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식 중기관총

92식 중기관총
Type 92 Heavy Machine Gun
종류기관총
국가일본 제국
역사
개발남부 키지로
개발 년도1932년
생산히타치 병기
생산 년도1932년~1941년
1941년~1945년 (1식)
생산 수45,000정
사용 년도1932년~1950년대
사용 국가일본 제국
중화인민공화국
대한민국, 북한
베트남
사용된 전쟁제2차 세계대전
국공내전, 6.25 전쟁
베트남 전쟁
파생형1식 중기관총
제원
구경7.7mm
탄약7.7x58mm
급탄30발 보탄판
작동 방식오픈 볼트, 가스 작동식
중량27.6kg, 55.3kg (삼각대 포함시)
15kg, 31kg (1식. 삼각대 포함시)
전장1,156mm / 1,077mm (1식)
총열 길이721mm / 589mm (1식)
발사 속도400~450RPM
탄속800m/s / 770m/s (1식)
유효사거리800m / 1,400m (1식)

1 개요

九二式重機関銃(92식 중기관총)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 사용된 일본군중기관총.

2 소개

3년식 기관총의 개량형으로 종래의 6.5mm탄이 위력이 부족하다고 느껴 7.7mm로 구경을 확대한 기관총이다.
종전까지 4만 5천여정 정도로 매우 적은 숫자가 생산되었다.

3식과 마찬가지로 보탄판으로 급탄되며 클립당 30발인데, 전작인 3식과 이탈리아군이 사용한 브레다 M37,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사용한 호치키스 중기관총과 비슷한 방식이다.

사실 일본군의 입장에서는 꽤 훌륭한 기관총이다. 비록 보탄판을 사용하여 사격 지속시간이 짧고, 사격속도 또한 타국에 비해 매우 떨어지는데다 총신 교환의 어려움, 전작의 비해 무거워진 무게등의 단점이 있었지만 느린 연사속도는 총신의 과열을 늦추어 주었고 명중률이 꽤 우수하였다.

문제는 그래봐야 일본군(...). 일본군이 저런 무기로 고생하고 있을때 미군은 지속 사격 성능은 비슷한 브라우닝 자동소총을 분대에서, 훨씬 강력하고 지속사격 능력이 뛰어난 브라우닝 M1919를 소대에서, M2 중기관총를 중대에서 쏴갈기고 있던 실정이었다. 화력 차이를 생각해보면 아무리 92식이 일본군 무기 치곤 괜찮았다지만 상대를 볼때 무리가 있었다. 그나마 M1919는 MG42라는 희대의 걸작 기관총에 비교당했지, 92식은 브라우닝 자동소총에 비견될 정도로 전체적으로 보면 스펙이 떨어졌다. 자동소총보다 딸리는 중기관총

그리고 급탄방식에 큰 문제점이 있다. 원래 보탄판을 사용하는 기관총이나 탄띠를 쓰는 기관총들은 보탄판이나 탄띠를 이어서 쓰는 식으로 장탄수를 늘리자면 늘릴 수는 있다. 문제는 이 경우 탄의 무게가 너무 무거워서 제대로 기관총이 탄약을 못 끌어올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사실 보통 탄띠 한 줄 또는 보탄판 한 장이라는 것 자체가 안정적으로 탄을 끌어들일 수 있는 이상적인 무게를 맞춰놓은 것이고, 따라서 연장해서 쓰는 건 바보짓이 되기 쉽다. 특히 보탄판처럼 뻣뻣한 놈은 특히 그런 문제가 잘 생기며 보탄판 연장도 쉽지 않고 무게중심이 변해서 총이 잘 쓰러진다. 유연한 탄띠라면 그나마 탄통에서 총까지의 구간에 매달려 있는 놈 무게만 끌어들이면 되고, 급탄구에 깡통을 붙이거나 부사수나 탄약수가 도구를 사용해서 살짝 탄띠를 들어올려주기만 하면 급탄에 큰 도움이 되므로 탄띠 연장은 종종 일어난다.

