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유럽 축구 연맹(UEFA) 회원국
50px
50px
50px
50px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50px
50px
50px
50px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루마니아
50px
50px
50px
50px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마케도니아
50px
50px
50px
50px
몬테네그로
몰도바
몰타
벨기에
50px
50px
50px
50px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북아일랜드
50px
50px
30px
50px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위스
스웨덴
50px
50px
50px
50px
스코틀랜드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50px
50px
50px
50px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50px
50px
50px
50px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50px
50px
50px
50px
우크라이나
웨일스
이스라엘
이탈리아
50px
50px
50px
50px
잉글랜드
조지아
지브롤터
체코
50px
50px
50px
50px
카자흐스탄
코소보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50px
50px
50px
50px
터키
페로 제도
포르투갈
폴란드
50px
50px
50px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Қазақстан Ұлттық футбол құрама командасы
정식명칭Қазақстан Ұлттық футбол құрама командасы[1]
Сборная Казахстана по футболу[2]
FIFA 코드KAZ
협회카자흐스탄 축구 연맹 (KFF)
연맹유럽 축구 연맹 (UEFA)
감독유리 크라스노잔 (Yuri Krasnozhan)
주장카이라트 누르다울레토프 (Kairat Nurdauletov)
최다출전자루슬란 발티에프 (Ruslan Baltiev) 73경기
최다득점자루슬란 발티에프 (Ruslan Baltiev) 13골
홈 구장아스타나 아레나 (Astana Arena)
첫 국제경기 출전VS 투르크메니스탄 (1:3 패), 카자흐스탄 알마티 (1992년 6월 1일)
최다 점수차 승리VS 파키스탄 (7:0 승), 파키스탄 라호르 (1997년 6월 11일)
최다 점수차 패배VS 터키 (0:6 패), 카자흐스탄 알마티 (2005년 6월 8일)
VS 러시아 (0:6 패), 러시아 모스크바 (2008년 5월 23일)
현 FIFA 랭킹90위
현 Elo 랭킹106위
유니폼어웨이
상의파랑노랑
하의파랑노랑
양말파랑노랑

카자흐스탄축구 국가대표팀을 다루는 항목.

의 머리 대신 의 꼬리가 되기를 선택한 팀 사실 닭에 있었어도 머리는 무리고 몸통 쯤 된다 탈아입구

1 개요

감독은 유리 크라스노잔이다. 1990년 대회까지 소비에트 연방으로 참가하였다.
소련 시절 성적으로 보려면 여기

본디 AFC 소속이었으나 2002년부터 UEFA 소속이 되었다. 일본은 아니지만 축구판 한정으로 탈아입구한 케이스 그 이유는 과거 구 소련 영향력하에 있었던 정치적인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고 하기도 한다. AFC(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이던 1998 월드컵 최종예선에서 한국, 일본을 상대로 무승부를 기록하기도 했고, 중동 국가들을 상대로도 전적은 엇비슷하거나 조금 처지는 편이었다. AFC 소속인 우즈베키스탄과 비슷하거나 약간 밀리는 수준이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물론 그 정도로 월드컵에 나가는건 불가능했지만. 2002년 월드컵예선까지 치르고 유럽축구연맹으로 옮겨갔다. 그런데 똑같이 구 소련 소속이었던 우즈베키스탄 등 다른 나라들이 아시아 축구 연맹에 남아있는 걸 보면 소련, 러시아의 정치적 영향때문에 유럽으로 옮긴 게 아닐 가능성이 있다. 사실 카자흐스탄 서부 우랄 강 이서 지역은 지리적으로 동유럽의 일부이기 때문에 카자흐스탄은 터키, 러시아처럼 영토 일부가 아시아 대륙과 유럽 대륙에 걸쳐있는 나라라고 할 수 있다. 이미 이스라엘, 아제르바이잔처럼 아시아 국가들이 UEFA로 옮겼거나 처음부터 UEFA에 들어간 전례는 차고 넘치기 때문에 실제로 유럽에 영토까지 가지고 있는 카자흐스탄이 유럽으로 옮기는 건 그렇게 이상한 일만은 아니다. 예시로 유라시아 국가인 터키는 UEFA에 처음부터 가입했다 (뭐 터키야 유라시아라지만 역사적으로도 유럽인이고 터키인들 스스로도 유럽인이라고 생각한다 유럽과 아시아는 대륙적으로 같을뿐더러 터키가 아시아라고??? 지리적으로는 그렇지만 이스탄불은 과거 동로마의 수도 였고 오스만 제국의 수도였으니 터키는 역사적으로 유럽이라고 할수있다 지리적으로만 표현하자면 아시아이지만 유럽도 포함되니말이다)

