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수식

進水式
launching ceremony

1 개요

를 만들고 에 띄우는 행사를 말한다. 배의 선체를 조립하고 엔진, 발전기, 스크루, 레이더, 함포, 미사일[1] 등 장비를 탑재하고 에 물을 채워 배를 띄운다. 이때 이름을 붙이고 선체번호도 부여되기 때문에 진수식은 명명식(命名式, christening ceremony)을 겸하기도 하고 명명식은 따로 하기도 한다.

고대 바이킹들은 배를 진수할 때 처녀를 제물로 바쳤다. 타히티에서는 피를 뿌렸다고 하니 전 세계적으로 배와 관련하여 비슷한 문화가 전승되었다. 이런 야만적인 행사였다가 서유럽에서는 18세기부터 사제를 불러 포도주로 이를 대체했다. 이것이 현대의 뱃머리에 포도주나 샴페인 등의 술병을 깨뜨리는 의식으로 바뀐다. 그리고 도끼로 진수선을 절단하는데 상선의 경우엔 선주의 딸이나 아내가, 군함은 진수식에 참여한 VIP(남성)의 부인이나 VIP(여성) 본인이 하게 된다. 미 해군 같은 경우에는 전사자나 이름있는 군인의 이름을 명명한 군함이 진수될때 명명되는 사람의 어머니나 딸 아내가 샴페인병을 터트린다.
진수식때 샴페인을 깨트리는 남자가 병을 던지거나 던진병이 안깨지는 경우가 종종있는데 이 경우 그 배의 함생이 별로 좋지 않을것이라는 징크스가 존재한다.
현대에는 드라이독처럼 지상에서 배를 건조하는 경우가 많아서 진수식 때 직접 배를 띄우지 않는 경우도 많다.[2] 이 때는 말만 진수식이고 그냥 '완성 행사'에 가깝다.

또한 물에 띄운 뒤에도 상당기간을 장비의 장착 및 테스트를 위해 조선소의 안벽에 계류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샴페인 병을 깨는 행사를 진수식 때가 아니라 명명식이나 취역식때 하는 경우도 있다.

문화권에 따라 샴페인이 아닌 물건을 사용하거나 추가적인 퍼포먼스를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인도의 경우 샴페인을 깨트린 후 코코넛을 깨고 선원들이 민속요를 부르는 퍼포먼스를 추가적으로 한다.
해군의 경우 진수식을 한다고 바로 배가 투입되는 것은 아니다. 테스트 항해를 한 다음에 통과하면 취역식을 거쳐 정식으로 취역하게 된다.



독에 물을 채우지 않고 그냥 바다로 자빠뜨리는 방법도 있긴 하다... 함측면 진수식이라고 한다. 마지막에 나오는 배는 NOAA 파견부대의 군함이다. 항공모함 같은 배는 이런 식으로 진수 못 한다... 너무 커서.

파일:FByw1py.gif
물론 근처에서 잘못 얼쩡거렸다간 요단강 익스프레스 탈 수도 있으니 주의(...)

2 각국의 진수식

2.1 대한민국

2.2 미국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의 진수식(2014년). 보면 알겠지만 미국도 높으신 분들의 항연이다. 해군 군종관과 함장부터 해당 프로그램 책임자, 해군핵추진프로그램 국장인 존 리처드슨 제독, 해군참모총장 조너선 그리너트[3], 해군청 획득차장, 버지니아 주지사하원의원, 전임 국방장관부통령도널드 럼즈펠드딕 체니 등이 참여했다.

2.3 영국

2.4 일본


휴우가급 이즈모의 진수식.


위와 같은 이즈모의 진수식. 보면 알겠지만 진수선을 자르는 사람이 당시의 방위대신 에토 아키노리(江渡聡徳)와 부총리인 아소 다로이다. 여성이 진수선을 자르는 것과는 좀 다른 일본의 풍경. 그들 옆에 서 있는 해군제독 두 명은 키 큰 쪽이 다케이 도모히사 해상막료장, 작은 쪽이 가와노 가쓰토시 통합막료장이다.
  1. 일반 상선의 경우 뒤의 부분은 해당 사항이 없다.
  2. 드라이독에 물을 주수해서 진수하는 경우 규모에 따라서 배 한척을 진수시키기 위해 한나절 내지는 하루 꼬박 드라이독에 물을 파부어야 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물 다찰때 까지 기다릴 수는 없으니 샴페인 병만 깨트리거나 아니면 깨트린 후 도크의 주수펌프를 가동하여 도크에 물이 쏟아져 들어가는 모습만 보는걸로 행사를 끝내고 실제 진수는 한참 나중에 건조공정의 '일부'로 진행되기도 한다.
  3. 정작 이 두 제독은 잠수함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