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번 지방도

현재 개통하지 않은 역 또는 노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 또는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개통했지만 이 역을 지나는 다른 노선이 공사 중인 역이 서술되어 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야 하며, 나무위키는 잘못된 정보에 의한 피해를 책임지지 않습니다. 또한, 공정이 중단되면 틀:공사중단으로 바꿔 주시고, 공정이 완료되면 틀을 제거해 주십시오.

1 개요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은 경상남도 통영시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을 잇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칠곡군 왜관읍에서 67번 국도와 만난다.

1994년에 창원 ~ 선산 구간을 노선으로 한 67번 국도를 신설하고자 하였으나, 북쪽 끝에 해당하는 칠곡 ~ 구미 노선만 1996년에 67번 국도가 되고 나머지 구간은 국가지원지방도로 남았다.

2 노선

2.1 경상남도

시점은 경상남도 통영시로 적혀있다.
시내부터 광도면까지는 14번 국도와 중첩된다.
광도면부터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까지는 77번 국도와 중첩된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부터 진동면까지는 2번 국도와 중첩된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부터 함안군 여항면까지는 79번 국도와 중첩된다.
함안군 여항면부터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까지는 길이 없다.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부터 창녕군 계성면까지는 5번 국도와 중첩된다.
창녕군 계성면부터 창녕군 유어면까지는 79번 국도와 중첩된다.
창녕군 유어면부터 이방면까지는 20번 국도와 중첩된다.

  • 이방로
창녕군 이방면 거남리에서 20번 국도로부터 분기된다.

2.2 대구광역시

2.2.1 달성군

  • 과학남로
구지면에서 우곡교가 보이면 좌회전

2.3 경상북도

2.3.1 고령군

  • 우곡로
개진면 열뫼삼거리에서 좌회전
  • 개경포로
광주대구고속도로와 교차하나 만나지 않는다.
개진면 양전삼거리에서 급 좌회전
금산재
대가야읍 현문교차로에서 26번 국도에 합류한다. 직진하자.
  • 대가야로
고령광장에서 26번 국도와 분기된다. 우회전하자. 곧이어 33번 국도에 합류하여 중첩한다. 직진하자.
  • 운용로
운수면 월산삼거리에서 33번 국도로부터 분기한다. 우회전하자.

2.3.2 성주군

  • 운용로
용암면 용정네거리에서 905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용암면사무소 앞에서 905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선남면 광영교차로에서 30번 국도에 합류한다. 우회전하자. 이후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까지 30번 국도와 중첩된다.

2.4 대구광역시

2.4.1 달성군

  • 강변대로
하빈면에서 30번 국도로부터 분기한다.

2.5 경상북도

2.5.1 칠곡군

  • 강변대로
왜관읍 제2왜관교 앞에서 4번 국도와 교차한다.
왜관교차로에서 67번 국도와 직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