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형 호위함

현대의 영국 왕립해군 군함
잠수함SSN드레드노트급(초대)R, 발리언트급R, 처칠급R, 스위프트셔급R, 트라팔가급, 아스튜트급
SSBN레졸루션급R 뱅가드급, (드레드노트급)
고속정아일랜드급R, 시미터급, 아처급
원양초계함캐슬급R, 리버급
호위함대잠 호위함12형 휘트비급R, 14형 블랙우드급R, 15형급M/R,
16형급M/R, 21형 아마존급R
방공 호위함41형 레오파드급R, 61형 솔즈베리급R
다목적 호위함12M형 로드시급R, 12I형 레안더급R, 81형 트라이벌급R,
22형 브로드소드급R, 23형 듀크급, (26형급), (31형급)
구축함데어링급R, 카운티급R, 82형 브리스톨급T/R, 42형 셰필드급R, 45형 데어링급
상륙함LPH오션급
LPD피어리스급R, 베이급RFA, (알비온급)
LSL라운드 테이블급RFA
소해함벤처러급R, 윌튼급R, 리버급R, 헌트급, 샌다운급
군수지원함RFA리프급(초대/2/3/4대)RFA/R, 타이드급(초대/2대)RFA/R, 로버급(초대)RFA/R,
포트 로잘리급RFA, 포트 빅토리아급RFA, 웨이브급RFA, 로버급(2대)RFA
경항공모함센타우르급R, 인빈시블급R
항공모함오데이셔스급R, 퀸 엘리자베스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T :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괄호) :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RFA : 왕립 보조전대(Royal Fleet Auxiliary) 소속 함선
※ 주석 : 12I/M형과 22/23형 호위함들은 태생은 대잠 호위함이나, 실전에서는 다목적 호위함으로 사용됨.

{{틀:해상병기 둘러보기}}

해상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미국 독일 제국
러시아 제국 영국
2차 세계대전
미국 일본 제국
영국 나치 독일
소련 이탈리아 왕국
폴란드 프랑스
스웨덴 핀란드
중화민국 만주국
냉전
소련 동독
현대전
미국 일본
대한민국 인도
중화민국 러시아
영국 중국
프랑스 태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호주
북한


800px-HMS_Kent_%28F78%29_2010a.jpg

스톡홀름에서 운항 중인 HMS Kent함 (F78)
23형 호위함의 정보와 제원
사용자영국 해군, 칠레 해군
건조 시작1985년 12월 14일
진수 시작1987년 7월 10일
취역 시작1990년 6월 1일
계획16척
완료16척
운용영국 13척/칠레 3척
함종호위함
만재 배수량4,900톤
기준 배수량3,500톤
길이133 m (436 피트 4 인치)
16.1 m (52 피트 10 인치)
흘수7.3 m (23 피트 9 인치)
속력28노트
승무원185명
23형 호위함의 무장
대공 미사일1 × 32; 시울프 GWS.26 VLS 캐니스터 x 32:
단거리 시울프 미사일(사거리 1~10 km); 총 32발
대함 미사일2 × 4연장발사기 하푼: 총 8발
대잠2 × 2연장 12.75 in (324 mm) 어뢰발사관; Sting Ray 어뢰: 총 4발
함포1 × BAE 4.5 inch Mk8 함포
2 × 30mm DS30M 자동포 or 2 × 30mm DS30B 함포
2 × 기관포
4 × 일반목적 기관총
헬기 선택링스 HMA8 x 1
멀린 HM1 x 1

인천급 배치1의 시조

1 개요

comming along side a type 23 frigate.

23형 호위함은 영국의 주력 호위함이다. 함명을 영국의 여러 공작 작위에서 따서 지었기 때문에 듀크급(Duke-class) 호위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취역은 1987년 11월 24일 부터 시작하였다. 2013년 기준으로 보면 상당히 노후화된 함정으로 현대전에 적응하기 힘든 대공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26형 호위함으로 대체된다고 한다. 1990년 6월 1일에 초도함이 취역하였다.

