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한글화

1 정의

아랄트랜스의 Customscript 기능을 통해, 게임의 원문 텍스트를 번역기로 번역한 텍스트가 아닌 사용자가 직접 번역한 한국어화 텍스트로 치환하여 출력하게끔 하는 과정 혹은 그 결과물.

2 상세

자료실 (회원가입 필요)

준한글화라는 개념이 나온 계기는, 아랄트랜스의 출현에 있다. 기존의 후킹 프로그램들은 번역할 텍스트를 출력하는 별도의 창을 가지고 있는 것에 비해, 아랄트랜스는 프로그램의 출력 대상인 원문 텍스트를 먼저 가져와서 번역된 텍스트를 해당 프로그램에 직접 출력시키기 때문에 아래 사진과 같이 마치 프로그램 자체가 한글화된 느낌을 받는다.

600px
문과: 뭐요?모델은 멋진 나날들~불연속존재~의 등장인물 타치바나 키미카.

이것을 바탕으로, 출력 대상의 텍스트를 변경할 수 있는 아랄트랜스의 Customscirpt 기능을 이용해, 게임 내 출력 텍스트만을 사용자가 직접 번역하여 한국어화하는 준한글화 개념이 생겼다.
쉽게말해 위의 사진 내의 게임 속 텍스트 전부를 사용자 임의로 고칠 수 있는 기능 덕분에 준한글화가 나왔다는 얘기. 당연하게도 텍스트만을 출력하기 때문에 이미지로 된 파일은 바꾸지 못한다. 다만 텍스트로 된 것은 어느정도는 임의로 조작이 가능해서, 명령어만 안다면 글자 크기, 속도 등의 임의 조정도 가능하다.

시스템, 그래픽, 텍스트 등을 폭넓게 로컬라이징을 하는 한글화에 비해, 준한글화는 아랄트랜스의 적용이 가능하고 텍스트 번역을 할 수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가능하기에 시도하는 사람은 꽤 되는 편. 혹은, 번역을 할 줄 모르더라도 번역본만 있어도 괜찮다.[1]

다만 출력 대상 텍스트만 변경하는 특성상, 게임에서 등장할 수 있는 모든 텍스트가 다 번역되어 있다기보다 중요 엔딩까지의 텍스트만 번역된 경우가 대다수이며, H신의 경우에도 의성어만 있다는 이유 혹은 번역자의 탈력(…)으로 인해 H신 부분만 작업을 제외하는 경우도 자주 있다.

3 준한글화 게임 목록

※일부만 완료했을 경우 등재를 자제해 주십시오.
※다만 제작자의 캐릭터 선호도 등의 이유로 일부러 100% 완료하지 않았을 경우는 예외로 합니다.

  1. 이와 같이 직접 번역을 하지 않고 번역본만 가지고 준한글화를 한 사람이 daisy, 자본주의자 등이 있다.
  2. 어째서인지 자료가 삭제되었다.
  3. 세 작품 다 현재는 준한글화가 아니라 제대로 된 한글 패치가 나왔다.
  4. EX 준한글화라고는 하지만 EX판에서 공략캐로 추가된 히로인만 EX시나리오고 기존 히로인은 전연령판 베이스. AT코드만 전연령판 코드로 입력하면 전연령판 버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5. 이 루트가 특별히 어렵거나 하는게 아니라 그냥 캐릭터가 싫어서 안한다고 한다.
  6. 군 휴가 때 시간을 쪼개서 만들었다고 한다.
  7. 귀미연에서 나온 번역본을 토대로 만들어졌다.하지만 워낙 인지도가 낮은 작품이라 별로 널리 퍼지지도 않았고, 역자도 번역본 제작 후 바로 국방부 퀘스트에 끌려간지라(...) 준한글화가 되었다는 것조차 모르는 사람이 많다. 당장 이 위키에서도 제작된지 5년이나 지난 2014년까지 목록에도 올라와 있지 않았다(...).
  8. 또 군 휴가 때 시간을 쪼개서 만들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