원래 보탄판 방식은 현대의 기관총이 사용하는 탄띠 방식보다 불편하고 신뢰성이 떨어짐은 이미 개발당시부터 알려진 사실이지만, 특허권이 걸리는 바람에 해당 특허가 만료될 때까지 다른 기관총에서 사용을 못했다. 그래서 탄띠 방식의 특허권이 만료되자마자 보탄판 방식의 기관총중 개수가 가능한 물건들은 탄띠 급탄으로 급탄방식을 변경했다. 문제는 이런 것을 모르고 일본만 보탄판 방식을 계속 사용한 것이다.

운용은 보병대대 1개당 중기관총 1개중대가 배치되었다. 즉 기관총 소대 1개당 92식 1정이 배치되었고, 기관총 중대는 3개의 전투분대(부사관 1명, 병사 10명, 말 2필)와 1개의 약협분대(부사관 1명, 병사 10명, 말 8필)로 이루어진 3개 소대로 이루어졌으며 중위가 지휘를 맡았다. 1정당 지급되는 탄약수는 9600여발이다.

파일:Japanese2.jpg
이오지마에서 노획한 92식 중기관총을 사용하는 미 해병대.

3 1식 중기관총

800px-Japanesetype1heavymachinegun.JPG

一式重機関銃(1식 중기관총) 92식 중기관총을 개량, 경량화 한 것으로, 92식과 같은 7.7mm 구경이지만 쓰는 탄이 다르다. 즉, 92식은 이전까지 쓰던 6.5mm탄의 위력 부족때문에 기관총 전용인 보다 대구경 7.7mm전용탄을 쓴 반면, 1식 중기관총은 아리사카 99식 소총과 같은 탄을 쓰는 기관총으로 개발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92식과 같은 보탄판 장전식이라 지속 사격능력에 문제가 있었고, 더 큰 병크는 92식 기관총은 99식 소총이나 1식 중기관총에 쓰는 탄환을 쓸수 있는데 1식 중기관총은 92식 전용탄을 쓰지 못한다는 점이다. 즉, 구식 총이 신형탄을 쓸 수 있는데 신형총은 구식탄을 못쓴다.[1]역시 일본군 클라스

4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4.1 게임

메달 오브 아너 : 퍼시픽 어설트에서는 장탄수가 너무 적어 게임 난이도와 밸런스에 피해를 주기에 고증을 희생하여 두배로 늘려버렸다(...) 그리고 명중률은 개판이 되어버렸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 싱글 캠페인 '빅터 찰리' 중반부의 베트콩 마을에서 쌍으로 거치되어 등장하고, 나치 좀비의 Kino der Toten 맵에서는 자동 터렛으로 등장한다.
미니건이 나오기 전엔 유일한 기관총(거치식 기관총 제외)이었지만 미니건보다 느린 이동속도, 쏠수록 벌어지는 크로스헤어, 낮은 발사속도 등 미니건에게 많이 밀리는 안습한 총기이다. 기관총 킬 도전과제를 클리어할때 미니건과 같이 들고다니면 좋다. 밸런스 때문인지 탄창을 사용하며 장탄수 60발이다.
  • 라이징 스톰에서도 등장한다. 근데 고증을 지켜서 장탄수가 30발이다(...). 그래도 떼거지로 오지 않는 이상은 밥값은 한다.

4.2 영화 & 드라마

  • 태평양 전쟁에 일본군이 참전한 2차 대전 영화에서 종종 등장한다.

GBW_T92_1.jpg
대평원 추격전에서 일본군들이 M38 윌리스에 탑재하여 사용한다. 박도원이 일본군들을 공격할 때 사수와 장전수를 죽이면서 총이 발포가 되는 바람에 팀킬을 한다.