1.1 개발

개발 초기에는 노후화된 린더급과 Type 21 아마존급 호위함을 대체하고 북대서양 일대에서 항공모함, 헬리콥터 순양함, 수송함, 상륙함 등을 호위하며 러시아의 원자력 잠수함에 맞서 대잠임무를 수행하는 전투함으로 기획되었다. 70년대 이후 영국을 포함한 과반수의 NATO 해군은 로켓 투발식 경어뢰 (ASROC) 을 크게 신뢰하지 않았기 때문에 항공기를 통한 초계와 차단, 수상함에 의한 식별과 공격 교리를 중시했다. 따라서 영국 해군성은 1970년대 말 개념설계 단계부터 소련의 최신 공격 원자력 잠수함 및 장차 등장할 차기 원자력 잠수함에 맞설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헬리콥터 운용능력과 함께 강력한 TASS 와 저속에서의 급격한 가감속 및 저소음에 가능한 모든 자원을 투자할 것을 주문했다. 이 과정에서 "필요하다면 함포나 대함미사일까지 제외해도 좋다" 는 지시까지 하달되었다. 이런 대잠작전능력 특화 지시는 포클랜드 전쟁의 전훈 연구를 통해 장거리 작전능력 확보 및 다목적 교전능력 (특히 대함미사일 방호) 확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반영되면서 어느 정도 변경되었지만, 이미 대잠작전 관련 장비와 인력으로 포화상태에 도달한 배를 무작정 확대하기는 어려웠다. 그리고 영국 정부의 긴축정책과 대잠작전에 필요한 최소한의 획득규모를 감안하면 척당 1억파운드를 넘어서기 시작한 건조예산을 추가로 증액할 수도 없었다.

1.2 특징

Type 23 은 동세대 타국의 호위함들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형태로 구성되었다.

Type 23 과 타국의 동시대 호위함들을 구분짓는 가장 큰 차이점은 추진기관과 인력 구성이다. 영국 해군은 TASS를 사용해 원거리의 잠수함을 효과적으로 탐지하기 위해 매우 낮은 소음 기준을. 그리고 근거리에서 기습적인 기동을 위해 급격한 가속능력을 요구했다. 일반적인 디젤엔진은 물론 가스터빈조차도 Type 22 의 운용경험을 기준으로 하면 향상된 소음 진동 요구를 충족할 가능성이 거의 없었다. 저회전 효율이 나쁜 가스터빈의 근본적 문제를 생각하면 긴 항속거리와 잦은 급기동을 요구하는 호위함과의 상성도 그리 좋지 않았다. 따라서 Type 23은 BMT 의 주도 하에 개발된 저속 전기추진 시스템을 썼다. 네 대의 디젤엔진과 발전기를 별도의 탄성 마운트에 올리고 직류 전동기에 공급하는 기술은 동시대 재래식 잠수함인 업홀더의 기술과 많은 부분이 유사하다.

하지만 15노트 이상의 고속까지 전동화할 경우 당시 기술로는 배가 지나치게 크고 무거워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고속추진용 가스터빈을 고속 추진용으로 장착하는 CODLAG 구성을 채택했다.CODLAG 기관구성으로 Type 23은 올리버 헤저드 페리보다 큰 선체로 보다 빠른 가속/감속능력과 우수한 정숙성을 얻었다. Type 23 초기형은 시험적으로 Type 22와 같은 Type 2031 TASS 를 썼는데, 탑재함의 정숙성과 신호처리능력의 우수성 덕에 거의 모든 상황에서 같은 소나를 사용하는 Type 22 보다 탐지효율이 우수했다. (Type 23 의 TASS는 이후 2031Z 로 개선되었다) 또 함정 구조를 (당시 기준으로는) 최대한 자동화하면서, Type 22 Batch 3 에서 250명에 달하던 승무원을 185~205명까지 축소했다. 이 가운데 음탐인력은 외려 8명이 늘어 전체적인 신호 처리 및 분석능력은 확장되었다.

대공전투능력의 경우 기획 당시 42형 구축함의 ADIMP (Air Defence IMProvement) 가 진행중이었고 Type 23 의 기본 작전영역 자체가 북대서양 방공권, 혹은 인빈시블급 경항공모함의 에어 커버를 받는 영역으로 한정되었기 때문에 항공기 차단에 대한 기본요구 자체가 대함미사일에 대한 자함 방어에 맞춰졌다.

