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파

개요

인도 신화에 등장하는 시간 단위

브라마 신의 하루를 칼파(Kalpa)라고 부르며, 겁(劫)이라는 말로도 불린다.

1칼파는 14 마누(Manu)이며, 1마누는 71차투류기(Chaturugi), 1차투류기는 4마하유가(Yuga)로 나뉜다.
1칼파가 1,000 마하유가로 이루어졌다고 알려져있다.[1]
하지만 다른 곳에서는 1칼파가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합쳐서 2,000 마하유가라고도 한다. 이때는 8,640,000,000년

1 마하유가는 432만년으로 10,000신년(神年)으로 1신년은 태양력으로 360년[2]에 해당한다.
1 마하유가는 다시 크리타 유가, 트레타 유가, 드와파라 유가, 칼리 유가로 나누어지며[3] 각 시기 전후에 1유가의 1/10에 해당하는 박명(薄明)의 기간이 붙어 있다.

  • 크리타(Krita) 유가[4] : 일명 황금시대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은 도덕적이며 악의, 비애, 자애, 허위 등을 가지지 않으며, 세상이 평화롭다. 기간은 4,000신년(神年)
  • 트레타(Treta) 유가: 정의가 약해진다. 법과 의무가 생기고, 제물을 바치는 제사인 희생제 필요해진다. 기간은 3,000신년(神年)
  • 드와파라(Dwapara) 유가: 정의가 쇠퇴하고 선과 악의 불균형이 커진다. 사람들이 질병,욕망,재액으로 인하여 괴로움을 당한다. 기간은 2,000신년(神年)
  • 칼리(Kali) 유가: 암흑시대또는 말세(末世)라 불린다. 반목, 불화, 전쟁등이 일어나며, 정의가 아니라 재산이 지위를 가져다주며, 사람들이 분열되고, 진실을 아는자가 없어진다. 기간은 1,000신년(神年)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기간으로 현재는 제4기 칼리유가가 기원전 3,102년에 시작되어 약 5천년쯤 지난 시점이라고 한다.
하나의 칼파가 끝나면 브라흐마의 수명도 끝난다고 하고, 다른 곳에서는 하나의 칼파 혹은 하나의 유가가 끝나면 시바에 의해 세상이 파괴되고, 비슈누에 의해 세상을 다시 창조한다고 한다.
이 시간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이야기도 있다. 사방과 높이가 각각 10리(혹은 100리)인 거대한 바위가 있는데 100년(혹은 1000년)에 한번씩 작은 새 한마리가 날아와 바위에 부리를 문지르고 간다. 이때 이 바위가 다 닳아서 없어지는 시간이 1겁이라고 한다.[5]
  1. 14X71X4는 3,976
  2. 일부에서는 마하유가 중 칼리(Kali)유가가 1,000신년이며 43만2천년이며, 1신년(神年)이 432년이라고 한다. 아마 박명(薄明)의 해석 차이로 보인다.
  3. 광물에 비유를 하여 금, 은, 동, 철의 시대로도 부른다.
  4. 일부에서는 사트(Sat)유가로도 나온다.
  5. 또는 100년에 한번씩 선녀가 내려와 옷깃을 훓고 돌아가는데 이때 바위가 다 닳아서 없어지는 시간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