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stry


Forestry
다운로드 (CurseForge)
위키 링크포레스트리 위키 FTB 위키
제작자SirSengir
호환 버전1.7.10(stable), 1.10.2(alpha)

1 개요

무척이나 그 역사가 깊은 기술모드 중 하나. 사용하는 전력은 RF이며, 자체 발전기를 3종류 추가한다. 단독으로 설치해서 즐길수도 있지만 다른 기술 모드와의 궁합이 잘 맞는다. [1]

주요 컨텐츠는 농업인데, 겨우 농사짓는 모드라고 보면 곤란한게 농사 자동화는 기본에 나무 자동 농장, 농업 생산물을 이용한 바이오 디젤, 연료로 쓸 수 있는 토탄 등 다양하고 방대한 컨텐츠를 자랑한다. 솔직히 토탄은 만들고 '아 신기하네'정도로 밖에 안 쓰인다. 만들기 귀찮은데다 딱히 고효율도 아니라서

또한 이 모드의 메인이라 할 수 있는[2] 컨텐츠 중 하나는 바로 양봉. 기본적으로 자연젠되는 벌집에서 벌을 찾아서 기르고 교배하는 것이 가능하며, 교배를 통해 생겨나는 벌은 특수한 효과를 지니고 있거나 특수한 벌집을 생산하기에 사실상 자원 농사라고 할 수 있다. 비니 모드나 매직 비가 들어오면 구리, 주석, 철, 금, 다이아 등 광물 생산 벌부터 시작해서 백금이나 텅스텐 같은 다른 모드의 광물, 석유[3], 심지어 AM2의 에센스를 만드는 벌(...)까지 정말 다양한 벌이 있으니 한번 도전해보자. 포레스트리 자체 컨텐츠만으로도 충분히 즐길 수 있지만 양봉을 통해 각종 자원을 얻을 생각이라면 필히 아래에서 서술할 애드온들을 받도록 하자. 양봉은 자동화가 비교적 간단해서 오일 벌이나 광물 벌의 유전자를 뽑아 대량으로 양산해두면 말 그대로 무제한 자원과 에너지를 쓸 수 있다.[4]

벌뿐만 아니라 나무까지 교배하는 것이 새로이 도입되었다. 나무에서 여러가지 부산물들을 얻을수 있다. 몇몇 나무의 경우 포레스트리 자동화 농장만 정상적으로 부산물을 얻을 수 있으므로 참고하자. 또한 나비교배도 개발중이라 하고 1.7.10버전에서 나비 관련 물품들에 꽤 추가됐다. 비니모드에서는 1.7.10버전(2.0.0-Dev)부터 자체적으로 꽃교배를 추가하였다.
사실상 생명공학 모드가 되어버렸다

한글화는 MMKP팀에서 주도하고있으며, 현재(14년10월16일 기준) 진행중이다.

2 게임 내 요소

2.1 광물

https://forestryforminecraft.info/_media/other:ore_copper.png
https://forestryforminecraft.info/_media/other:ore_tin.png
구리, 주석, 청동은 포레스트리의 각종 기계 제작에 사용된다. 청동 8개로 만드는 견고한 케이싱은 거의 모든 기계의 조합법에 들어간다. 많이 쓰이는 광물이니만큼 많이 모아두는게 좋다.
한가지 특이점은 포레스트리가 합금 제작이나 금속 분말 등을 추가하지 않아서인지 주괴를 맨손으로 합금한다(...)
https://forestryforminecraft.info/_media/other:ore_apatite.png
인회석은 y 56 이상에서 상당히 큰 광맥으로 생성된다. 광석을 캐면 1~4개의 인회석이 드랍된다. 주요 용도는 비료와 우표의 제작. 쓰려고 할땐 안보여서 곤란해지는(?) 광물