이전세대의 전투함인 미국의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이 항공기의 접근을 차단하고 근거리에서 기습적으로 발사된 1-2발의 잠대함 미사일을 차단하는 상황을 상정해 Standard 1과 Mk13 단장발사기를 조합했다면, 영국 해군은 보다 많은 잠대함 미사일이나 함대방공망을 돌파하고 접근중인 아음속 장거리 대함 미사일을 상정했다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Type 23은 선회발시기를 사용하던 GWS 25 시울프를 VLS 발사형으로 개량한 GWS 26 시울프 VL 을 채택하고 교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력 방공함인 Type 42 와 같은 Type 996 레이더 (당시 영국해군 채택 장비 중 데이터 갱신률이 가장 큰 장비였다) 를 조합했다. 시울프 자체는 비용대비 효율성을 감안한 선택이었지만, 동세대의 대공무장과 비교해 심각한 문제가 있는 장비는 아니었다. Type 23 개발 시점까지 실전과 시험발사를 포함해 600발 이상을 발사하면서 신뢰성을 입증했고, Type 911 사격통제레이더 기반의 CLOS 유도방식은 동시대 RIM-7 시스패로우보다 저공 표적 대응능력은 뛰어났다. 사거리 역시 6km 에서 11km 로 증가해서 대함 미사일에 대한 실질적 교전거리는 시스패로와 3km 이상 차이가 나지 않았다. 즉 Type 23 자체는 1980년대 중반이라는 출현 시점만을 보면 합리적으로 기획된 준수한 대잠전투 전문 호위함이라고 볼 수 있다.

1.3 단점

Type 23 의 문제점은 크게 두 가지 맥락으로 구분된다.

가장 큰 문제는 개발 지연이다. 대잠 및 대공전투에서 처리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급증하면서 당시의 기술로는 단일컴퓨터를 사용해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기존의 중앙집중식 전투체계인 CACS-4 를 사용할 경우 Type 23 의 전투능력을 제대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결론이 도출된 것은 이미 배가 건조 막바지 단계에 도달한 1987년이었다. 따라서 Type 23 은 "어떻게든 대잠전투능력만은 쓸 수 있게 개발한 뒤" 뒤늦게 분산처리식 전투체계인 SSCS 개발에 착수했다. 그 결과 초도함 노퍽은 1989년 취역했지만 취역 이후 근 10년 가까이 SSCS 를 장착하지 못한 채 가벼운 임무만을 수행할 수 있었다. 특히 시울프 VL 과 Type 996 의 조합은 기존 Type 22 와 같은 방식으로는 연결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시울프는 수동으로 오직 한 번에 한 발씩만 쓸 수 있었다. 같은 문제는 자그마치 7번함 건조시점까지 이어졌다. 계획대로 1985년에 초도함이 등장하고 1990년 이전까지 모든 함정이 배치되었다면 냉전기 가장 강력한 대잠 전투함 가운데 하나로 꼽힐 잠재력이 있었지만, 계획 자체의 지연과 전투체계 부재로 인해 모든 함정이 취역한 2002년에는 주적으로 상정한 구 소련의 공격 원자력 잠수함과 맞설 일 자체가 없었다.

두 번째 문제는 지나친 특화에 있다. 당시 제한된 예산으로 확보 가능한 모든 역량을 대잠작전능력 확보에 집중하는 바람에 범용성 측면에서는 이전에 배치된 Type 22 계열함보다도 뒤떨어졌다. Type 22는 해상과 항공통제에 필요한 기함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연안에서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 전자정보 수집 체계도 갖췄지만 Type 23 에서는 이런 요소가 전부 빠졌다. 그리고 평시임무에만 투입하기에는 유지비 역시 지나치게 비쌌다. Type 23 의 연간 유지비용은 유지보수, 안전인증, 개량, 인건비, 부품 재고유지, 위성통신 사용료 및 연료비용, 입항비, 기타 감가상각 비용을 포함해 척당 2414만 파운드로, 1600만 파운드에 머문 Type 22 Batch 3을 월등히 능가하며 미국 해군의 9000톤급 구축함 운용비용에 필적한다. Type 22와 Type 23 이 배수량은 동급, 가스터빈과 디젤-전동 추진체계의 특성 상 순항속도에서의 연비효율은 Type 23 우수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운용유지비 역전 문제는 가볍게 다루기 어렵다.[1] 실제로 영국 해군은 Type 23 가운데 노퍽, 말버러, 그래프턴 등 3척을 1980년대 말에 건조된 Type 22 Batch 3 (콘월, 컴벌렌드, 캠벨타운, 채텀) 보다 먼저 퇴역시킨 후 칠레로 팔아버렸다.

