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부산광역시준공영제 실시 이후 시내버스 노선개편
2007년도2008년도2009년도2010년도2011년도2012년도
2013년도2014년도2015년도2016년도2017년도
빨간색으로 표시된 연도는 상당히 논란이 된 노선 개편이 일어난 해이다.

1 개요

본 문서는 2014년도에 부산광역시 시행한 버스개편을 담은 문서다. 2014년 12월 23일 개편부터 윤 모씨가 개편하게 된다.

520번의, 520번에 의한, 520번을 위한 개편

2 개편 내역

2.1 2014년 1월 22일

노선 번호기존 노선변경 노선사유
2000노선신설하단역-명지신도시-삼성자동차정문-경제자유구역청-천성-관포-외포-덕포-옥포-송정-연사-연초(맑은샘병원)부산~거제 간 교통불편 해소

2.2 2014년 2월 22일

노선 번호기존 노선변경 노선사유
29차고지-남산소방서-선경3차A-부산대-서동-명장동-교대역-서면-안창마을차고지-남산성당-부산외국어대(순복음금정교회)-남산고-남산동럭키A-남산초교-남산소방서-선경3차A-부산대-서동-명장동-교대역-서면-안창마을부산외대 이전에 따른 대중교통 수요대응
131차고지-남산소방서-선경3차A-부산대-사직동-시청-수영교차로-오륙도SK뷰차고지-남산성당-부산외대(순복음금정교회)-남산고-남산동럭키A-남산초교-남산소방서-선경3차A-부산대-사직동-시청-수영교차로-오륙도SK뷰부산외대 이전에 따른 대중교통 수요 대응
134용당동-부산역-남포동-충무동-아미동입구-남부민동(회차)용당동-부산역-남포동-충무동-아미동입구-남부민동-동산교회-천마마을-알로이시오기념병원-고신대복음병원-송도입구-신익A-부산관광고(편도)-남부민동교통취약지역 교통불편 해소
210쌍용예가입구-사직사거리-미남역-민락수변공원-진로A2단지-진로비치A-활어직판장(회차)~민락수변공원쌍용예가입구-사직사거리-미남역-민락수변공원-진로A2단지-진로비치A(회차)~민락수변공원도로여건(해수침해)에 따른 노선 변경
520용원-가덕-녹산공단-삼성차-명지오션시티-명지레포츠-신평용원-가덕-녹산공단-삼성차-명지오션시티-명호초교-두산위브A-극동스타클래스A-엘크루블루오션A-호산나교회-차량등록사업소-신평신규 이용수요 대응
  • 29번,131번은 부산외국어대학교가 감만동에서 남산동으로 이전하면서 교통편 보강차원에서 변경하었다.
  • 134번은 남부민동 해돋이로,천해로주민들 교통불편해소차원에서 변경되었다
  • 210번은 민락활어직판장 도로가의 바닷물이 차량부식을 일으켜 회차구간을 변경하었다.
  • 520번은 명지오션시티 아파트들이 준공하면서 교통편보강 차원에서 노선을 변경하었다.
  • 15번, 30번, 58-1번, 508번, 1008번, 1010번 심야버스 노선을 신설하였다. 다만 58-1번은 본디 주간 청안동 출발 막차가 심야로 바뀐 것이며 그 밖의 5개 노선은 순수하게 각각 2회씩 심야운행이 생긴 것이다.

2.3 2014년 4월 26일

노선 번호기존 노선변경 노선사유
186차고지-청학동-청학주유소-영도대교-범곡교차로-가야-개금-주례-서부터미널차고지-동삼삼거리-동삼주공A-영도구청-청학주유소-영도대교-범곡교차로-가야-개금-주례-서부터미널차고지 이전에 따른 운행구간 조정
190차고지-청학동-청학주유소-부산대교-부산역-중앙공원-동대신동-남부민동차고지-동삼삼거리-동삼주공A-영도구청-청학주유소-부산대교-부산역-중앙공원-동대신동-남부민동차고지 이전에 따른 운행구간 조정
  • 2월에 세진여객 청학동차고지가 페쇄되고 동삼삼거리 근처로 차고지를 이동했다. 그런데 구.청학동차고지에서 동삼삼거리까지 공식적으로 인가가 나지는 않아 중간 정류소에는 세울 수 없어 공차로 다니면서 일부 주민들의 불편이 있었다. 이 개편으로 동삼삼거리-영도구청-구.청학동차고지 구간에서도 탈수 있게 된다.

