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피리오 디아스

diaz.jpg

호세 데 라 크루스 포르피리오 디아스 모리(José de la Cruz Porfirio Díaz Mori, 1830년 9월 15일 ~ 1915년 7월 2일)는 멕시코대통령으로 1876년에서 1880년 사이와 1884년에서 1911년 사이에 재임하였다.

그는 1830년 9월 5일에 멕시코 오아하까 주에서 원주민 어머니와 끄리오요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베니또 후아레스가 지도하는 자유주의혁명에 참가, 혁명전쟁(1857~1860), 프랑스와의 전쟁(1861~1867)에서 군인으로 활약하였다.

그는 멕시코 내란과 프랑스와의 전투에서 자유주의자들의 편에 서서 싸웠지만, 권력을 잡는 과정에서 보수주의자로 변했다. 1880년에 1차 임기를 마친 디아스는 1880~1884년 사이에 꼭두각시 정부를 내세워 통치했다. 이는 그가 전임자들의 재선에 반대하여 주도했던 반란에 대한 명분 때문이었다. 그러나 디아스는 1884년 다시 대통령에 당선되어, 1887년에는 연임을 허용하는 헌법 개정과 1890년에는 중임을 허용하는 헌법 개정을 통해 1911년까지 30여 년 동안 멕시코를 통치했다. 이 33년간의 포르피리오 디아스의 집권기간을 '포르피리아토(Porfiriato)'라고 부른다.

그의 행적들을 보면 천하의 개쌍놈이다. "멕시코! 외국인에게는 어머니, 멕시코인에게는 계모"라는 말도 있다. 몸만 원주민 태생이지 정신상태는 "문명과 야만" 시선으로 바라보던 끄리오요들의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어서, 원주민들을 철저히 탄압했기 때문이다. 애초에 아버지도 크리오요였고 잘 사는 집안 태생이니 그의 사고방식의 한계는 어찌보면 당연한 것이었다.

딱히 본인인민에게 애정을 가지고 다스린거 같지는 않지만, 미국과의 관계를 두고 "불쌍한 멕시코! 하나님과는 이토록 먼대 미국과는 이토록 가깝구나! ("Pobre México, tan lejos de Dios y tan cerca de los Estados Unidos.")" 라며 어쨌든 그 임팩트만은 확실한 명언을 남긴적이 있다. 넘사벽으로 힘새고 부유하며, 애증으로 가득찬 위쪽의 이웃과의 관계를 두고 멕시코인들은 현대까지도 종종 이 말을 되뇌기곤 한다.

그는 1911년 멕시코 혁명으로 인해 퇴임하였다.

추가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