첫 유럽무대 도전인 2006 월드컵 예선에서는 1무 11패라는 처절한 성적으로 꼴지를 기록했다. 그런데 유로컵 첫 도전인 2008 예선에서 놀랍게도 세르비아를 상대로 2:1로 이겼으나 결국 6위(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을 제침)로 예선탈락했다. 그나마 세르비아는 카자흐스탄전 패배 여파로 2위 포르투갈에게 승점 3점이 밀려 3위로 탈락했으니 제대로 고춧가루를 터뜨려준 셈이다.

2010 월드컵도 조 5위(2승 8패)를 거두며 탈락했는데 그나마 6위 꼴지인 최약체 안도라에게 2승을 거두긴 했다. 2012 유로컵에선 터키독일, 벨기에 같은 나라들을 만났고 결국 초반부 5경기 연패에 0득점 14실점을 기록하며 꼴지로 밀려나있다. 그냥 아제르바이잔과 서로 꼴지 탈출이나 겨뤄야할 듯 싶었으나 벨기에에게 1대4로 발리며 결국 1승 8패로 꼴찌를 확정했다 둥둥둥 북을 울려라 우습게도 4년전 유로컵 예선에도 아제르바이잔이 카자흐스탄을 제치고 꼴지를 탈출했는데 2012 대회에서도 또 되풀이되었다.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는 그나마 페로 제도라는 유럽 최약체를 만나서 꼴지 탈출 희망이 생겼다(...) 다른 상대는 독일, 오스트리아,아일랜드, 스웨덴. 그나마 안방에서 오스트리아를 상대로 무득점으로 비겼지만 초반부터 1무 5패로 역시 페로 제도과 같이 일찌감치 예선 탈락했다. 그나마 페로 제도를 제치고 1승 2무 7패로 5위를 기록하며 꼴지는 면했다. 아시아에 남은 옆동네 우즈베키스탄이 아시아 예선에서 꽤 잘나가며 본선진출 근처까지 와 있는걸 생각하면 꽤나 안습이다.하지만 얘네도 탈락했다 역시 탈락 DNA는 통한다?

유로 2016에선 터키,네덜란드,체코,라트비아,아이슬란드와 같은 조를 이루게 되었다.네덜란드가 가장 앞서고 나머지 조 2위 예상 가능성이 있는 걸 생각하면 카자흐스탄은 이 조에서 동네북이 될 가능성이 압도적이다. 결국 5경기에서 1무 4패를 거두며 역시나 꼴지를 도맡고 있다.

유럽에선 현재 산마리노 축구 국가대표팀안도라 축구 국가대표팀, 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같은 유럽 최약체보단 한 수위이지만 결국은 하위 시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 역대전적

2.1 FIFA 월드컵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
1994 미국 월드컵불참
1998 프랑스 월드컵예선 탈락
2002 한일 월드컵예선 탈락
2006 독일 월드컵예선 탈락
2010 남아공 월드컵예선 탈락
2014 브라질 월드컵예선 탈락
2018 러시아 월드컵????????
2022 카타르 월드컵????????
합계본선진출 없음0/20[3]

2.2 유로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
오스트리아/스위스 2008예선 탈락
폴란드/우크라이나 2012예선 탈락
프랑스 2016예선 탈락
유로 2020????????
합계본선진출 없음0/15

2.3 AFC 아시안컵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
아랍에미리트 1996예선 탈락
레바논 2000예선 탈락
합계본선진출 없음0/2
  1. 카자흐어
  2. 러시아어
  3. 월드컵 본선 출전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