2.4 2014년 7월 12일

노선 번호기존 노선변경 노선사유
139청강리-송정-동해남부선해운대역-장산역-중1동-해운대구청-스펀지-해운대시장-해운대온천사거리청강리-송정-동해남부선해운대역-중1동-엠베서더호텔-해운대해수욕장입구-해운대해수욕장-동백섬입구-대우마리나A-경남마리나A-해강중-신세계센텀시티-벡스코마린시티와 해운대 주요 다중이용시설 및 관광지 경유 버스노선 확충

2.5 2014년 7월 26일

노선 번호기존 노선변경 노선사유
40청강리-부산역-구덕운동장(종점)-부경고-서부경찰서-국제시장-부산역-청강리청강리-부산역-구덕운동장-대신중(종점)-구덕운동장-부경고-서부경찰서-부산역-청강리도로 환경 개선 위한 회차방법 변경
138-1장림-하단-동원A-삼락생태공원(한신2차A옆)-한신A-사상초교-서부터미널-서면장림-하단-동원A-삼락생태공원(낙동대로)-한신2차A-한신1차A-사상초등학교-서부터미널-서면삼락생태공원 접근성 제고
210사직차고지-쌍용예가-사직사거리-사직1치안센터-미남역-동래시장-수영역-민락동사직차고지-사직여고-사직사거리-사직야구장-사직운동장-사직역-사직1치안센터-미남역-동래시장-수영역-민락동사직동아파트단지 입주민과 학생들의 대중교통 이용 개선.
301화성파크드림-대우푸르지오-서창중-대동A-북부마을-서창-문화체육센터입구-덕계-월평삼거리-노포동-부산대대동A-서창중-대우푸르지오-화성파크드림-석호가람휘A-문화체육센터입구-덕계-월평삼거리-노포동(단축)신규 이용수요 대응 및 환승가능지점까지 노선 단축 [1]
302노선신설북부마을-서창-문화체육센터입구-덕계-월평삼거리-모전마을-롯데캐슬-한진해모로-정관-서희스타힐스-달산초교-구연마을정관~양산 웅상읍 간 교통불편 해소, 연계노선 신설
333부산역-초량어린이집-금수사-초량6동-부산서중-초량시장입구-부산역부산역-초량어린이집-화신A-동일파크-시민A-민주공원(회차)-시민A-동일파크-화신A-금수사-초량6동-부산서중-초량시장입구-부산역휴일시 관광수요 대응
520용원사거리-천성-삼성자동차-엘크루블루오션-호산나교회-차량등록사업소-을숙도대교-신평역-하단역-한성기린A용원사거리-천성-삼성차-엘크루블루오션-행복마을-을숙도-하구둑-하단역-한성기린A자동차전용도로 운행구간 폐지, 명지신도시 내 운행경로 합리적 재조정
  • 2014년도 세번째 개편이다. 40번은 구덕운동장 버스정류장앞에서 잠시 정차하면서 구덕로 교통체증 유발한다는 이유로 16번 회차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138-1번 단순변경이며, 210번은 사직동 구간을 편도운행하던 방식에서 양방향으로 변경과 동시에 사직역을 경유하게 되었다.
  • 301번의 경우 302번 노선신설로 인해 2대가 감차되면서 노선이 단축되고 부산시내버스인데 양산구간이 압도적으로 많은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졌다,
  • 333번은 초량 이바구길 주요 명소 접근성 제고 및 산복도로 관광자원 탐방 수단으로 활용함으로서 이용 활성화 도모를 이유로 주말에는 중앙공원.민주공원을 경유하는걸로 변경되었다.
  • 520번은 정부에서 자동차 전용도로 입석금지법을 시행하면서 울숙도대교에서 울숙도 하구언을 경유하는걸로 변경되었다.

2.5.1 논란

  • 302번이 301번에서 분리신설된 점 때문에 웅상읍 내에서 한바탕 난리가 났었다. 문제는 301번의 차량수가 적어지자 범어사입구~부산대 구간을 죄다 도려내고 노포동까지 단축시킨 것이다. 양산시 시내버스 양산 58번과 별다를게 없는 노선이 되자 항의가 빗발쳤고 결국 버티지 못한 부산시가 개편 전에 오전 5회 한정으로 부산대학교까지 운행하는 지선노선을 신설시켰다. 안그래도 웅상읍 지역주민들은 정관신도시에게 지속적으로 차량을 빼앗긴 사실 때문에 심기가 불편한 상태였는데, 해당 개편으로 웅상읍 지역주민들의 심기를 더 건드린 꼴이 되었다. 차량총량제의 잘못된 대표 사례.