2.2 기계 및 자동화

2.2.1 발전기

  • Clockwork Engine
손으로 태엽을 감아서 발전하는 극초반용 발전기. 엔진을 꾹 우클릭해주면 엔진의 색상이 파랑→초록→노랑→주황→빨강으로 변하는데, 빨개진 상태에서 더 감으려고 하면 데미지를 받고 죽는다. 감은 정도에 따라 5~15 RF/t를 생산한다. 엔진이 작동하던 도중에 태엽을 감으면 감기는 동안 발전을 멈춘다.
  • Biogas Engine
남아도는 농장 생산물을 연료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연료 외에도 엔진을 가열시키기 위해 용암이 필요하다. 작동 가능한 온도에 도달하면 발전을 시작한다. 바이오가스 엔진이 사용할 수 있는 연료는 다음과 같다.
연료출력(RF/t)발전 시간(틱)
101000
우유1010000
과일 주스102500
액체 꿀202500
씨앗 기름302500
바이오매스502500
용암은 처음 엔진을 가열할 때 사용되며, 물과 우유의 경우에는 용암을 추가로 계속 소비한다.
연료가 다 떨어진 채로 있으면 엔진이 과열되어서 발전을 할 수 없게 된다.
  • Peat-fired Engine
토탄(peat)를 소모하여 발전하는 발전기. 재를 생산한다.생산된 재는 기본 토탄보다 조금 더 좋은 역청 토탄(Bituminous Peat)[5]를 만들거나 인회석이 없을때 비료를 만들때도 쓰인다.
연료출력(RF/t)발전 시간(틱)
토탄105000
역청 토탄206000
단점은 낮은 출력량에 토탄 외에는 태우지 못하는 점. 그래도 토탄을 생산하기가 무척 저렴하기 때문에, 초반에 석탄을 절약하면서 발전하기 적합하다.

2.2.2 조합•생산 기계

  • Bottler
액체를 용기에 담는 역할을 하는 기계. 다른 기술모드가 있다면 버려진다.
  • Carpenter
3×3칸에 아이템을 배치하여 조합법을 정하고[6] 아래 2줄짜리 인벤토리에 재료를 넣어주면, RF와 액체를 사용하여 아이템을 만든다. 포레스트리를 하려면 필수.
  • Centrifuge
양봉의 생산물인 벌집을 원심분리하여 밀랍과 꿀 + 특수한 벌의 생산물 등을 얻는 기계. 양봉을 한다면 필수적이다. 프로폴리스를 원심분리하면 산업모드의 고무 원료를 얻을 수 있다.
  • Fermenter
재료 액체, 유기물 아이템, 촉매 아이템을 사용해서 바이오매스를 생산하는 기계. 각각 어떤 액체 및 아이템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결과물의 총 생산량이 달라진다.
  • Moistener
밀을 눅눅하게 만들어서 균사체로 바꾸는 기계이다. 전력은 필요없으며, 빛이 약간 없는 곳에서 잘 작동한다.
  • Squeezer
씨앗이나 과일, 벌꿀을 짜서 액체로 만드는 기계이다. 전력을 먹으며, 파이프로 액체를 빼낼 수도 있다. 액체를 담는 캔은 포레스트리 캔과 버킷만 사용된다.
  • Still
번역으로는 증류기. 바이오매스 액체를 전력을 받아 에탄올로 바꾸는 기계이다. 이 에탄올은 바이오 제너레이터를 통해 EU를 생산 가능해진다. 이 외에도 다른 조합법 2개가 있다.
  • Thermionic Fabricator
열이온 세공기. 카펜터와 더불어 포레스트리에서 물건을 만드는데 쓰이는 기계이다. 카펜터가 물을 먹으며 물건을 생산한다면, 세공기는 모래나 유리와 같은 블럭을 먹으며 물건을 생산한다.

2.2.3 MultiFarm

향후 항목을 편집할 때 포레스트리 위키의 MultiFarm 문서 를 참고 바람.
크고 아름다운 멀티블럭 형식의 자동 농장. 농장 블럭은 구리 주괴, 나무 반블럭, 아무 종류의 석재 벽돌, Electron Tube로 조합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추가바람.

