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서비스

물류퀵서비스 택배
분류다마스퀵오토바이퀵 지하철퀵 일반택배
배송비용고액보통저렴매우 저렴
배송시간빠름매우 빠름빠름매우 느림
배송량많음보통매우 적음보통
파손위험보통보통매우 낮음매우 높음
물건크기무관보통작음무관
배송거리보통짧음짧음무관
배송지역무관일부 지역수도권무관
[1] 다마스퀵 : 많거나 무거운 물품을 당일에 배송하고자 할 때 이용.
[2] 오토바이퀵 : 당일 빠르게 배송하기 위해 이용.
[3] 지하철퀵 : 저렴한 가격으로 작은 물품을 당일에 배송하고자 할 때 이용.

1 개요

이륜차경상용차를 이용하여 소화물을 운송하는 업무. 또는 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일반 택배에 비해 가격대가 비싸다. 2014년 현재 기본요금 1만원 정도. 대신 배송속도는 택배에 비해 미칠듯이 빠르다. 최소 1박 2일은 잡아야 하는 택배에 비해 두세시간 정도면 배달이 되기 때문. 괜히 접두어로 '퀵(Quick)'이 붙는 것이 아니다.

전국배달이 되지 않는다. 보통 해당 도시 안에서만 배달되는 경우가 대부분. 이 때문에 원거리로 빠르게 배송할 경우에는 다른 원거리 고속배송서비스와 연계하게 되는데, KTX 특송이나 고속버스 소화물 서비스가 대표적이다. 도시내 이동에는 퀵서비스를 쓰고, 도시간 원거리 이동에는 KTX나 고속버스를 이용하는 것. 이 경우 신청은 원거리 배송을 담당하는 업체에서 받고, 해당 업체에서 필요에 따라 퀵서비스를 이용한다.

퀵서비스와 비슷한 당일배송 택배도 있다. 당일배송 택배는 당일에 배송한다는 점에서 다마스퀵과 혼동될 수 있지만 배송량과 배송비용에서 차이가 크다.

참고로 퀵서비스의 필요성은 어느나라든지 다 있기 때문에 세계 어딜가든 대부분 퀵서비스에 대응되는 배송업체들이 있다.

아마존 닷컴은 특별 프로잭트로 퀵서비스를 이용한 익일/당일 배송을 미국에서[1] 서비스하려 했었으나, 지역 퀵서비스 업체와의 협력 문제와 부딪히면서 더 확장하지 못하고 확실히 계약이 성사된 일부 지역에만 제한적으로 서비스를 이어가고 있다. 그리고 이 퀵서비스 프로젝트가 실패하면서 나온게 바로.... 드론배송.[2]

2 퀵서비스 종류

2.1 오토바이나 경상용차를 이용한 소화물 배송업

오토바이나 경상용차를 이용한 소화물 배송업을 지칭하는 말로, 한국에서만 사용되는 용어. 일본에서는 오토바이를 이용한 소화물 택배업에 한해서 바이크빈(バイク便)이라고 부른다. 한국에서 소화물 배송업을 퀵서비스라고 부르는것은 소화물배송업체인 퀵서비스에서 나온것으로 보인다.[3] 사실이라면 보통명사가 된 고유명사들의 예인 셈이다.

오토바이를 이용한 배송은 오토바이퀵이라고 부르고 경상용차를 이용한 배송은 차의 이름에 따라서 다마스퀵, 라보퀵, 타우너퀵등으로 부른다.

수도권과 달리 사무실간 공유오더 자체가 없기 때문에 자신이 속한 사무실의 일 평균 오더량이 중요하다. 한마디로 사무실 고정 거래처가 적다면 그냥 망했어요 음식점 배달일이 훨씬 나은 정도. . . 사실상 퀵이 아닌 경우가 많다. 사무실간 경쟁이 심하다보니 요금도 몇년째 오르지 않아 현재 요금으로 물건 하나 받고 빠르게 배송해서는 남는게 없어 두개 세개씩 잡고 가다보니 결과적으로 업무처리의 질이 오히려 과거보다 더 떨어졌다. 자사 거래처 많은 사무실 등록하는게 중요하다는 것이 업계의 통설.

2.2 지하철을 이용한 소화물 배송업

주로 노인들이 지하철을 이용하여 고객이 의뢰한 물품을 배송한다.

자세한 내용은 지하철 퀵서비스 참조.

3 KMTV에서 방영했던 음악 프로그램

개국 초창기에 '생방송 퀵서비스'라는 이름으로 방영했었다. TV음악 프로그램인데도 라디오 방송처럼 시청자들의 신청곡을 실시간으로 바로 틀어주는 것이 특징적이었던 프로그램이었다.
  1. 주요 도시 한정이지만...
  2. 아마존 닷컴은 옛날부터 프로젝트 굴리다가 망하면 그냥 자체 수단으로 해결하는 자급자족 회사였다. 뭐 하다가 꼬우면 그냥 내가 만들어서 써야지! 하고는 뚝딱 만들어서 그걸 실제로 쓰는 무서운 회사....
  3. 한국에서 1톤트럭과 승합차를 봉고라고 부르는 것과, 베트남에서 오토바이를 혼다라고 부르는것과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