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라이즈 오브 네이션즈)

라이즈 오브 네이션즈에 등장하는 국가들
대륙오리지널확장팩
아메리카마야아즈텍잉카라코타미국이로쿼이
아시아몽골일본중국터키한국인도페르시아
아프리카누비아반투이집트
유럽그리스독일러시아로마스페인영국프랑스네덜란드포르투갈

1 개요

라이즈 오브 네이션즈에 등장하는 대한민국에 관해 서술한 문서.

2 특성

전통의 힘.

  • 사원을 소유한 상태에서 게임이 시작되며 종교 업그레이드를 무료로 할 수 있다.
  • 게임을 시작할 때 시민 1명을 더 받고 두 번째 도시를 건설할 때 3명, 그 이후로는 도시를 건설할 때마다 5명을 받는다.
  • 건물 수리 속도가 50% 빠르다. 해당 건물이 공격당하고 있는 경우에도 평소와 같은 상태로 건설과 수리를 진행할 수 있다.
  • 시민군, 의용군 및 민병대를 무료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탑의 건설 비용이 33% 더 적게 든다.

역사적으로 수많은 외적의 침략으로부터 자국을 지켜낸 것이 설정 배경이다. 근데 시민군, 의용군, 민병대가 무료란건 이거이것을 배경으로 한 것 같다? 각 전란때 큰 활약을 했던 의병을 특징으로 내세운 듯한 특성. 뭐 진실은 관군이 이끌고 의병은 보조에 가깝거나 곧 관군에 흡수됐지만 아무래도 외국인 입장에서 내막까지 알리는 없으니...

전형적인 방어형 국가.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시리즈의 한국 종특(방어탑 관련)이 라이즈 오브 네이션즈에서도 적용됐다. 방어탑 건설 비용이 타 국가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에 타워 디펜스를 선보일 수 있다. 게다가 불가사의 콜로세움까지 건설하면 금상첨화[1].

게다가 세 번째 특성을 보다시피 시민의 숫자가 충분하면 아무리 적이 공격해도 건물이 좀처럼 쉽게 부서지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시민의 수리 속도가 50% 빠른 데다가 건물이 공격받아도 평소와 마찬가지로 수리할 수 있으니[2] 우주방어의 진수를 보여줄 수 있다. 하지만 상대편이 터키라면? 형제의 국가끼리 이러기요? 그러나 아무리 수리를 잘해도 현대 시대부터는 막강한 화력의 미사일 앞에 얄짤없다.

또한 도시를 건설할 때마다 시민 몇 명을 공짜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국가의 경제력을 향상시키는 데 매우 유리하다. 시민 5명을 뽑는 데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생각해보자. 그럼 중국은? 그래도 걔네들은 돈 들잖아

여담으로 같은 아시아 국가인 중국, 일본, 몽골은 건축 양식이 똑같은 것과는 달리 한국의 건축물은 독자적인 양식을 갖추고 있다[3][4]. 브라이언 레이놀즈가 역사에 박식하고 특히 한국을 개인적으로 수 차례 방문했던 경험이 있어서인지 이러한 차별성이 부여된 듯하다. 그런데 AOE3 아시아 왕조는...

3 특수 유닛

화랑, 주화, 신기전이 특수 유닛이다. 자세한 내용은 라이즈 오브 네이션즈/특수 유닛 참조.

4 도시 목록

★는 최초의 도시이자 수도를 의미한다[5]. 도시 이름은 가나다순.

도시의 이름은 플레이어를 불문하고 중복되지 않는다. 위 목록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의 도시가 생기면 해당 도시의 이름은 국가명+숫자다(예: 한국40).

5 AI 플레이어 이름 목록

백제는?

추가바람
  1. 콜로세움을 건설하면 요새와 탑의 건설 비용이 20% 적게 든다. 한국이 건설하면 건설비를 55% 절감할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건물이 공격받을 경우 시민의 수리 속도가 현저히 줄어들고, 수리하는 시민의 체력이 서서히 감소한다.
  3. 청기와로 된 조선시대 건축 양식을 갖추고 있으며, 대학에 첨성대 모양의 건물이 붙어 있다. 또 중국이나 일본, 몽골의 학자들은 산업 시대 이전까지 승려 모양인 반면, 한국의 학자는 유학자 모습. 사원의 경우 중세시대까지 다보탑으로 나오는데 이것은 무려 아시아권 문명 공통으로 나온다.
  4. 이렇게 건축 양식이 독자적으로 묘사된 국가는 확장팩까지 통틀어서 한국과 미국 단 둘 뿐이다. 다만 아무래도 오리지날의 기본 국가라 확장팩의 이로쿼이나 페르시아처럼 전투 유닛의 모습이 완전히 독자적이지 않은 것은 살짝 아쉬운 점. (일꾼과 정찰병은 한국 전용으로 따로 존재하지만 나머지 유닛은 그렇지 않아서 은근 괴리감이 있다. 특히 화승총병과 의용병.) 그래도 이 정도로 한국에 신경쓴 게임은 흔치 않다.
  5. 단, 한 게임에 같은 국가가 둘 이상 있으면 하나의 플레이어만 이에 해당된다. 도시 이름은 중복되지 않기 때문이다. 나머지 국가는 무작위
  6. 고려의 태조 왕건이나 조선의 태조 이성계 중 하나인 것으로 보인다. 혹은 일부러 이렇게 썼을 수도 있고.
  7. 시대가 진행되면서 역사와 같은 순서로 지도자 이름이 바뀐다. 북한도 있고 이쪽 역시 역사대로 캠페인 종료까지 김일성으로 나오지만, 북한은 진영 특성이 한국이 아니라 일본이다. 그리고 정작 일본은 로마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이게 또 나름대로 어울린다.) 단, 일본은 처음부터 미국 회원국이라 전면전 상태가 아닌 이상 공격할 수 없다. 그 대신 공격시 전투 시나리오가 따로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