2.6 2014년 12월 23일

노선 번호기존 노선변경 노선사유
100청강리-송정-해운대신시가지-동래역-장전역-구서동(회차)청강리-동부산롯데아울렛-송정-해운대신시가지-동래역-장전역(회차)동부산롯데아울렛 개장에 따른 노선변경 조정
  • 동부산관광단지 내에 롯데아울렛이 개장하면서 교통편 보강을 위해 노선을 조정했다. 롯데아울렛 추가 경유로 인해 구서쌍용예가~구서롯데캐슬 구간이 잘려버리고 만다.

2.7 2014년 12월 27일

노선 번호기존 노선변경 노선사유
29남산동~부산외대~남산고 왕복 운행남산동~부산외대~남산고 편도 운행(하행)남산동 주민 민원 및 외대통학 동선에 따른 노선 조정
131남산동~부산외대~남산고 왕복 운행남산동~부산외대~남산고 편도 운행(하행)남산동 주민 민원 및 외대통학 동선에 따른 노선 조정
46구포3동-학생문화회관-구명역-덕천역-만덕-온천동-덕천역-구포3동구포3동-학생문화회관-구명역-덕천역-만덕-온천동-덕천역-학생문화회관-구포3동북구 학생문화회관 대중교통 이용편의
58-1송정공원-녹산-신호~명지-괴정-충무동송정공원-녹산-신호주거단지-명지-하단-괴정-충무동※ 신호주거단지 추가
182청강리-해운대-정관면사무소-정관로 순환-홈플러스-청강리청강리-해운대-정관면사무소-홈플러스-계룡리슈빌-정관롯데2차-이지더원(정관 신도시 내 운행노선 단순화)기장 정관신도시 내 중복노선 조정
520용원-경자청-가덕천성-녹산-명지-하단-신평용원-경자청-가덕천성-가덕대항-녹산-명지-하단-신평가덕도 대항마을 주말 한정 노선 연장
555강서구청역-서부산유통단지-화전산단-신호-녹산-송정강서구청역-서부산유통단지-화전산단-신호-녹산-'송정-부산항홍보관-신항(부산지역)부산신항지역 대중교통 이용편의 제고
1005노선신설용원-신항-녹산-신호-명지-하단-엄궁-사상역-서부산IC-가락IC-미음산단-지사산단(출근 : 사상역-지사, 사상역-신항)강서산단∼사상역 출·퇴근시 노선 신설과 명지신도시∼사상역 환승연계 노선신설, 221번 1대 감차
184노선신설정관차고지-홈플러스-곰내터널입구-철마면-반여농산물도매시장역-반여농산물시장남문※ 정관신도시~전철역 간 직통노선 신설
  • 58-1번이 신호주거단지로 경유하게되면서, 택배근성급으로 굴곡진 노선이 되어버렸다.
  • 182번 같은 경우는 정관신도시를 양방향 순환형식이라는 비효율적 코스에서 효율적인 노선코스로 바뀌게 되었다.
  • 강서산단의 교통편 확충을 위한 버스노선인 1005번이 개통되었지만, 역ㄷ자 형식의 굴곡노선과 이렇다할 수요처가 없다는 점, 비정상적으로 장대한 노선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까임의 대상이 되었다.

2.7.1 논란

184번 노선개통의 배경에는 부산시 교통당국이 정관신도시의 주요거점에서 지하철역을 연결하는 급행버스 노선과 신도시를 순환하는 일반버스 노선 운용으로 환승유도형 교통계획을 계획한데 있지만, 정작 정관주민들은 기존의 신도시를 돌면서, 아파트를 직접 연계해주는 버스노선에 익숙해져, 이 정책을 극도로 반대하였다. 결국 부산시 교통당국은 한 발짝 뒤로 물러서서 상술된 개념을 주민들에게 인식시키고자 184번 노선을 개통시켰지만, 정작주민들은 신도시 내로 가지 못하는 노선을 이용할 이유가 없었으며, 철저히 외면하는 바람에, 이용객이 극도로 적었다. 이는 전형적인 환승저항을 인지하지 못하여 피를 본 사례이며, 시 당국이 환승만능주의에 찌들었다는것, 환승저항에 대해 전혀 인식이 없으며, 무관심하다는걸 보여준 사례가 되었다.
  1. 첫차부터 5회까지는 부산대까지 연장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