2.2.4 기타

2.3 양봉

Forestry의 양봉 관련 기능을 서술하는 문단입니다. Extra Bees와 Magic Bees의 아이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3.1 기초 양봉

양봉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자연 상태에 있는 벌집을 찾아야 한다. 벌집은 15등급의 빛을 발생시켜서 밤에 쉽게 찾을 수 있다. 벌집에서 벌을 채집하기 위해서는 Scoop이라는 전용 도구가 필요한데, 곡괭이로 캐거나 하면 아무것도 안나온다.[7]

발견되는 벌집과 찾을 수 있는 위치는 다음과 같다.
사진이름생성 장소
Forest
Hive
숲 종류 바이옴, 나무에 매달려 생성
Meadows
Hive
평지 바이옴, 지표면에 생성
Desert
Hive
사막 바이옴, 지표면에 생성
Jungle
Hive
정글 바이옴, 나무에 매달려 생성
End
Hive
엔드, 엔드스톤 섬 표면에 생성
Snow
Hive
추운 바이옴, 지표면에 생성
Swamp
Hive
늪 바이옴, 지표면에 생성
Water
Hive
강, 바다 등 물 속에 생성
Rock
Hive
모든 바이옴, 돌 속에 생성
Nether
Hive
지옥, 네더락 속에 생성
Unusual
Hive
정글/초원 바이옴, 지표면에 생성
Curious
Hive
숲/초원 바이옴, 나무에 생성
Resonating
Hive
사막 바이옴, 지표면에 생성
Deep
Hive
주로 산 바이옴, 레드스톤 광맥에 생성
Infernal
Hive
지옥, 네더 석영 광맥 주위에 생성
Oblivion
Hive
엔드, 섬의 아래에서 흑요석 위에 생성

벌을 키우는 가장 기초적인 방법은 Bee House에서 키우는 방법이다. 벌집모양 인터페이스에 공주벌과 일벌을 집어넣으면 짝짓기 후 일을 시작한다. 일하는 동안 벌집과 부산물을 생산하고, 여왕벌의 수명이 다하면 다음 세대의 공주벌 1마리와 일벌 몇마리가 나타난다. 이것을 반복하면서 자원을 모을 수 있게 된다.

2.3.2 Apiary

만들기 위해서는 씨앗기름이 필요하다. 스퀴저와 카펜터가 필수. Bee House와 다른 점은 벌집에 3개의 프레임을 넣는 칸이 생겼고, 여기부터는 돌연변이가 일어나 다른 종을 교배하여 새로운 벌을 얻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주의할 점은 프레임을 하나도 넣지 않은 애피어리의 생산량은 비하우스보다 낮다. 반드시 프레임을 갈아주자.

2.3.3 Alveary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꿀과 함께 밀랍, 화분뭉치, 로열젤리가 필요하다. 밀랍은 벌집을 원심분리하면 나오는 것으로 잔뜩 쌓이는데 많이 필요하니까 버리지 말고 모아두는 것이 좋다. 화분뭉치는 인더스트리우스 벌이, 로열젤리는 임페리얼 벌이 생산한다. 각 벌에 대한 것은 여기를 참조
알베어리 블럭 27개를 3x3x3으로 쌓고 위에 나무 반블럭을 9개 얹어서 완성하는 멀티블럭 구조물이다. 업그레이드를 달아서 기후가 맞지 않는 벌을 키우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2.3.4 벌 목록

Forestry/벌

2.4 수목 재배

이전부터 있던 시스템이긴 한데, 비니모드에 의해 더 많은 묘목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나무 교배를 위해서는, 반드시 일을 하는 벌통(비 하우스, 아피아에리, 알베어리)이 필요하며 서로 다른 묘목을 벌통 양 옆으로 키워주면 된다. 이들이 나무가 되면, 벌이 일하면서 잎의 정보가 달라지기 시작한다.

이 때 필요한 것이 포레스트리의 안경으로, 이 안경을 장착하면 잎의 정보가 달라진 것들은 [회색빛]으로 보이게 된다. 이 잎들을 맨손으로 쳐도 되고, 묘목 채취기로 채집해도 된다. (후자를 추천) 그러면, 처음에는 별거 아닌 묘목을 얻게 된다.

