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뇌정 건볼트/패러디

푸른 뇌정암드 블루 건볼트 시리즈
푸른 뇌정 건볼트푸른 뇌정 건볼트 爪
푸른 뇌정 건볼트 스트라이커 팩
시스템시스템장비피뢰침스킬
설정 및 세계관용어등장인물스테이지스크립트
기타사운드트랙패러디인터액티브 웨이브마이티 건볼트

1 개요

3DS 다운로드 소프트 푸른 뇌정 건볼트의 패러디, 오마주를 정리한 페이지.
인티의 관록상작품 컨셉상 록맨 시리즈및 그 외의 2차매체에서의 패러디가 소소하게 나오는 편이다.
우연히 이름만 겹치는 정도인 경우도 일단 포함하며, 한글표기는 뉘앙스가 특이한 몇몇 경우를 제외하면 정발판의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 보스

초기작은 7대 죄악과 이에 대응하는 동물이 디자인 모티브고, 작명은 차의 이름에서 가져왔다.

캐릭터명차명이명죄악동물
데이토나셸비 데이토나
닷지 바이퍼 GTS(영)
성난 폭염(怒れる爆炎)
Burnt Wrath
분노유니콘
엘리제로터스 엘리스시기하는 생명윤회(嫉ましき生命輪廻)
Unlimited Envy
질투
스트라토스란치아 스트라토스모든 것을 탐하는 시충(貪り尽くす翅蟲)
Gluttony Fly
식탐파리
메라크마세라티 메라크나태한 아공공(怠惰なる亜空孔)
Sloth Horror
나태당나귀
이오타람보르기니 이오타오만한 잔광(傲慢なる残光)
Silhouette Pride
교만공작
카레라포르쉐 카레라 GT탐욕의 자계권(欲深き磁界拳)
Magnet Greed
탐욕고슴도치
판테라데 도마소 판테라
파가니 존다(영)
유혹하는 몽환경(色惑う夢幻鏡)
The Lustful Mirage
색욕전갈

爪의 에덴 구성원들은 동물+동화(잔학동화 설 있음)가 컨셉 모티브고, 작명은 수령을 제외하면 미사일 이름에서 가져왔다.

캐릭터명미사일명동화동물
텐지안중국의 순항 미사일 텐지안눈의 여왕말벌
니케아메리카의 지대지 미사일 나이키
소비에트 연방의 탄도미사일 데스나(영)
라푼젤해파리
아스록아메리카의 순항 미사일 아스록헨젤과 그레텔펭귄
가우리파키스탄의 탄도미사일 가우리신데렐라타조
지브릴이스라엘의 대함미사일 가브리엘빨간 두건박쥐
늑대
테세오대함미사일 오토매터 Mk.2 TESEO잠자는 숲속의 미녀
니므롯이스라엘의 대전차미사일 니므롯
대함미사일 오토매터 Mk.2 미라스(영)
인어공주범고래
수령-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거울 나라의 앨리스
-

2.1 보검

보검의 이름은 일본 신화와 위인에 관련되어있다. 영판에서의 보검명의 모티브는 할애.

소유자이름해설
데이토나히노카구츠치(火之迦具土)이자나기와 이자나미 사이에 태어난 염신. 여신전생인줄 알았네
엘리제후츠노미타마(布都御魂)이시가미 신관의 신체가 되는 검. 신무천황이 동쪽 정벌때 사용했다 전해진다.
스트라토스도카게마루(蜥蜴丸)신쥬의 민화에 전해지는 요도.
메라크후도우쿠니유키(不動国行)오다 노부나가가 차고다닌 검.
이오타코류카게미츠(小龍景光)쿠스노기 마사시게가 차고다닌 검.
카레라이와토오시(岩融)무사시보 벤케이가 차고다닌 검. 거대한 나기나타.
판테라코가라스마루(小烏丸)타이라 가문의 가보인 검. 일본도가 직도에서 곡도로 변화하는 과도기의 검이라 한다.

