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1번 지방도

현재 개통하지 않은 역 또는 노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 또는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개통했지만 이 역을 지나는 다른 노선이 공사 중인 역이 서술되어 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야 하며, 나무위키는 잘못된 정보에 의한 피해를 책임지지 않습니다. 또한, 공정이 중단되면 틀:공사중단으로 바꿔 주시고, 공정이 완료되면 틀을 제거해 주십시오.

1 개요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에서 전라남도 광양시 옥곡면으로 이어지는 도로이다.

2 경로

남원 산내면소재지에서 시작한 이 도로는 지리산을 관통하게 된다. 뱀사골과 달궁계곡을 지나 달궁삼거리를 지나면 전라남도 구례군이다. 달궁삼거리에서 737번 지방도와 만난다. 이 구간부터가 한국의 아름다운 길로 선정된 노고단로 구간이다. 들어가면 얼마 지나지 않아 노고단으로 가는 등산로 기점인 성삼재를 지나게 되고, 이후 크고 아름다운 급커브 구간이 펼쳐진다. 남원에서 구례에 이르는 지리산 구간 전체가 무한 드리프트와 급경사로 이루어져 있지만, 노고단로 구간은 180도 커브까지 있는 등 정말 한끝 차이로 골로 가게 되는 수가 있다. 고도차도 그만큼 심해서, 산 아래 구례 쪽은 해발 200m도 안되는데 정상인 성삼재는 1100m에 육박한다. 구례 산기슭에서 정상인 성삼재까지는 약 10km. 역시 1100m까지 올라가는 1139번 지방도보다도 경사가 심한 것이다(...). 지리산을 계속 내려가면 구례분지에 당도하게 되며, 광의면과 구례읍에 도착하면서 17,18,19번 국도와 만난다.

구례읍에서 다리를 건너 문척면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후 섬진강 오른쪽의 19번 국도와 마주보며 섬진강 왼쪽을 달리게 된다. 따라서 쌍계사 벚꽃놀이 시즌이나 명절 등 19번 국도가 막힐 경우 이 도로를 이용하면 유용하다. 간전면을 지나 광양시 다압면에 들어가기 직전 남도대교를 만나게 되며, 이 다리를 건너면 바로 화개장터가 있다. 다압면은 섬진강을 따라 길게 늘어진 면이고, 남쪽 끝에는 매화마을이 있고 조금 더 가면 2번 국도와 만나게 된다. 여기서 2번 국도를 따라 다리 하나면 건너면 바로 하동읍이다. 이제부터는 약간 안쪽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섬진강이 잘 보이지는 않으며, 최종적으로 섬진강 하구인 진월면에 당도하여 다시 한번 2번 국도와 만난다.

원래 진월면 망덕리에서 수어천을 관통하여 건너편의 광영동으로 이어지는 다리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접속도로는 물론 다리 역시 10년이 넘게 착공조차 하지 않은 상태이다. 여튼 도로가 있는 건너편 광영동쪽에서 다시 도로가 연결되어 수어천을 따라 북상하게 되며, 옥곡면소재지에 당도하면 이 도로는 끝나게 된다.

3 차로 현황

4 트리비아

천은사라는 사찰에서 사찰 입구 부근에 매표소를 세우고 지나가는 차량을 세운다음 1인당 1600원씩 통행료를 강제징수한 사실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었다. 사찰 입구에 세우고 돈을 받으면 입장료로써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그냥 도로에서 받고 있으며, 실제 이곳을 통과하는 사람 중 사찰에 들리는 사람은 소수며 대부분 노고단으로 향한다. 이 만행은 이전부터 계속 되었으며 2013년엔 대법원이 이를 불법이라고 판결했지만 '문화재 관람료'에서 '공원문화유산지구 입장료'로 이름만 바꿔 계속 징수중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