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번

AV 품번 정보에 대해서는 AV 제작사 및 품번 정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品番

1 개요

제품 품종 또는 저작물마다 부여되어 있는 고유의 번호. KV 265KV-2, SAM-572 이런 식으로 쓴다. 잘도 이런 신사적인 링크를

품번이란 단어는 한자어이긴 한데, 일본말이다. 힌반(品番/ひんばん)에서 유래. 우리나라에서 굳이 "품번"이란 일본 단어를 암암리에 쓰게 된 이유는 일본에만 있는 저작물을 지칭하기 위해서다. 즉, 한국에서는 품번하면 대부분 AV의 작품번호만을 가리키고, 그것만 떠올린다(...) 널리 보편적으로 쓰고자 하기엔 이미 꿈이고 희망이고 없는 단어.

일본에서는 말 그대로 제품번호(작품번호)의 건전한 의미이니, 일본에 가면 당혹스러워 하지 말자. 당장에 구글에서 品番과 품번을 검색해보면 결과가 완전히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역으로 일본에서 AV 얘기할 때 품번으로 얘기하면 아무도 못알아듣는다. 하지만, 일본 성인샵에서 AV 작품을 구매해보면 영수증에는 구매 내역이 작품명 대신 품번으로 찍혀나오는 경우도 있다.[1]

2 한국의 品番들

우리나라에서 제품번호, 작품번호를 통칭하는 말은 없다. 가장 가까운 말은 상품번호. 상황에 따라 다른 말로 사용 중.

  • 상품번호: 바코드에 기록된 제품의 번호이다. 제품을 인식하여 가격을 계산하는데 주로 사용. 예를 들면 "8809314512085" 이런 거.
  • ISBN: 책의 상품번호를 체계화한 것이다. 이외에도 문헌정보학 관련 정보를 보면 문헌 컨텐츠를 분류하고 식별자를 붙이는 여러 방법이 있는 등, 책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오랜 역사와 노하우를 갖고 있다.
  • 모델 번호: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번호. 보통 전자제품을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번호. 베가 아이언은 제품명(펫네임)이고, IM-A870S가 SKT용 베가 아이언의 모델번호다.
  • ICN: 통합 저작권 관리번호. # 상품번호로 저작물을 구분한다면 음악의 경우 CD, 카세트, mp3파일 등 어디에 담기느냐에 따라 번호가 달라지는 맹점이 있다. 하지만 ICN하면 공항부터 떠올리고(...)
  • 쾨헬 번호: 모차르트 저작물의 품번. 대표적으로 KV 626이 있다. (...)
  • 주민등록번호: 제품이 아니잖아(...) 이 경우 ID라 부른다.

3 品番의 필요성

회사에서는 한 종류가 아닌 여러 종류의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비록 같은 회사에서 만들었지만 품종마다 제품 특성이 조금씩 다르다. 이때 제품의 품종마다 번호를 부여하여 제품이나 설명서 등지에 표기하는데, 이것을 알면 해당 회사의 홈페이지 등지에서 제품에 대한 정보, 호환되는 부속품, 애프터 서비스 정보 등을 빠르게 검색하여 찾을 수 있다.

각설하고, 검색해보자

이전 작성자는 백아연 아니 베가 아이언 빠인것같다...?

3.1 품번의 필요성

당신이 찾으려고 하는 그 동영상에서 특히 품번 정보를 많이 사용하는데, 품번을 알면 해당되는 작품을 빠르게 검색하여 찾아 감상할 수 있다. 이런 류의 상품들은 본디 제목이 심히 민망하거나 길거나 직설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빨리 찾아주세요. 현기증 난단 말이에요.

4 식별자 구성 방식

무언가를 기록하고 훗날 검색하고자 한다면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를 검색하면 보통 되긴 하는데, 유사한 것들이 같이 검색된다면 그 중에서 필요한 것을 찾는데 힘들어진다. 이에 따라 배타적인(유니크한) 단어나 코드를 기입하여 식별자로 삼으면 검색하기가 편해진다. 품번도 이의 연장선인 것이다.

  • 이름 + 년도(날짜): 책 저자와 년도를 같이 검색해서 학술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가장 기본형.
  • ID + 제작 순서: ID를 사용하면 동명이인 문제도 피할 수 있고, 번호의 길이도 짧게 유지할 수 있다. 모델번호와 소위 그 품번이 이런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 국가+회사+순서: 상품 번호, ISBN 등의 구조가 이런 형식으로 되어 있다.
  • 해시코드: 무작위의 문자와 숫자로 이루어진 코드. 이를 사람이 읽어 의미를 알아낼 수 없어 품번같은 용도로 쓰기는 무리고 컴퓨터 내에서 컨텐츠를 식별/정리하는데 적극 활용되고 있다. 사실 태그 하나만 달라져도 해시코드가 확 달라지기 때문에 같은 내용이 담겨있다 해도 서로 다른 식별자를 가질 위험이 있다. 반면 이 특성을 사용하면 오류/위변조 검출을 위한 checksum 용도로 활용 가능하며 수많은 위변조 파일 중 원본을 찾기 위한 식별자로 쓸 수도 있다.
    • MD5: 중복파일 검출에 활용된다.
    • SHA-1: 토렌트 식별자로 활용된다.
  • 생일+성별+동사무소+체크섬: 주민등록번호

5 여담

한국 한정으로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킬없이 데스만 많이 찍으면 그걸 이용해서 품번 드립을 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ASH-091이 있다.
  1. 다만 이 부분은 성인샵이나 AV 작품이라서가 아니라, 상품관리를 위해서 상품명 대신 품번으로 찍히는 일반 매장도 많다. AV와는 전혀 무관한 평범한 동네 슈퍼에서 캔커피 하나를 사도 상품명이 아닌 캔커피의 품번이 영수증에 찍히는 경우도 있다는 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