1.4 이후 계획

영국 해군은 의회로부터 중장기간 총 19척의 구축함 및 호위함 보유를 승인받았고, 이 가운데 호위함 정수는 13척이다. Type 26 13척 건조는 2030년에나 가능한 만큼, Type 23 은 설계수명인 18년을 두 배 가량 초과하는 35년 운용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영국 해군은 이미 오래 전부터 단계적인 성능향상 계획을 시행해 왔다. 현재 배치중인 모든 Type 23 은 Type 996 레이더의 신호처리문제를 개선하고 교전거리(사거리가 아님)가 2배로 늘어난 시울프 Block II 를 장착했다. 시울프 Block II 의 경우 유도체계와 비행경로 설정 알고리즘 자체를 교체해서 제한적인 초음속 대함미사일 교전능력을 목표로 한 장비다.

대잠장비도 구형 Type 2031Z TASS 를 신형 Type 2087 로 대체중이다. Type 23의 소음진동 저감 수준은 현대의 기준으로도 매우 높은 편이어서 Type 2087 능동 저주파 예인소나의 조합은 Type 23 이 현대적인 연안 잠수함을 상대로도 효과적인 대잠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보장해 준다. 훈련사례를 일반화하기는 곤란하지만 멀린 HM1 대잠 헬리콥터와 Type 2087 소나를 조합한 Type 23 은 로스앤젤레스급 공격원자력잠수함과 동위로 평가받는 트라팔가급 공격원자력잠수함을 효과적으로 탐지했으며, 신형 공격원자력 잠수함인 아스튜트급도 포착한 실적이 있다.

장기적으로는 현재 사용중인 SSCS 전투체계를 Type 45 구축함 및 Type 26 차기호위함과 호환성이 있는 COTS 기반의 DNA 시스템으로, 도태단계에 접어든 Type 996 레이더를 근거리에서 LO 표적 탐지까지 지원하는 ARTISAN 3D 레이더로. 시울프 Block II 를 육-해-공 3군 공통 미사일인 CAMM의 함대공형인 FLAADS (M) 으로 대체할 예정이다. (사거리 연장/능동 레이더 유도형인 시울프 Block III 이 기획되었지만 CAMM에 흡수되었다) ARTISAN 3D 나 CAMM, Type 2087 등은 Type 26 적용이 사실상 확정적인 장비라는 점에서 "준 Type 26" 급 개량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장비 공통화는 고질적인 운용유지비용 저감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기도 하다.

2 동형함

이름함번건조 시작진수취역운용국/운용항퇴역 예정 년도
NorfolkF23014 December 1985년10 July 19871 June칠레에 팔림.N/A
ArgyllF23120 March 1987년8 April 198931 May 1991데번포트2023년
LancasterF22918 December 1987년24 May 19901 May 1992포츠머스2024년
MarlboroughF22322 October 1987년21 January 198914 June 1991칠레에 팔림.N/A
Iron DukeF23412 December 1988년2 March 199120 May 1993포츠머스2025년
MonmouthF2351 June 1989년23 November 199124 September 1993데번포트2026년
MontroseF2361 November 1989년31 July 19922 June 1994데번포트2027년
WestminsterF23718 January 1991년4 February 199213 May 1994포츠머스2028년
NorthumberlandF2384 April 1991년4 April 199229 November 1994데번포트2029년
RichmondF23916 February 1992년6 April 199322 June 1995포츠머스2030년
SomersetF8212 October 1992년25 June 199420 September 1996데번포트2031년
GraftonF8013 May 1993년5 November 199429 May 1997칠레에 팔림.N/A
SutherlandF8114 October 1993년9 March 19964 July 1997데번포트2033년
KentF7816 April 1997년27 May 19988 June 2000포츠머스2034년
PortlandF7914 January 1998년15 May 19993 May 2001데번포트2035년
St AlbansF8318 April 1999년6 May 20006 June 2002포츠머스2036년

3 관련 항목

  1. 운용인력도 22형 batch3에 비해서 1/4정도가 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