이 묘목들을 서로 교배하고 교배하고 교배하다보면 체리나무나 단풍나무등을 얻게 된다.

만약 젠더스트리(Gendustry)가 설치되어 있다면, 뮤타트론을 이용해 묘목과 화분을 이용해 새 묘목을 만들 수도 있다.

2.5 기타

3 애드온

3.1 NEI Addons

Chicken Bones Mods#s-2.3.1 참조

돌연변이를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는 애드온도 있다.

3.2 Binnie's Mods

Bennie's Mods Bennie Patcher
벌과 양봉 컨텐츠를 추가하는 Extra Bees, 나무와 과일 추가 및 목공예 관련 Extra Trees, 꽃 교배를 추가하는 Botany, 유전자 조작과 관련된 기계를 추가하는 Genetics의 4개로 구성되어 있다. 무려 107가지 벌, 96가지 나무, 80가지 꽃 색상이 추가되는 거대 규모 애드온.
제작자가 업데이트를 중단하여 4.x버전[8]의 포레스트리와는 호환되지 않아서 쓸 수 없다..... 그러나 한 제작자가 만든 Binnie Patcher라는 애드온을 함께 넣으면 실행이 가능하다!!

3.3 Magic Bees

Magic Bees
포레스트리와 각종 마법 간의 연계성을 늘려주는 모드이다. 마법 모드 외에도 다른 모드의 광물과 재료를 생산하는 벌을 추가한다. 무려 111종이나 되는 벌을 추가한다! [9]
Thaumcraft 연구, 벌과 관련된 보타니아 식물, 마법의 애피어리, 특수한 기능을 가진 프레임 등 다양한 기능이 있으며, 바닐라 재료의 생산도 편리하게 해주는 벌도 많다.
자세한 내용은 양봉 문단을 참조.

3.4 Gendustry

RF에너지를 이용해 양봉업을 보조하는 모드이다. Binnie모드마냥 DNA 추출이나 이식, 복제가 가능하다. 또한, RF에너지로 돌아가는 양봉기를 이용해 프레임마냥 4개의 슬롯에 양봉기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방수기능, 광원기능이 가장 많이 쓰이며 생산을 위한 벌들에게는 생산기능이 진화를 위한 벌에게는 짧은 수명 업그레이드가 붙는다.

EU에너지는 먹지 않기 때문에, 파워컨버터3를 이용해서 RF로 컨버팅하거나 RF로 에너지를 넣어주어야 한다.

  • 전기 양봉기를 통해 벌 키우기 가능.
  • DNA 추출, 이식, 복사 가능.
  • 벌의 변이를 통해 [색깔벌]을 획득 가능.
  • EU로 쓰는 스쿱, 접목기 사용 가능.
  1. 빌드크래프트는 양봉 자동화 파이프를 지원하고, 인더스트리얼크래프트의 고무를 양봉 부산물인 프로폴리스에서 얻을 수 있다. 같은 RF계열의 Thermal Expansion 등 과도 잘 맞는다.
  2. 사실 자동 농장이 먼저 생겼고 양봉은 여기에 추가된 요소지만
  3. 빌크의 그 석유다. 심지어 정제유를 만드는 벌도 있다!
  4. 모든 무한 발전은 양봉으로 통한다.
  5. 토탄 2개, 재 2개, 프로폴리스 1개
  6. 이 때 아이템은 소비되지 않고조합법을 기록하는데만 쓰인다.
  7. 벌을 캘 수 있는 도구는 스쿱 외에도 빌크 쿼리, IC2 마이닝 레이저, 사움 채굴 포커스와 등가교환 포커스, AM2 dig 스펠, Gravitation suite의 Vajra 등이 있다. 더 있다면 추가바람
  8. 마인크래프트1.7.10기준 최신 버전. 1.10.2 용 포레스트리는 5.x이다.
  9. 111종의 벌이 항상 나오는 것은 아니고, 대응하는 모드가 있을 경우에만 게임에 등장한다. 예를 들어 마뉼린 벌은 팅커스 컨스트럭트가 없으면 등장하지 않는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마인크래프트/모드/기술 계열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