을 떼게 되었다. 지금도 전북고속보다 규모는 아주 작지만 알짜 노선들을 다유 보수하게 되어 전북고속에 범접할 위치에 설 수 있게 되었다. 이 회사가 남긴 영향력은 업계 판도에 영향을 끼쳤다.

전북고속이 이 회사를 인수했을 때는 호남고속은 주요 노선만 들고 운영에서 손을 떼어 버려, 이 회사의 남은 비수익 노선과 차량, 직원 그리고 부채만 잔뜩 떠앉게 되어버렸다. 그 당시만 해도 전북고속이 압도적으로 큰 회사였던지라 수습이 가능할 줄 알았건만 IMF가 오면서 전북고속도 함께 큰 부채를 지게 되었다. 이 시기 전북고속은 줄창 에어로 스페이스 LD 같은 단거리에나 투입할 차량을 장거리에 투입하는 흑역사 시기를 보냈다.

3 특징

  • 현재 전북고속의 자회사이다 보니 차 도색이 전북고속과 똑같으며 전라북도내에서 가장 바쁜 노선인 전주-익산-군산 노선을 비롯해 주로 전북내 단거리 노선을 맡고 있다. 장거리 노선은 단 한 개 있는데 군산 ↔ 익산 ↔ 김해 ↔ 양산 노선 2회 뿐이다. 이 노선도 전북고속과 경남고속대한여객의 전주 ↔ 서부산을 견제하고자 전주 ↔ 김해 ↔ 동부산 노선을 신설했다가 무용지물이 되면서 군산 ↔ 익산 ↔ 동부산 노선과 통합 후 현재의 형태로 운행하면서 전주고속에 양도된 것이다. 유일한 장거리 노선 임에도 존재감이 없는 노선이다.
  • 지금은 버스 동호인들에게조차 공기같은 존재인 회사[6]라 그런지 자료조차 찾기 어려운 회사다. 하지만 이 회사의 역사가 전북지역 타 직행회사의 성장과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주"직행" 시절에는 고속도로를 질주하는 다양한 장거리 노선을 가진 회사였으나, 전주"고속"인 지금은 몇 단거리 직행 노선만 보유한 회사이다. 이름이랑 위상이 완전히 뒤바뀐 회사

4 노선

주로 전주 출발 단거리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4.1 전주 출발 노선

전주 ↔ 군산 (직통과 익산 경유로 나뉘며, 전북고속안전여객 공동배차)
전주 ↔ 익산 (전북고속과 안전여객 공동배차)
전주 ↔ 군산대 (전북고속과 공동배차)
전주 ↔ 비응항 (전북고속과 공동배차)
전주 ↔ 군산공항 (전북고속과 공동배차)
전주 ↔ 격포 (김제, 부안, 변산 경유, 전북고속과 안전여객 공동배차)
전주 ↔ 곰소 (직통과 김제 경유로 나뉘며, 내소사는 1회만 운행)
전주 ↔ 금산 (봉동, 고산, 운주, 대둔산, 진산 경유, 안전여객과 공동배차)
전주 ↔ 함열 (삼례, 금마 경유, 안전여객과 공동배차)
전주 ↔ 여산 (삼례, 금마 경유, 안전여객, 금남고속과 공동배차)
전주 ↔ 논산 (삼례, 금마, 여산, 연무대 경유, 금남고속, 호남고속과 공동배차)
전주 ↔ 부안 (직통과 김제 경유로 나뉘며, 전북고속, 안전여객과 공동배차)

4.2 군산 출발 노선

군산 ↔ 정읍 (대야, 익산 경유, 대한고속과 공동배차)
군산 ↔ 익산 (대야 경유, 전북고속, 안전여객과 공동배차)
군산 ↔ 익산역 (대야 경유, 전북고속, 안전여객과 공동배차)
군산 ↔ 양산 (익산, 전주, 김해 경유, 금호고속과 공동배차)[7][8]

4.3 정읍 출발 노선

정읍 ↔ 내소사 (줄포, 곰소 경유)
정읍 ↔ 곰소 (줄포 경유)

5 차량

차종의 대부분은 뉴 슈퍼 에어로 시티현대 유니버스 컴포트, 엘레강스 차량이며 현재 대우 FX120 차량 1대를 제외하면 모두 이 차량이다.

5.1 현재 보유 차량

2009년 5월에 출고한 1대 밖에 없는 차량이며 우등형(!) 차량이다. 한 때 군산-양산등 장거리 노선을 운행하다가 현재는 단거리 노선에서도 종종 보이는 편이다.
2015년 5월부터 전북고속과 같이 신도색으로 출고하기 시작한 차량이며 앞으로 하위 차량처럼 많이 보이는 차량이 될 것이다. 현재도 많이 보이는 편.
2013~2014년에 많이 출고한 버스이며 지금은 꽤 많이 출고되어서 아래 뉴 슈퍼 에어로시티처럼 흔하게 볼 수 있다. 현재는 엘레강스를 출고하는 편.
한 때 있었던 슈퍼 에어로시티를 대차하면서 대부분 출고한 차량이며 대부분의 노선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차량이다.[9] 하지만 2011~2012년에 많이 출고한 이후에는 유니버스로 출고하는 추세이다.

5.2 과거 보유 차량

2014~2015년에 유니버스 차량으로 대차되었다.
한 때 슈퍼 에어로시티와 함께 흔한 차량이었지만 2013년 초에 모두 전멸되었다.
최후기형까지 출고한 버스이며 현재의 뉴 슈퍼 에어로시티의 위상을 이은 차량이었으나 2016년 1월 기준으로 모두 전멸되었다.
  1. 취소선이 쳐저있지만 정말로 도색 변천사를 볼 수 있다. 왼쪽으로 갈 수록 최근 도색.
  2. 현재는 대차되었다.
  3. 참고로 정주는 정읍의 옛 이름, 정읍의 시내 지역을 뜻함. 해당 노선은 사고 이후 대한고속에 넘어갔다가 폐지되었다.
  4. 이 사건의 경우 신문에는 대전-정읍 노선으로 나와 있는데 전주-수원 노선이 사고 난 것으로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다
  5. 서울-부안, 서울-고창선은 금남고속에서 운행하다가 2003년 말에 호남고속으로 매각.
  6. 단, 전북 3대 도시인 에 거주하는 버스동호인이라면 그나마 존재감이 있는 회사가 된다.
  7. 전주고속의 유일한 장거리 노선이며 한 때에는 우등차량도 들어갔던 노선이었으나 현재는 엘레강스 신차로 대체 중이다.
  8. 언제 금호고속 직행부로 넘어간건지 아는 위키러는 추가바람
  9. 단, 당연히도 장거리 노선인 군산-양산에서는 운행을 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