2.2 기술

  • 질러식 고르곤
메두사로 유명한 고르곤 세자매의 눈을 보면 몸이 석화된다는 전설에서 착안한 기술효과.
  • 종언의 광인(제로블레이드)
작명 및 공격 모션 공히 록맨 X 시리즈의 환몽영의 오마쥬로 추정. 다만 공격 형태 및 사각이 있다는 것, 맞고 즉사하지 않는단 특성 등은 6의 나이트메어 제로가 쓰는 환몽영 개에 가깝다.
  • 비트 업 앙트르메
분리후의 파상공격이란 점이 딱 미노 마그낙스의 패턴 세퍼레이션의 오마쥬.
  • 판테라전의 패턴들
거의 마이티 건볼트에서 나왔을때의 패턴을 답습해 강화시킨 형태다.

3 등장인물

3.1 모르포

  • 모르포를 의미하는 수식어 전자의 요정(사이버 디바)
개념은 록맨 제로의 사이버 엘프와 비슷하고, 작명은 전자의 요정을 연상케 한다. 충분히 있을만한 작명.
비슷한 전례가 은근히 많아서 뭐라고 딱 집어 말할순 없으니 유명한 것들 몇개만 간단하게 나열해본다.
  • 토키마츠리 이브 - 메가존 23 : 누구나 동경하는 인기 절정의 여성 아이돌이지만 그 실체는 작품의 근간과 이어져있다.
  • 마크로스 플러스 - 샤론 애플 : 음악을 통해 사람의 정신을 흐리멍텅하게 한다는 점이 건볼트 작중에서 그녀의 노래를 이용해 능력자를 수색및 제어한다는 점에서 유사점을 갖고있다.
  • 하츠네 미쿠 : 딱히 설명이 필요없는 현실세계의 버추얼 아이돌.
  • 기타
스테이지 돌입 로딩에서의 해설에서 쓰인 가희는, 영판 및 한글판에서는 뮤즈(Muse)라고 표기된다.
… …

3.2 칠보검

3.3 에덴

  • 지브릴의 이명 풀메탈 재킷은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동명의 작품 풀메탈 재킷 혹은 총탄의 일종인 풀메탈 재킷 탄 설.
  • 테세오의 이명 시리얼 엑스페리먼트는 1998년에 발매된 serial experiments lain의 오마주인듯 하며 "경계선상의 전뇌왕" 은 둔기노벨로 유명한 경계선상의 호라이즌일 것이다.
  • 가우리의 아이스스케이팅 이동방법은 여아용 애니메이션 프리티 리듬 시리즈가 모티브. 해당 애니메이션에서는 가우리의 입버릇인 프리즘, 리듬이라는 용어가 존재하며, 퀘스트명은 해당 시리즈의 부제를 한자치환한 네이밍(퀘스트 쪽에서 설명). 참고로 전작에서도 해당 애니메이션을 기반으로 한 패러디가 있었다.

4 피뢰침

  • 기드라
이름 자체는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휴드라.
인티의 전적을 생각해보면 특수촬영괴수영화 고지라 시리즈에 등장하는 삼두룡 킹기도라 설이 유력한데, 조준 횟수가 3회라는거랑 뇌격린과 킹기도라의 번개광선의 묘사에서 유사성을 찾게 될것이다. 한자표기인 자룡은 드래곤 시류일 가능성 농후.
  • 나가
인도신화를 근간으로 하는 뱀신.
  • 테크노스
예전에 존재했던 게임회사 테크노스 저팬의 오마쥬. 한자표기는 대표작중 하나인 더블 드래곤에서.
일본 신화에 기반하는 네이밍.
  • 바스키
인도신화에 등장하는 고위의 나가(나가라샤).
아일랜드에 전해지는 죽음을 고하는 목없는 요정. 조준이 0개인건 목이 없다라는 점을 들어서일지도 모른다.

5 기타

5.1 지명

  • 오노고로 플로트/에리두(eridu)
일판의 오노고로 플로트는 이자나기노미코토가 나오는 일본 건국신화에서 최초로 세운 섬. 영/한판의 에리두는 수메르 신화에 나오는 인류 최초의 왕권이 성립했다는 도시. 양쪽의 연관성은 전혀 없지만 신화상 최초라는 공통분모로 보면 얼추 뜻이 들어맞기에 제일 적절한 번안명이 아닐까 싶다.
  • 아메노사카호코/바벨(bavel)
일칭은 일본 중세신화에 등장하는 창의 이름이고, 영/한칭은 설명이 필요없는 바벨탑.
  • 아메노우키하시/비 내리는 다리
일본 고사기 제일 첫 신화가 출처.