TRLNambu92-2.jpg

WindtalkersNambuType92-1.jpg

Pac06_002.jpg

  • 첩혈고성

[[파일:/20151020_176/hjotop94_1445343554670r6VNT_JPEG/%C1%A6%B8%F1_%BE%F8%C0%BD.jpg]]

LfIJ-Type92HMG.jpg
LfIJ-Type92HMG1.jpg

5 둘러보기

중일전쟁을 포함한 제2차 세계대전기의 일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볼트액션 소총30년식 소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저격총, 2식 소총, 모식 소총, 이식 소총
반자동소총4식 자동소총
기관단총베식 기관단총, 100식 기관단총, MAB 38
권총26년식 권총, 남부 권총, 스기우라식 자동권총, 90식 신호권총, 94식 권총
지원화기기관총경기관총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92식 7.7mm 기총
중기관총3년식 기관총, 92/1식 중기관총, 89/97식 고정 기관총, 98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98/1식 선회 기관총
대전차화기97식 자동포, 4식 7cm 분진포, 99식 파갑폭뢰, 갈고리 폭탄, 자돌폭뢰
화염방사기93식 소화염발사기, 100식 화염발사기
척탄통 및 박격포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97식 곡사보병포
유탄수류탄/일본군, 100식 총류탄발사기, 2식 총류탄발사기
냉병기군도일본군도
한국전쟁기의 대한민국 국군의 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볼트액션 소총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M1917 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반자동소총M1 개런드, M1 카빈
자동소총M1918A2, M2 카빈
기관단총100식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M1A1 톰슨
권총94식 권총, M1911A1
지원화기기관총92식 중기관총, M1917A1, M1919A4/A6, M2 중기관총
대전차화기M9/M20 로켓발사기(바주카), M18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화염방사기M2 화염방사기
박격포M1 81mm 박격포, M2 60mm 박격포
유탄Mk.2 수류탄, M7 총류탄발사기
한국전쟁기의 조선인민군 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볼트액션 소총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카라비너 98k
반자동소총SVT-40, SKS
권총나강 M1895, 94식 권총, 남부 권총, TT-33
기관단총100식 기관단총, PPSh-41/49식 기관단총, PPS-43, KP/-31, 36식 11mm 기관단총
지원화기기관총PM M1910, Vz.26/30, DP-28, DT/DTM, 92식 중기관총, 24식 중기관총, DShK, SG-43
대전차화기PTRD-41, PTRS-41
화염방사기ROKS-2/3
박격포82-PM-37, 120-PM-43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인민군(월맹군) 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볼트액션 소총K-44, 38식 소총J, 99식 소총J, MAS-36F 카라비너 98kF
반자동소총SKS, SVT-40, SVD, MAS-49F
돌격소총K-56, 63식 자동소총, AKM, Vz.58, StG44
기관단총K-50M, 50식 기관단총, PPS-43, Vz.25, PM-63, Vz.61, 100식 기관단총J, MAS-38F, MAT-49F, MP40F
권총K-54, K-59, CZ52, C96, APS, 나강 M1895, 남부 권총J, MAC M1950F
지원화기기관총RPD, DP-28, DTM, Vz.26/30, MAC 24/29F, Vz.59, 67식 기관총, SG-43, 92식 중기관총J, DShK
대전차화기B-40/50, B-41, B-10, B-11, 자돌폭뢰J
화염방사기LPO-50
박격포82-PM-41
※ 윗첨자J/F : 일본/프랑스군으로부터 노획
이탤릭체 :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음
보병장비 둘러보기
WW1

연합군

동맹군
WW2
연합군
추축군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소련
프랑스
이탈리아 왕국
체코슬로바키아
중화민국
폴란드
핀란드
헝가리 왕국
스위스 스웨덴
냉전
소련
동독
중국
유고슬라비아
한국전
한국
북한
월남전
미국
월맹
현대전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한국
일본 중국 독일 핀란드 이스라엘
체코 스웨덴 이탈리아22px-Flag_of_India.svg.png 인도 폴란드
중화민국 터키 스위스 싱가포르 호주
스페인 노르웨이 태국 이집트 캐나다
브라질--- 북한
  1. 하지만 이건 92식이 병신이라 그런거지 보병총과 같은 탄을 쓴다는건 일본군한테는 나름 큰 발전이었다.다른 나라는 기본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