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터널


昌原tunnel

1 개요

헬게이트.

한계 통행량이 일 5만대인데 하루 8만 6천대가 다니니 헬게이트가 안 되고 버티나 안민터널과 더불어 창원지역 교통방송 단골 손님 이 한 마디로 모든 설명이 끝난다.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불모산동과 김해시 대청동을 잇는 길이 2,345m의 왕복 4차선 터널. 1020번 지방도의 일부로, 1994년 개통 당시에는 국내 최장의 자동차도로 터널이었다. 개통과 동시에 경남 최초의 유료 도로로 운영하여 2005년까지 소형차기준 1,000원, 2010년까지 소형차기준 500원의 통행료를 징수하였다. 2011년 1월 1일을 기해 완전 무료화되었다. 요금소는 창원시 성산구 불모산동에 위치해 있었으며, 지금은 철거되어 흔적만 남아있다. 흔적이지만 지나가다가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규모이다.

창원 쪽으로는 창원대로와 직결되며, 장유 쪽으로는 장유IC을 통해 남해고속도로 제2지선과 연결되어 부산광역시, 김해국제공항과 연결된다. 이 터널의 개통으로 인해 장유 신도시가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하여, 2013년 당시 장유는 인구 13만으로 분동 전까지는 전체 읍면가운데 인구수 1위가 되어 있었다.

장유의 경제 인구 대다수가 창원시에 직장을 갖고 있고, 창원과 장유를 잇는 길이 창원터널 밖에 없으며[1], 거기에 장유IC를 통한 부산과 창원 간 왕래 수요까지 몰려 출퇴근 시간대에 크고 아름다운 정체를 유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2] 이 때문에 창원터널의 바로 밑에 불모산터널 개설 공사가 진행되어 2012년 2월 29일 임시개통했다.

이 길을 매일 지나다니는 출퇴근자와 통학생은 현자라는 소리도 있다. 현자는 무슨 익숙해 지는거지 부전-마산 복선전철이 뚫린다면 그나마 나아지겠지만 아직 공사중이다..

창원터널 개통전 1020번 지방도는 불모산을 타넘는 구불구불한 고갯길이었는데, 창원터널의 개통과 함께 구 도로를 폐쇄해 버리고 대체도로 없이 유료도로/자동차전용도로로 만들어버려 논란이 된 바 있다.[3] 이에 대해 경남도 건설항만본부 측은 "1994년 창원터널을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할 당시 1042번 지방도를 대체도로로 지정하여 문제 없다"고 했지만, 1042번 지방도를 이용하면 동읍-진영-진례를 거쳐 매우 돌아가야 한다. 이뭐...[4]

2011년 1월부터 완전히 무료화되었지만 자동차전용도로 해제는 되지 않았다. 자동차전용도로 지정문제에 대한 말도 많은데 이 두가지 문제에 대해선 아래 사진과 동영상을 보면 알 수 있다.

혹시나 자전거로 창원터널 지나 가려는 위키러가 있다면, 생각 접어라. 자동차도 브레이크 파열되어서 사고가 잦은데, 자전거는 하물며 괜찮을까? 지금 작성하는 위키러가 직접 앞브레이크가 날아가는 일을 겪었다

2 버스노선

시내버스 가운데서는 창원 버스 170, 김해 버스 58, 59, 97, 98이 창원터널을 이용하며, 창원종합버스터미널에서 부산/김해/울산/경주/포항 방면 노선들그러니까 남산 경유하는 차들은 모두 창원터널을 이용한다.

3 문제점 관련 사진과 동영상

파일:/image/047/2009/09/22/1253599563.804410 IE001103138 STD.jpg
진보신당의 창원터널 무료화 촉구 시위 사진



창원터널과 우회도로 소요시간 확인 동영상(승용차를 운전하는 사람이 창원터널을 지난 다음 대체도로를 운전해 소요시간이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본 것)



오토바이 권익 단체인 이륜문화개선운동본부에서 오토바이를 이용해 창원터널을 주행한 것이 담긴 동영상(한국의 도로교통법 내용상 위법이지만 모든 배기량의 오토바이의 자동차전용도로 통행을 금지하는 법규의 실체 내용도 들어보자)

4 기타 사건사고

얼마 전에는 2011년 4월 27일 재ㆍ보선 투표율을 낮추기 위해 창원터널에서 고의로 공사를 진행한 이른바 "창원터널 디도스" 의혹이 터졌다.

5 날씨

눈이 오면 터널이 마비된다. 양 쪽 접속도로가 경사진 도로인 관계로 길이 얼어붙으면 차들이 올라갈 수 없다. 실제로도 폭설이 왔을때 차들이 가지를 못하고 남해고속도로로 우회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1. 불모산 터널이 생기면서 창원을 잇는 길이 하나 더 생겼다.
  2. 해도 안 뜬 새벽 6시쯤부터 차들이 모여들기 시작하여 6시 30분쯤 되면 막히기 일보 직전으로 길에 차가 꽉 찬다. 이 상태로 해가뜨면....이하 생략
  3. 막상 가보면 울퉁불퉁한 비포장에다 길도 좁아 자전거나 오토바이 질질 끌고가기도 벅차다. 이미 등산로로 전락한지 오래... 덕분에 터널을 통과하는 오토바이도 종종 보인다. 안민터널처럼 자전거도로 만들어주십쇼 굽신굽신
  4. 목적지에 따라 다르지만. 김해왠만한 지역을 간다고하면 간단히 말하자면 2~3배의 시간이 걸린다. 더구나 진영을 지나면서 부터 국도는 김해시에서 얼마나 정비를 안하는지 도로는 상태가 매우 안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