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렬

整列 / sorting

1 개요

뭔가가 주어졌을 때 이것을 정해진 순서대로 가지런하게 나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지런히 함"으로 순화할 것을 권고하고 있지만 사실 "정렬"이란 표현 자체가 학술쪽에서 오래 사용된 단어이고, 글자 수가 훨씬 적기 때문에당연히 잘 안고쳐진다.

나열하는 순서에 따라서 오름차순, 내림차순으로 구분한다. 사람들이 자주 헷갈려하는데 오름차순은 1 -> 2 -> 3 -> 4 -> …… 와 같이 뒤로 갈수록 숫자가 커지는 경우이고 내림차순은 그 반대이다. 정렬한 결과물을 선그래프로 그렸을 때 값이 작은 것을 앞으로 정렬하면 그래프의 선이 올라가므로(↗) 오름차순이고 값이 큰 것을 앞으로 정렬하면 그래프의 선이 내려가므로(↘) 내림차순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어휘의 순서를 기반으로 가나다, ABC 순으로 나열하는 경우에는 오름차순이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내림차순에 해당한다.

나무위키의 경우에도 항목을 작성하고 그에 관련된 하위 항목들을 기재할 때, 대한민국행정구역 정렬[1] 등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보통 가나다순, ABC순 정렬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니깐 하위 항목 작성할 때 순서가 잘 갖추어져 있으면, 그냥 밑에다 쓰지 말고 정렬된 순서에 맞게 써주는 것이 좋다.

각 문자·언어별 정렬 순서는 정렬/순서 문서를 참고할 것.

2 정렬 알고리즘

문서 참고
  1. 이쪽은 안전행정부행정구역코드를 우선적으로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