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oHa

파일:Logo global conoha.png
공식 홈페이지
파일:Bg conoha.jpg
ConoHa 마스코트 캐릭터 '코노하' [1]

1 개요

월 900엔에 듀얼코어 VPS를 주는데다 네트워크 트래픽도 무제한[2]혜자 업체이다.

한국에서 핑도 잘 나온다. 모기업이 탄탄한 회사[3]라 망할 걱정도 별로 없다.

2 VPS 스펙 및 요금

월당 요금은 데이터 센터를 일본(도쿄)로 설정하였을 경우이다. 싱가포르미국(산호세)으로 선택 시 약 2배로 요금이 오른다.

메모리512MB [4]1GB2GB4GB8GB16GB32GB64GB
CPU1코어2코어3코어4코어6코어8코어12코어24코어
SSD20GB50GB
윌당 요금630엔900엔1,750엔3,420엔6,670엔13,010엔25,370엔49,480엔
시간당 요금1엔1.3엔2.5엔4.8엔9.3엔18.1엔35.3엔68.6엔
데이터 센터일본(도쿄), 싱가포르, 미국(산호세)중 선택 가능

3 추가 서비스 제공

  • SSD (250GB, 550GB) 용량 확장(유료) [5]
  • IPv4 추가(유료)
  • 로드 밸런서(유료)
  • 이미지 저장(유료)
  • 자동 백업(유료)
  • DNS(무료)
  • 메일 서버(유료)
  • DB 서버(유료)
  • 오브젝트 스토리지(유료)
  • GeoDNS(유료)

4 지원하는 OS

모든 무료 제공 OS는 64비트 아키텍처가 지원되며, 32비트도 고를 수 있다.
하기 항목 FreeBSD 이하로는 모두 64비트만 선택 가능, 수시로 업데이트 되는 항목이니 직접 가서 보는 것을 추천한다.

  • CentOS 7.2 / 7.1 / 6.7 / 6.6
  • Ubuntu 16.04 /14.04 / 12.04
  • Debian 8 / 7
  • FreeBSD 10.3 / 10.3ZFS(x64)
  • Fedora 24
  • openSUSE 42.1
  • Arch Linux 20161012
  • NetBSD 7.0
  • OpenBSD 6.0
  • 커스텀 ISO [6]

5 지원하는 지역

6 DDoS(DoS) 대응

해당 업체의 VPS는 가성비가 잘 뽑힌다고 소문이 나있는데, DDoS(DoS) 대응 서비스는 꽝이라고 알려져있다.
왜냐하면 서비스중인 VPS에 과도하게 패킷이 유입되면 바로 VPS를 정지시킨다.

물론 호스팅사는 DDoS방어존이 아니니 바로 VPS를 정지하는것이 올바른 조치를 취한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호스팅사는 24시간동안 정지한 후 다시 풀어주지만 여긴 풀어주지 않는다.

DDoS뿐만아니라 DoS 조차 바로 정지한 후 풀어주지 않는다. (!)

만약, ConoHa VPS로 웹 서비스를 운영할 시 CloudFlare CDN 서비스를 꼭 걸어주자.

그리고 리얼 IP가 상대방에게 노출될 시 VPS를 재생성해서 꼭 바꿔주자.

7 사용 예시

대신 반대로 트래픽이 많으나 별로 안 중요한 자료일 경우 아주아주 유용하다.

CPU성능도 좋은 편이므로 어지간한 건 다 돌아간다.

자료가 중요한게 아니라면 물리서버에 디도스 맞고 수백만원 내는 것 보단 충전해놓은 몇천 엔 까먹는게 훨씬 낫다.

대표적으로 토렌트 서버라던가 VPN서버이다.

토렌트 서버는 transmission-daemon 을 설치하면 되고 Open VPN의 경우 코노하에서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를 제공하고 L2TP-IPsec은 능력만 있으면 설치가 가능하다.

다만, L2TP는 설치가 좀 복잡하다. 클라우드 서비스 답게 API가 쓸만할 수준으로 있으며 이를 이용해서 오토 스케일링도 구현 가능하다.

자유도가 높아서 여기다가 듀얼 부팅(...)등 별에 별 짓 다 하는 사람도 있다.

윈도 서버도 이미지로 지원 하는 것은 아니지만 API를 이용해서 올리는게 가능하다.
  1. 코노하는 일본어로 '나뭇잎'이란 뜻에 맞게 이미지에는 나뭇잎이 흩날린다
  2. 다만 대역폭이 100Mbps로 타사 대비 작은 편이다. 그래도 종량제가 아니므로 뭐라 하기 뭣하다.
  3. GMO Internet, Inc.
  4. 이벤트성으로 진행되는 요금제인것 같으니 확인 바람
  5. VPS 512MB 모델의 경우 각각 220GB, 520GB
  6. 문서에서 언급되었다시피 Vultr처럼 ISO 파일을 올리는 방식이 아닌 API를 통한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