5.2 대사

미션 수행중의 스크립트는 일본판 한정이므로 푸른 뇌정 건볼트/스크립트에 작성된 내역을 참고로 하여 작성한다.

  • 폭염 "다른 사람의 사랑을 방해하는 녀석은... 말에게 걷어차이는 Go to Hell이라고!!" by 데이토나
기동무투전 G건담에서 풍운재기를 타고 웡 융파의 월터 건담을 작살냈을때 한 대사의 패러디
  • 자계 "찌릿찌릿 중학생의 본령 발휘구나!" / "마그넷 파워!랄까." by 지노
미사카 미코토강철 지그.
  • 자계, 지노와 GV의 대화
지노 : "가시는 조심하도록 해! 뭐, 즉사는 아니지만"
건볼트 : "즉사...? 무슨 소리야?"
지노 : "옛날엔 그런 것도 있었어."
가시에 닿으면 얄짤없이 즉사하는 록맨 시리즈. 작품의 포지션[1]상 약간의 메타성을 가졌을 수도 있다.
  • 장혼, 지노와 GV의 대화
지노 : "이번 의뢰는 황신(스메라기)이 관리하고 있는 '어떤 창고의 잠입 조사'야. 사실은 이 창고... '나온다'고 하더라."
건볼트 : 나온다고?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혹은 해당 작품의 외전작의 패러디.
  • 장혼, 지노와 GV의 대화
건볼트 : "뭐지... 이것들은? 좀비...?"
지노 : "좀비라니... 어이어이, 무슨 호러 게임도 아니고."
건볼트 : "대기업의 실험 시설과 좀비... 퍼즐 같은 장치... 확실히 지노가 좋아하는 레트로 게임 같네."
지노 : "...나는 역시, 첫 번째가 가장 좋았었는데."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관여 인물은 다른 사람이지만 이쪽도 메타성 농후.
  • Hasta la vista, GV. by 아시모프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에서 T-800의 명대사. 아마 여기서 가장 유명할 것이다

5.3 퀘스트명

5.3.1 푸른 뇌정 건볼트

  • 고독한 초인 GV
육신합체 고드마즈 4화 제목 "고독한 초인 타케루". 동양비디오판에서는 2부 "고독한 외계인" 으로 수록, 타 동양비디오 로봇만화 시리즈에서의 예고에선 "지구를 지키는 고독한 외계인 강철민" 이란 캡션이 지나간다. 그리고 작중 등장하는 최고급 소재중에 "플랜 항체 -육신-" 이라는게 있는데 한자표기가 딱 이 작품을 연상케 한다.
  • 태양을 훔친 자
1979년대의 동명 액션영화 제목에서.
  • 불꽃의 숙명
숨막히기로 유명한 장갑기병 보톰즈의 오프닝 제목. 국내판에서는 불꽃의 운명으로 표기.
  • 거미줄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소설. 칸다타의 출처로 유명하다.
  • 프리즘의 반짝임
여아용 애니메이션 프리티 리듬 시리즈의 최중요 키워드중 하나로, 겟타선이나 다이노갓츠 급의 위치를 차지하는 절대적인 개념. 여담으로 3기의 중요 캐릭터 중에서는 린네(한자표기는 수몰부활 테마인 윤회와 동일)라는 이름의 캐릭터도 나온다. 미친…
  • 총성의 증명, 두 개의 마음, 길 위의 법칙, 댄스 홀, 프리즌 문, 14세의 지도
뮤지션 오자키 유타카(尾崎豊)의 노래 혹은 앨범 제목
  • 최후의 승리자
신기동전기 건담 W의 최종화 제목. 국내판에서는 마지막 승리자로 표기.
  • 사마귀의 도끼
동명의 중국에서 벌어진 사고. 힘없는 사람이 권력자에게 맞서는 표현으로서 쓰이는데, 작중에선 맨티스에 대해서가 아니라 GV가 스메라기 그룹에 맞서는걸 의미하는 뉘앙스에서 차용한게 아닐까 싶다.
  • DESTROY THEM ALL
횡스크롤 슈팅 그라디우스 시리즈의 캐치프레이즈. 국내판에서는 모두 파괴하라로, 헤비암즈 풀오픈어택 총공격 되는거 마냥 뭔가 생뚱맞게 번역되었다.
  • 푸른 전귀
퀘스트 내용이 피뢰침 총격만 사용해서 클리어. 푸른이 들어가므로 볼것도 없이 록맨이나 엑스를 의식한 퀘스트명.

