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은 신학의 시녀다

philosophia ancilla theologiae

중세 시대의 신학자이자 도미니코회 수도자인 성 토마스 아퀴나스명언이라 알려져 있는데, 최초로 이 말을 한 사람은 베네딕토회 수도자이자 교회개혁가인 성 페트루스 다미아니이다.

1 본문

널리 알려져있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설명을 첨부한다.

거룩한 가르침은 철학적 학문들에서 어떤 것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어떤 필연성에서 철학적 학문들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거룩한 가르침이 전달하는 것들을 더 명백하게 드러내기 위해서다. 사실 거룩한 가르침은 자기 원리들을 다른 학문들에서 받는 것이 아니라 직접 하느님으로부터 계시로 받는다. 그러므로 거룩한 가르침은 다른 학문들을 (자기보다) 더 위의 것으로 하여 그것들에서 (자기 원리들을) 받는 것이 아니라 다른 학문들을 더 아래 것으로, 또 하녀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그것은 마치 건축학이 그것 밑에서 종사하는 학문들을 사용하는 것과 같고 또 정치학이 군사학을 사용하는 것과 같다. 이렇게 다른 학문들을 사용하는 것도 그 자체의 결함과 부족성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우리 지성의 결함 때문이다. 즉 우리 지성은, 자연적 지성에 의해 인식되는 것들을 이용하여, 이성을 넘는 것들에게로 더 쉽게 인도된다. 즉 그런 다른학문들은 자연적 이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거룩한 가르침 안에 주어지는, 이성을 넘어가는 것들에게로 더 쉽게 인도된다.

신학대전 제1권 제1문제 5절 中

2 의미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교과서 서양철학사상 파트에 당당하게 중세에는 모든 것이 신학 중심으로 되었기 때문에, 철학은 신학보다 하등하다는 의미라고 해설하고 있고, '그래서 중세는 암흑기'라는 뉘앙스를 풍겨준다.

그러나 이 말은 매우 단편적인 발언이며, 피상적인 이해는 중세의 철학과 신학에 대하여 양쪽 모두 오해를 부를 수 있다. 페트루스 다미아니는 당시 봇물 터지듯 밀려오던 철학의 물결이 신학의 영역을 무자비하게 침범할 것을 우려하여 이 말을 썼으며,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학을 뒷받침하는 학문으로서의 철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이 말을 응용했다.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그리스도교 신학을 적절히 융합시켜 스콜라 철학의 기틀을 공고히 했던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를 염두하고 신학은 철학[1]을 받아들이지 않고서는 나아갈 수 없다는 의도에서 말한 것이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시녀라는 용어인데, 시녀는 당시 전혀 천한 직종이 아니며, 절대 없어서는 안되는 존재들이었다. 일반적으로 왕실의 시녀는 귀족 자제들이, 귀족 집안의 시녀는 기사계급이 맡았다. 이들은 밥하고 빨래하고 청소하는 하인이 아니라 왕후를 가까이서 보필하는 이들이었다. 즉 그런 의미에서 보자면, 이 시녀라는 표현은 차라리 오늘날의 비서실장 등으로 취환해서 받아들이는게 더 정확한 이해를 도울 것이다.
물론 토마스 아퀴나스의 설명에서 보듯이, 철학이 신학보다 더 하위의 학문이라고 한 것은 사실이고, 고등학교 윤리교과서의 의미는 문장 그 자체로는 잘못된 것이 아니다. 그러나 중세인들이 철학을 하찮게 생각했다고 이해하는 것은 금물이다. 토마스의 설명에서 보듯, 신학과 철학의 관계는 어디까지나 정치학이 군사학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그런 관계이다. 군사학이 정치학의 시녀라고 해서, 중세인들이 군사학을 하찮게 생각한 것은 아니듯이, 중세인들이 철학을 홀대한 것은 결코 아니다. 그런식의 오해는 스스로가 네임드 철학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 학문의 가장 큰 옹호자였던 토마스에 대한 모독이다.

나중에 칸트가 '영구 평화론'에서 살짝 바꾸어서 사용하기도 하였다. 칸트는 여기에서 사람들은 철학이 신학과 의학, 법학[2]의 하인인 것은 알지만 그 하인이 횃불을 들고 그 앞길을 달리고 있음을 보지 못한다고 말하면서 철학이 더 높은 위치에 있음을 강조한다.

참고로 20세기 이후 가톨릭 신학에서, 가장 인기있는 젊고 파릇파릇한 메이드(?)는 하이데거 사상이다. 그와중에 신학자인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은 무려 니체 사상을 메이드로 부려먹는 패기를 보인 바가 있다(...) 이거 고용이 아니라 납치 아닌가?

  1. 이 당시의 주된 철학은 당연히 이븐 루슈드가 전파한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이다.
  2. 그 시대는 철학은 교양학부에서 다루고 저 세 학문이 상위학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