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저우급

파일:Attachment/DD hangzhou.jpg

승무원296명(+60명)
만재배수량7,940톤
전장156m
전폭17.3m
흘수65m
추진방식GTZA-674 증기터빈(49,250hp) 2기
최고속력32노트

항저우급은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구축함으로 총 4척이 배치되었다.

1 개요

항저우급(Project 956) 구축함은 1989년 천안문 사태로 서방측에서의 기술수입이 금지당하자, 러시아와 접촉해 도입한 소브레멘니급 구축함의 중국형 모델이다. 중국은 1980년대부터 해군력의 재정비와 현대화를 추구하며 대양해군으로 나가려 노력하고 있었으나 여전히 90년대까지도 고성능함의 건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에 중국은 러시아와 접촉하여 소브레멘니급의 도입을 시도하게 된다. 러시아는 소련의 붕괴 후 건조 중이던 함선의 건조가 모두 중단되어 방치되고 있었는데 소브레멘니급의 18함과 19번함도 이에 해당하였다. 중국은 1996년 6월 러시아와 협상을 통해 18함과 19함의 건조비용을 러시아 대신 지불하여 건조후 중국이 인수하기로 협의하였는데 계약가는 8억 달러였다. 또한 이 계약에서 기술지원과 같은 부수적인 협상이 있었을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추측하고 있는데 이후 자국에서 건조한 광저우급의 무장과 시스템이 항저우급의 그것과 동일하다는 점에서 추측이 맞다고 보고 있다. 중국은 킬로급의 도입 당시 승무원의 교육을 소흘히 하여 초기 운영에 어려움을 겪은것을 교훈 삼아 1999년 즈다노후 조선소가 있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승무원들을 파견하여 충분한 교육을 받게 하였으며 중국으로 항해시에 러시아 승무원들을 동승시키고 이후 초기 운영에 참가하게 함으로 빠른 전력화가 가능하도록 하엿다. 1번함은 1999년 12월에 2번함은 2001년1월에 인도 받았다.

21세기 초반에 다시 개량형 Project 956EM 2척을 계약하여는데 이함은 이전 2척과 달리 신조함으로 러시아의 기술 지원과 장비 판매에 대한 보상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 받고 있다. 3번함은 2004년 4월에 취역하였고 4번함은 2005년 12월 28일에 취역하였다. 추가분 2척의 가격은 14억 달러로 새로 건조하고 개량에 대한 비용으로 인해 이전 두척보다 비용이 높다.

본 구축함은 당시 중국 해군의 수상전투함 중 일부 함정만이 HQ-7 대공미사일을 보유하여 함대 방공능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도입한 함이기도 하다.

초기함 Project-956의 무장은 3M80 모스키토 초음속 대함미사일 4연장 2기, 130mm AK-130 함포 2문, 30mm AK-630m CIWS 4문, 533mm 어뢰발사관 5연장 2기, RBU-1000 대잠 로켓 6연장 2기를 탑재한다. 후기함 Project 956EM 무장은 SA-N-7 대신 SA-N-11, AK-630M 대신 CADS-N-1 카쉬탄 2기로 대체하고, AK-130 함포는 후방 함포를 제거하여 1문만 탑재한다. 후방 함포를 제거한 대신 너무 좁다는 평을 받았던 비행갑판을 확장하여 헬기 운용능력을 확대하였다.

중국의 항저우급의 도입과 광저우급의 건조는 대만에 충격을 주어 키드급을 도입하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1.1 항저우급 목록

이름러시아 이름/영어 이름/중국 이름퇴역/상태스크랩
VazhnyyВажный - Eminent (Hangzhou (136) - 杭州)중국에 팔림
VdumchivyyВдумчивый - Thoughtful (Fuzhou (137) - 福州)중국에 팔림
Taizhou (138)泰州(항저우급)2005년, 개량형 956EM이 중국에서 건조
Ningbo (139)宁波|(항저우급)2005년, 개량형 956EM이 중국에서 건조

2 관련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