5.3.2 푸른 뇌정 건볼트 爪

  • 비천 내부-천체의 방식
애니메이션 천체의 메소드.
  • 빌딩지대-빛을 잇는 자
울트라맨 티가 1화의 타이틀명이자 티가의 테마 BGM 트랙명. 참고로 파이어 엠블렘 성전의 계보 자식편 첫장 이름이자 개발당시의 가제 역시 빛을 잇는 자로, 후지키 네아판 코믹스의 부제로도 쓰였다.
  • 수수께끼의 양관-무수의 공포
캐슬배니아 X 피의 윤회 스테이지 4 악마성내 통로 "무수한 공포 위에서"
  • 수수께끼의 양관-야상곡
캐슬배니아 심포니 오브 나이트의 일본판 제목 월하의 야상곡. 미션명이 월하고, 퀘스트명이 야상곡. 완전히 일치
  • GV 지하수로-폭풍 속에서 빛나줘
기동전사 건담 제08 MS소대의 오프닝 테마명.
  • GV 지하수로-언젠가 돌아가야할 장소에
KID사의 ever17의 캐치카피 "예전에 맺은 약속과 언젠가 돌아가야할 장소에" 에서 따왔을 설이 높으며, 물과 관련되었단 공통분모까지 있다.
  • 데이터 시설-EGO
serial experiments lain의 최종화 서브타이틀
  • 데이터 시설-몽환성상의 섭리
판타지스타 돌의 소환 키워드 "지금이야말로 무한성상의 섭리에 기원하여 그 본래의 모습을 여기에 보여라!" 에서 따왔을듯.
  • 아메노사카호코-성녀의 우울/금색야차의 한숨/비너스의 소실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시리즈의 서브타이틀 우울/한숨/소실에서. 성녀(星乙女), 금색, 비너스는 전부 금성=여신 비너스와 관련된 단어들.
  • 유메노시마-공장견학
별의 커비 64 굴지의 난관인 스테이지 5-4의 BGM 트랙명.
  • 유메노시마-강철인형의 크랏세, 절대조사의 브류레, 기계묘지의 카라메리세
슈타인즈 게이트의 각 화 서브타이틀을 의식한듯한 사자성어+카타카나명으로 된 작명. 이 작명은 상술한 경계선상의 호라이즌과도 비슷하다. 참고로 카타카나는 전부 제과용어.
  • 아큐라 하이웨이-로드 마스터, 신데렐라 보이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아큐라 하이웨이-극채색의 꿈, 자신의 미래, 홍채협주
프리티 리듬 시리즈 3연작의 부제에서. 각각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 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 프리티 리듬 레인보우 라이브.
… …
  • 아큐라 지하수로-블러디스테인
2018년 발매예정인 Bloodstained: Ritual of the Night. 본 게임을 제작한 인티 크리에이츠에서 개발하며, 디렉터겸 프로듀서는 악마성 시리즈로 유명하신 IGAAAAAAAAAAAAAAAAAAAAA. 뭇뭇호와이+실례검이라니 무슨 혼종을 하시려는거죠
  • 베라덴 2 - 인펙션, 스프레드, 디스트럭션
애니메이션 selector infected WIXOSS와 그 시즌 2인 selector spread WIXOSS, 그리고 그 극장판인 selector destructed WIXOSS.
  • 아큐라 NO LOCKMAN
아시다시피 인티 크리에이츠는 예전에 록맨 시리즈에 관련된 게임에 관여했었다…

5.4 가변주공 건바이크

인티 크리에이츠의 처녀작으로서 이후 인티 크리에이츠가 만들었던 작품들에 하나 이상은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친 작품인데, 爪에서는 이 건바이크의 요소들이 현저하게 드러나있다. 아래에 그 예시.

