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앙동물원


북한의 시설물
체육시설
김일성경기장 · 류경정주영체육관 · 릉라도5월1일경기장 · 마식령 스키장 · 빙상관 · 서산축구경기장 · 양각도축구경기장 · 태권도전당 · 평양보링관 · 평양체육관 · 미림 승마구락부
식사 · 숙박시설
옥류관 · 류경 호텔 · 고려호텔 · 양각도국제호텔 · 평양호텔
유희시설
문수 물놀이장 · 조선중앙동물원 · 만경대 유희장
의료시설
평양산원
정치시설
만수대 의사당
군사시설
상원동 미사일 기지 · 판문점
도로시설
고속도로#s-5.2 · 대동강의 교량 · 압록강철교
철도시설
북한의 철도 환경 · 철도 노선 정보/북한 · 평양 지하철 · 평양전차
항구시설
서해갑문 · 남포항 · 원산항 · 청진항 · 해주항 · 흥남항 · 라선항
공항시설
평양순안국제공항 · 원산국제공항 · 청진공항
기념물
평양 개선문 · 주체사상탑 · 금수산태양궁전 ·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 당창건기념탑 · 북관대첩비 · 영생탑 · 천리마동상 · 해방탑 ·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유적지
정일봉 · 단군릉 · 보통문 · 대동문 · 동명왕릉 · 총석정 · 백상루 · 박연폭포 · 광법사 · 만월대 · 안학궁 · 대성산성 · 평양성 · 함흥본궁 · 선죽교 · 현릉 · 현정릉
세계유산
개성역사유적지구 · 평양·남포 고구려 고분군
수용소
정치범수용소
산업체
대동강텔레비전수상기공장 · 아동식료품공장 · 순천구두공장 · 승리자동차연합기업소 · 김종태전기기관차연합기업소 · 흥남비료연합기업소 · 2.8비날론련합기업소 · 김책수산사업소 · 운곡목장
교육시설
김일성종합대학 · 김책공업종합대학 · 인민대학습당 · 평양과학기술대학 · 고려성균관 · 김책수산사업소유치원 · 자강도 강계시 동문유치원 · 천리마련합제강기업소유치원 · 평양정오1유치원 · 평양관광대학 · 미림 군사대학
박물관
과학기술전당 · 3대혁명전시관 · 당창건기념관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 조선민속박물관 · 조선중앙력사박물관 · 조선혁명박물관 · 조선인민군 무장장비관
종교시설
장충성당 · 정백사원 · 봉수교회 · 정릉사 · 금강사


h0KHs_umUcdDphImhZvD5SFUzaW8cxCPmAMng3NBZGsjsNK6rJGQ1C71u3Dh_T-ippNBgLOZJA=w1024-h470-no?.JPEG
새로 착공된 동물원의 입구

Korea Central Zoo
일명: 평양동물원
북한평양직할시에 있는 동물원

관련 기록영화

1 개요

1959년 4월 평양동물원으로 설립되었다. 소재지는 평양 대성산이다.

북한에서는 이 동물원을 ‘동물학 지식을 보급하며 나라의 동물자원을 보호 증식시키기 위한 연구사업과 인민들의 휴식을 보장하는 과학문화교양기지’로 평가하고 있다. 평양에 위치한 본원 외에 함흥에 분원을 두고 있다.

북한 최대의 동물원으로 약 2,700,000㎡의 면적에 동물들을 놓아기르는 동물보호구 형식의 자연동물원과 약 120여 종의 관상어를 기르는 1,200m³의 수족관, 코끼리사, 맹수사, 맹금사, 명금사, 수금사 등 관상용 동물사가 있다.

김씨 일가 우상화의 일환으로, 외국에서 선물로 기증한 동물들을 별도로 사육하는 선물동물관이 있다. 꼭 외국 정부수반이나 주요 인사가 아니더라도, 재외동포 중 북한에 우호적인 이들이 기증하는 동물도 있는 듯하다.

이외에도 동물물놀이장, 물새 및 물고기사육연못, 편의봉사시설과 오락시설들, 동물재주장 등의 시설이 있다.

2 연혁

1959년에 호치민이 코끼리를 선물하면서 설립되었다.

2004년 서울대공원이 보유한 '청계'라는 수컷 황호와 암컷 백호 '베라', 2마리의 시베리아호랑이[1] 기증되었다. 이후 2006년 8월, 베라가 북한 측이 보유한 수컷 백호와의 사이에서 3마리의 새끼를 낳은것으로 2007년에 전해졌다.

2005년에는 서울대공원으로부터 하마, 붉은캥거루, 라마 등을 받고 시라소니반달가슴곰을 제공했다.

2009년에는 중국으로부터 야크낙타를 수입했다.

2010년에는 짐바브웨에서 코끼리, 코뿔소, 기린, 얼룩말 등을 1쌍씩 수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외에 새와 원숭이, 물고기 등도 수입한 듯. 이 시점에 600여 종, 6천여 마리의 동물을 보유했다고.

2012년에 남포와 평양을 잇는 바닷물 수송관이 완성되면서 김정은 제1부위원장이 이곳을 방문하여 시설을 둘러보기도 하였으며, 40여 종, 100여 마리의 희귀한 동물들을 보내주었다고 한다.

2015년 9월, 새로 설치하던 북한제 환기 및 냉방시설이 고장을 일으켜 4시간 동안 가동을 멈추면서 펭귄 십여 마리, 북극 여우 등 극지동물 수십 마리가 질식사(?)했다고 한다. ‘당 창건 70돌’을 맞아 동물재주에 출연할 예정이던 물개와 바다표범[2], 돌고래[3] 십여 마리는 가혹한 훈련을 견디다 못해 폐사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김정은은 화를 내면서 북극곰과 판다 같은 희귀동물을 어서 확보하라고 명령했다고 한다.

3 특이사항

  • 2016년 8월 30일자 뉴스보도에 따르면 애완견을 비롯한 개를 대량으로 전시하고 있다고 한다. 해외에서는 개 따위를 보러 동물원에 가다니 하고 놀라워하고 있다고.
  • '담배 피우는 침팬지'로 알려있는데, 이름은 진달래이다. 19살짜리 암컷 침팬지로 하루에 한 갑가량 담배를 피운다고 한다. 하지만 동물보호단체로부터 비난을 받고 있으며, 북한의 동물에 대한 인식만 나타내는 꼴이 되었다.#

4 관련 항목

  1. 다만 벵골호랑이에서만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된 백호인 베라는 순혈 시베리아호랑이아닐 가능성이 높다.
  2. 북한에서는 '넝에'라고 한다고.
  3. 북한에서는 '곱등어'라고 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