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부여객

화성시 시내버스 회사
경진여객제부여객화성운수화성여객
직행좌석버스
일반좌석버스[1]
width=100%
일반시내버스

1 개요

제부여객(주)
주소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해양공단로 99 (舊 장외리 101-36)
대표이사조인행
설립일자1996년 3월 13일
업종시내버스
보유대수56대

화성시 면허로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버스 회사로, 용남고속의 계열사이다.

2 역사

삼성여객 부도 후 직원들이 다시 모여 창립한 회사로, 노선 역시 그쪽에서 운행하던 노선들을 기반으로 한다.

초기 사명은 화성여객.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제부도 가는 Bus'(...)라는 사명으로 다니고 용남고속에 인수된 후 제부여객으로 변경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상당히 자금사정이 좋지 않은 회사였다. 때문에 차량을 중고로 사들여 다니는 안습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래서 버스동호회 회원들이 이 회사 별명을 죄부여객이라 부른 적도 있었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중고버스를 사도 무조건 대우버스 차량만 구매했다(예외로 선진상운 출신 글로벌900 디젤 한 대가 있다). 대우버스가 특히 FX 이전의 차량의 경우에는 구형모델과도 부품호환이 잘 이루어진 것이 요인이었다고 추측된다. 신차를 구입할 때에도 대우버스를 고집했다. 그러다 2008년 12월용남고속에 인수되며 상황이 나아졌다. 인수된 이후 노후된 차량을 교체하고 용남고속에서 차량을 양도받아 운행하고 있다. 용남고속이 인수한 후로는 신차는 현대자동차 차량. 그렇지만 용남고속에서 쓰던 차량과 트레이드되는 경우가 많다. 제부여객에서 쓰던 차량과 용남고속에서 쓰던 차량을 맞트레이드해서 대차한 적도 있었고, 제부여객 22 시리즈에 로얄미디가 다녔다가 카운티로 격하되더니 다시 로얄미디로 차돌리기를 한다든지, 1000번에 로얄시티 F/L이 다녔다가 카운티로 격하, 그러다가 로얄시티 구형으로 다니더니 로얄미디로 굴러다니고 있다.

삼성여객 부도 이후 일부 노선은 수원여객이 인수해 남양여객을 만들어서 운영하고 남은 직원들이 화성여객을 설립하고 이후 제부도로 가는 버스로 사명을 변경하여 다니고 있었기에 남양여객과는 사이가 상당히 안좋은데, 실제로 두 회사 운전사간 물리적 다툼이 있었다. 그래서 수원시청에서 제부여객 노선은 수원역 북측정류장에 정차하도록 조정한다. 수원역에서 화성으로 가는 대다수의 노선이(와우리 제외) 남측정류장에 정차하기 때문에 수원역에서 승객을 많이 태우지 못했던 적도 있었으나 현재는 나아진 상태이다.

노선 면허와 도색이 맞지 않기로 유명했다. 용남고속이 인수하기 전에는 이렇게 다녔다.

  • 일반좌석버스 340번, 1000번(현재는 시내일반버스), 1004번 : 직행좌석 도색(빨강)
  • 일반좌석버스 330번 : 시내일반버스 도색(초록) + 일반좌석버스 도색(파랑) + 서울 간선버스 도색(파랑) + 몬드리안 도색(서울 고급좌석 버전) = 잡종 (그래도 안양시보영운수삼영운수보단 낫다)

이 모든 이유는 도색을 제대로 할 돈도 없어서. 그렇지만 용남고속에 인수된 뒤 1004번 도색을 파란색으로 바꾸기 시작하는 등 점차 도색을 제대로 맞추기 시작했다.

330이 좌석버스 1003(제부도 - 금정역), 시내일반버스 30(남양 - 금정역), 30-1(화성시청 - 금정역)으로 분할 될 때에는 직원들이 직접 차량도색을 했다고 전해진다. 인력의 한계를 느꼈는지 모든 버스를 도색하지는 못했는데, 기껏 노선 분리해놨더니 민원 크리 맞고 3일만에 도로 330번으로 돌려놨다. 나름 제부여객의 야심작이었는데 말이다.

돈이 없어서 생긴 일화는 정말 많다. 좌석 버스에 좌석 시트가 없어 민원이 들어오니 폐차된 버스에서 좌석 시트를 가져와서 장착하는 등 눈물 없이는 보기 힘든 안습한 이야기가 많다. 용남고속이 인수하지 않았으면 어떻게 됐을지...

3 특징

성북05번처럼 마을버스 도색을 한 스타렉스 차량이 있었다. 제부여객 차고지에서 서신면 송교리까지 랜덤한 시간대에 운행했으며, 한때(2016년 1월 20일 이 전까지) 현금박치기로만 이용 가능하였으나, 2016년 1월 21일 부로 교통카드 단말기가 설치되어 교통카드 이용가능하면서 환승할인 혜택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현재는 제부마을버스로 이관되었다. 그 노선의 정체는 5-1번, 5-2번.

참고로 화성 현대기아연구소 통근버스를 운행하는 여산관광 화성지점 지분을 가지고 있다.

경기도내 시내버스 업체 중 차내 서비스 최상회사로 선정되었다. 참고로 꼴찌는 협진여객.

1001번, 340번 등 배차가 매우 뜸한 일부 노선들은 주말, 휴일에는 운행을 하지 않거나 매봉여객에 넘겨버리기 때문에 이용할 때 주의를 해야 한다.

4 면허 체계

  • 경기 7611##호 ~ 12##호 전반부[2]

5 운행노선

  • 15 (동탄 - 입북동) - 2015년 12월 8일부로 계열사인 용남고속에서 이관.
종점이 제부도 입구에 있다고해서 제부도 안으로 들어가는 것은 아니다. 원래는 제부도로 들어가는 마을버스인 5번도 운행했으나, 2011년경에 마을버스 업체인 매봉여객으로 넘겨버렸다. 이쪽은 과거 용남고속에 인수되기전 중고차도입시에도 현대차량이 들어온 특이케이스였다. 이때 가져온 차가 경기버스 출신의 글로벌900 디젤차이다. 이차는 2002년식이었다. 따라서 현재는 대차되어 볼 수 없다.

5.1 과거 운행 노선

  • 22-1 (현대기아연구소 - 수원역) - 모기업인 용남고속으로 넘어간 후 46-1과 통합되었고, 22번으로 바뀌었다.
  • 22-2 (야목리 - 수원역) - 마을버스로 전환되어 매봉여객으로 넘어갔다.
  • 22-4 (남양성지 - 수라청) - 마을버스로 전환되어 매봉여객으로 넘어갔다.
  • 1560-2 (동탄 - 강남역) - 동탄~고매동~강남역행 노선으로 GBIS에서 인가만 신설된 노선.
  • 5200 (동탄2신도시 - 강남역) - 직행좌석버스
  • 5번 및 5번 계열 스타렉스 마을버스 - 매봉여객으로 넘어갔다.
  1. 이 차량은 대차됐다.
  2. 1100호부터 1200호까지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