6스테이지 보스로 2체의 바이크가 합체하여 완성되는 남자의 로망을 실현한 거대로봇. 탑승자인 단과 군 형제는 폭주형제 렛츠고의 영향을 진하게 받았으며, 스페셜 스킬 DG 이레이서는 이 형제의 이름에서 이니셜을 따온게 아니냐는 설이 있고, 바이크 2단합체라는 원본 설정을 건볼트에서는 분리후 고속질주 공격으로 오마쥬했다. 건바이크에서 보스로 나왔을때는 레기온 토네이도라는 극대 빔포 공격을 시전하는데, 건볼트측 플라즈마 레기온의 페이즈 2 극대빔 패턴이 딱 이거다.
  • 베라덴 관련
건바이크 작중의 적세력인 신인류 미치가 태어나는 계기가 된 영적지도물체. 아큐라편에서 노와가 미지라는 단어를 말할때 표기가 未知가 아니라 카타카나인 ミチ로 말하는것도 여기에서 유래할 것이다. 참고로 미치 최후최대의 거점인 터쉬켄트 요새는, 건볼트에서도 에덴의 본거지인 베라덴이 위치한 지명으로 그대로 재현되어있다.
  • 퀘스트명 解ける糸球
건바이크 최종 스테이지의 서브타이틀.
  • 로로의 형태변화 P돌의 기원
건바이크의 플레이어 캐릭중 홍일점인 인조인간 아미의 이명 파우더 돌에서 따온 네이밍.

5.5 배경, 그외

  • 로딩화면 USER ID:453145, FILE No:000666
453145를 알파벳에 대응해서 쳐보면 DECADE가 된다.
컬러 코드 #000666을 쳐보면 진한 파랑색이 된다. 666은 악마의 숫자이기도 하고.
  • 판테라 스테이지 간판 GIRAFFE BEER
유명한 일본산 맥주인 키린맥주.
  • 판테라 스테이지 간판 YGG DRA SILL
명칭 자체는 북구신화에서 나오는 유명한 세계수 위그드라실이 떠오르겠지만, 건볼트적으론 록맨 제로 2 최종 스테이지의 것이라 생각된다.
???: "절대로 용서못해!!!"
  • 판테라 스테이지 간판 인제(印帝)
본작의 제작사인 인티 크리에이츠 에서 인티 부분을 한자화한것을 의미. 꽤 역사가 오래된 호칭인데, 록맨 제로 시리즈의 전신인 건바이크에서부터 등장하고 있다. 일판에서는 진행중 대사로 "뭐하는 가게지?" 라는 건볼트의 독백이 일품이며, 상기한 이그드라실 간판과 인티 간판 사이를 미즈치로 몇번 때리면 로고마크가 나타나서 회수시 1000쿠도스가 들어오는 곳이 있다.
  • 보스 엘리제의 패턴
두명의 엘리제의 이동패턴중에 클래식 시리즈의 제미니맨과 동일한게 있고, 록맨 젝스 어드벤트의 아고일&우고일의 이동패턴도 비슷한게 있다. 또한 공격패턴 중 쟈코드 윕의 3개의 폴을 잡고 이동하는 모습은 로즈파크 더 플라워로이드를 연상케 한다.
  • 보스 시덴 1차전 배경
록맨 제로 2 최종반에 등장하는 엑스가 잠든 방과 같은 구성이다. 시안에게 칼빵하는 만행은 안 저지른다
  • 진엔딩 루트 시작시에 나오는 장면
의도한건지 아니면 고의인진 모르겠지만 록맨 X4의 제로루트 4번째 동영상의 절규장면과 비슷한 시츄에이션이다. 링크 참조.
  • 진엔딩 마지막 장면
록맨 제로 2에서 하늘로 사라지는 다크엘프를 떠나보내는 제로와 구도가 동일하다. 이쪽도 의도치않게 같은 구도가 되었을지도.
  • 정룡옥
록맨 X4포스 아머가 사용하는 플라즈마샷의 오마쥬로 보인다.
  • 후뢰강

록맨X8에서 제로의 천조패의 오마쥬로 추청된다.

  • 미틸의 머리장식
갸루 건 더블피스의 등장인물 카미조노 시노부가 달고있는것과 똑같다.
  1. 록맨 시리즈의 정신적 후속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