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달

이 문서는 의학과 관련된 내용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언급하는 정보는 기초적인 지식으로만 받아들여야 합니다. 바다위키에 등재된 의학 정보를 맹신하지 마십시오. 본 문서를 의료행위, 자가 진단, 교육 등에 활용함으로 인해 불이익이 발생해도 바다위키는 법적 책임을 질 의무가 없습니다. 건강 관리와 질병 진단은 반드시 병의원·보건소 등 전문 의료기관만을 이용해야 합니다.

의학 관련 문서에 오해를 낳을 가능성이 있는 자의적인 생각이나 공인되지 않은 학설 등의 확인되지 않은 정보는 타인의 건강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黃疸[1]
Jaundice

헤모글로빈과 같은 철분을 포함하고 있는 특수 단백질이 체내에서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황색의 담즙색소(빌리루빈)가 몸에 필요 이상으로 쌓여서 안구의 흰자위나 피부, 점막등에 노랗게 착색되어 몸이 누렇게 보이는 증상을 말한다. 빌리루빈은 체내에 들어온 물질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독성물질이며, 보통 간에서 해독작용을 거친후 담즙으로 배설된다. 황달이 발생하는 경우는 두 가지가 있다.

  1. 빌리루빈의 체내에서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생성될 경우
  2. 생성된 빌리루빈이 몸 밖으로 제대로 배출되지 못했을 경우

황달이 발생됐을 시 가장 먼저 나타나는 증상은 소변의 색깔이 짙어지는 것이다. 이는 혈액으로 넘쳐 나오는 빌리루빈이 소변으로 배설되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소변이 진한 갈색을 띄게 된다. 가끔 당근이나 오렌지를 많이 섭취하여 손발이 노랗게 변하는 경우도 있는데, 비타민 A의 전구물질인 카로틴이 피부에 침착되어 나타나는 증상이다. 이 경우에는 피부가 황색을 띄고, 각막이나 소변 색은 보통 정상이므로 황달과 쉽게 구분된다. 황달이 생기면 경우에 따라 피부 가려움증을 동반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빌리루빈 자체가 원인은 아니고, 담즙으로 배설돼야 할 어떤 화학물질이 피부 신경말단을 자극하여 발생한다. 이런 경우에는 근본적으로 황달이 호전되어야 증상이 좋아진다.

뱀발로 황달의 '달'을 뜻하는 한자(疸)가 원래는 음이 '단'이었는데 활음조 현상으로 황단→황달이 되었고 한자 음도 '단'에서 달이 되었다. 활음조 현상이 한 한자의 음을 바꾼 이례적인 사례다.

신생아 중에 이 황달이 일어나는 사례가 많은데, 이는 신생아의 간이 아직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빌리루빈을 빨리 배출하지 못하고 축적되기 때문이다. 증상의 심각성은 아기마다 다른 편으로, 별다른 치료가 없어도 자연적으로 낫는 가벼운 황달도 있지만 심각한 후유증 및 합병증을 동반한 황달도 생길 수 있으므로 황달 증상이 나타나면 빨리 치료를 받아야 한다.

모유 수유 시 황달의 발생 확률이 더 높다는 주장이 있어서 산모들이 모유 수유를 꺼리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1. 旦(단)이 발음요소로 들어가지만 독음이 "달"인 한자가 종종 있다. 중국 병음도 dan 과 da 두 종류이다. 妲 여자이름 달, 怛 슬플 달, 靼 다룸가죽 달, 䵣 회색 달, 呾 서로꾸짖을 달, 炟 불붙을 달, 狚 큰이리 달, 詚 시끄러울 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